목차
1. 보건 간호 계획서 ---------------------------------------------- P. 1
2. 교육내용---------------------------------------------------------- P. 3
3. 참고문헌---------------------------------------------------------- P. 9
2. 교육내용---------------------------------------------------------- P. 3
3. 참고문헌---------------------------------------------------------- P. 9
본문내용
적으로 시행
(2) CT: 난소암이 얼마나 큰지, 림프절이 커져있는지, 신장이나 방광, 직장 등 다른 장기에 전이를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
(3) MRI: 초기 진단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으나, 뇌나 척수로의 전이여부나 조직으로의 침범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
(4)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조영술: 난소암과 대장암의 위험이 동시에 증가되어있는 환자에서 대장암 의 발생여부 진단하기 위해 시행
(5) 흉부 방사선촬영: 암이 폐까지 퍼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
난소암이 폐로 전이 일으킬 경우 사진 상에 전이된 병변 나타남
(6)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방사선 물질을 포도당에 결합시킨 특수 약물 주사한 후 체내에서 방출 되는 방사선 촬영하는 것
2) 기타검사
(1) 복강경검사와 조직 생검: 복강경검사는 배꼽을 통해 복강경 삽입 후 복강경에 연결된 비디오 모니터 통해 복강 내부 관찰하여 조직 생검 시행할 수 있음
암세포의 존재여부와 암의 종류 등을 정확히 진단
(2) 혈액검사: 난소암 의심환자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CA125라는 특수한 물질의 농도 측정하여 난 소암의 진단과 추적관찰 자료로 사용
* CA125: 혈액 내 CA125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로 대부분의 난소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 난소암을 가진 여성의 혈액에서 상당히 증가된 농도로 존재(난소암 환자의 80%에서 관찰)
임신, 생리, 자궁내막증, 골반염증질환 등 많은 정상 혹은 양성질환에서도 증가
난소암의 위험요인을 설명하여 그것에 대처할 수 있는 예방법을 교육한다.
1) 위험요인
① 초란이 빠르고 폐경이 느린 사람에게 난소암의 발생위험도 증가하는 산과력과 배란
② 경구 피임약을 5년 이상 장기 복용하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난소암의 발생 위 험 감소하는 호르몬 제재
③ 유전요인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및 이상 변화
유방암, 자궁내막암 또는 대장암을 앓았던 기왕력
유방암, 자궁내막암 또는 대장암을 앓았던 적이 있는 여성한테서 난소상피암의 위험도 증가
④ 환경적요인
석면과 활석 및 방사선 동위원소에 노출된 경우, 난소상피암의 발생과 관련
2) 예방법
1) 경구 피임약: 5년 이상 사용 시, 난소암의 위험성을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음
2) 모유 수유와 임신: 25세 이전에 첫째 아이 출산, 모유수유 하는 경우에도 임신과 수유 기간 동 안 배란이 억제되며, 난소암의 위험률이 감소
3) 난관결찰술: 난소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 얻을 수 있어 유전성 난소암과 같은 고위험군에 서 사용될 수 있음
4) 자궁적출술: 난소암의 위험률을 줄일 수 있음
난소암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을 적출하는 것은 아니며, 타당한 의학적 이유, 난소암 혹은 유방암의 가족력, 40세 이상의 경우 시행 여부 고려할 수 있음
5) 예방적 난소 절제술: 일부 고위험군에게만 권해지며, 난소암의 위험률을 없애지만 드물게 발생 할 수 있는 원발성 복막암은 예방하지 못함
* BRCA 유전자: 모든 인간은 두 개의 BR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
BRCA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해서 유발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암이나 종양으 로 발전할 수 있는 DNA 수선하는 역할 및 유방암 생성되는 것을 막아줌
그러나, BRCA유전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돌연변이로 나타남
이 유전자 보유한 여성은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발병률 높으며, 가족력 있음
3) 요약 및 평가 : 10분
마무리 평가로 교육한 내용을 중요한 부분을 다시 한 번 점검해준다.
