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 3 Protein Quantitative analysi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xp 3 Protein Quantitative analy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Introduction
Ⅱ. Materials
Ⅲ. Chemical reagent & Apparatus
Ⅳ. Methods
V. Results
Ⅵ. Discussion
Ⅶ. References

본문내용

오칼토 시약(페놀 시약)을 단백질에 작용시키면 청람색으로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는 것이 폴린