- 3대 여성암에 속할 정도로 흔한 암이지만, 조기발견이 쉽지 않기에 꾸준한 관리와 정기적인 부 인과 검사가 필요
- 가족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다면 6개월마다 정기 검진 필요
- 20~30대 젊은 여성도 안심은 금물 (예전보다 빨라진 초경, 미혼 여성과 출산 미루는 여성 증가 및 고령 임신 늘어남으로 인해 젊은 여성 환자 증가)
O , X 퀴즈를 통해 난소암의 정의, 증상 및 예방 방법을 잘 알고 있는지 파악한다.
- O , X 퀴즈
난소암의 주요 증상은 난소의 크기가 커지는 것에서 시작한다. (o)
난소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의 두 가지 치료가 사용된다. (x)
- 방사선치료까지 포함하여 세 가지임
난소암은 암이 진행하기까지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불분명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3~4기로 진행될 때 발견되기에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침묵 의 살인자’라 칭한다. (o)
고주파와 자석만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을 촬영하여 뇌나 척수로의 전이여부나 조직으로의 침입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는 질식초음파이다. (x)
- 복부 및 골반 자기공명영상검사 (MRI)
다음 차시 예고
- 대상자에게 다음 시간에는 “자궁경부암, 미리 알고 예방하자!”라는 주제를 가지고 교육을 진행 할 것을 미리 예고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인사를 한다.
4. 참고문헌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 수문사, 2018.03.02, 최연희, 이지현
-Naver, “난소암”, 2019.03.31., https://terms.naver.com
-YTN, “난소암 예방법”, 2019.03.31., https://news.naver.com
-YouTube, “난소암 발생률”, 2019.03.31., https://www.youtube.com
-차케어스, “난소암”, 2019.03.31.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09
-세브란스병원, “난소암”, 2019.03.31.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disease/view.asp?con_no=20147
-Naver, \"난소암의 진단검사“, 2019. 04. 06
http://www.samsunghospital.com
-Google, “CA125”, 2019. 04. 06, https://labtestsonline.kr/tests/ca125
-질병관리본부, “난소암”, 2019.03.31.
http://www.cdc.go.kr/CDC/mobile/main.jsp
(2) CT: 난소암이 얼마나 큰지, 림프절이 커져있는지, 신장이나 방광, 직장 등 다른 장기에 전이를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
(3) MRI: 초기 진단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으나, 뇌나 척수로의 전이여부나 조직으로의 침범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
(4)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조영술: 난소암과 대장암의 위험이 동시에 증가되어있는 환자에서 대장암 의 발생여부 진단하기 위해 시행
(5) 흉부 방사선촬영: 암이 폐까지 퍼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
난소암이 폐로 전이 일으킬 경우 사진 상에 전이된 병변 나타남
(6)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방사선 물질을 포도당에 결합시킨 특수 약물 주사한 후 체내에서 방출 되는 방사선 촬영하는 것
2) 기타검사
(1) 복강경검사와 조직 생검: 복강경검사는 배꼽을 통해 복강경 삽입 후 복강경에 연결된 비디오 모니터 통해 복강 내부 관찰하여 조직 생검 시행할 수 있음
암세포의 존재여부와 암의 종류 등을 정확히 진단
(2) 혈액검사: 난소암 의심환자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CA125라는 특수한 물질의 농도 측정하여 난 소암의 진단과 추적관찰 자료로 사용
* CA125: 혈액 내 CA125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로 대부분의 난소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 난소암을 가진 여성의 혈액에서 상당히 증가된 농도로 존재(난소암 환자의 80%에서 관찰)
임신, 생리, 자궁내막증, 골반염증질환 등 많은 정상 혹은 양성질환에서도 증가
난소암의 위험요인을 설명하여 그것에 대처할 수 있는 예방법을 교육한다.
1) 위험요인
① 초란이 빠르고 폐경이 느린 사람에게 난소암의 발생위험도 증가하는 산과력과 배란
② 경구 피임약을 5년 이상 장기 복용하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난소암의 발생 위 험 감소하는 호르몬 제재
③ 유전요인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및 이상 변화
유방암, 자궁내막암 또는 대장암을 앓았던 기왕력
유방암, 자궁내막암 또는 대장암을 앓았던 적이 있는 여성한테서 난소상피암의 위험도 증가
④ 환경적요인
석면과 활석 및 방사선 동위원소에 노출된 경우, 난소상피암의 발생과 관련
2) 예방법
1) 경구 피임약: 5년 이상 사용 시, 난소암의 위험성을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음
2) 모유 수유와 임신: 25세 이전에 첫째 아이 출산, 모유수유 하는 경우에도 임신과 수유 기간 동 안 배란이 억제되며, 난소암의 위험률이 감소
3) 난관결찰술: 난소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 얻을 수 있어 유전성 난소암과 같은 고위험군에 서 사용될 수 있음
4) 자궁적출술: 난소암의 위험률을 줄일 수 있음
난소암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을 적출하는 것은 아니며, 타당한 의학적 이유, 난소암 혹은 유방암의 가족력, 40세 이상의 경우 시행 여부 고려할 수 있음
5) 예방적 난소 절제술: 일부 고위험군에게만 권해지며, 난소암의 위험률을 없애지만 드물게 발생 할 수 있는 원발성 복막암은 예방하지 못함
* BRCA 유전자: 모든 인간은 두 개의 BR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
BRCA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해서 유발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암이나 종양으 로 발전할 수 있는 DNA 수선하는 역할 및 유방암 생성되는 것을 막아줌
그러나, BRCA유전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돌연변이로 나타남
이 유전자 보유한 여성은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발병률 높으며, 가족력 있음
3) 요약 및 평가 : 10분
마무리 평가로 교육한 내용을 중요한 부분을 다시 한 번 점검해준다.
- 3대 여성암에 속할 정도로 흔한 암이지만, 조기발견이 쉽지 않기에 꾸준한 관리와 정기적인 부 인과 검사가 필요
- 가족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다면 6개월마다 정기 검진 필요
- 20~30대 젊은 여성도 안심은 금물 (예전보다 빨라진 초경, 미혼 여성과 출산 미루는 여성 증가 및 고령 임신 늘어남으로 인해 젊은 여성 환자 증가)
O , X 퀴즈를 통해 난소암의 정의, 증상 및 예방 방법을 잘 알고 있는지 파악한다.
- O , X 퀴즈
난소암의 주요 증상은 난소의 크기가 커지는 것에서 시작한다. (o)
난소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의 두 가지 치료가 사용된다. (x)
- 방사선치료까지 포함하여 세 가지임
난소암은 암이 진행하기까지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불분명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3~4기로 진행될 때 발견되기에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침묵 의 살인자’라 칭한다. (o)
고주파와 자석만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을 촬영하여 뇌나 척수로의 전이여부나 조직으로의 침입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는 질식초음파이다. (x)
- 복부 및 골반 자기공명영상검사 (MRI)
다음 차시 예고
- 대상자에게 다음 시간에는 “자궁경부암, 미리 알고 예방하자!”라는 주제를 가지고 교육을 진행 할 것을 미리 예고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인사를 한다.
4. 참고문헌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 수문사, 2018.03.02, 최연희, 이지현
-Naver, “난소암”, 2019.03.31., https://terms.naver.com
-YTN, “난소암 예방법”, 2019.03.31., https://news.naver.com
-YouTube, “난소암 발생률”, 2019.03.31., https://www.youtube.com
-차케어스, “난소암”, 2019.03.31.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09
-세브란스병원, “난소암”, 2019.03.31.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disease/view.asp?con_no=20147
-Naver, \"난소암의 진단검사“, 2019. 04. 06
http://www.samsunghospital.com
-Google, “CA125”, 2019. 04. 06, https://labtestsonline.kr/tests/ca125
-질병관리본부, “난소암”, 2019.03.31.
http://www.cdc.go.kr/CDC/mobile/main.js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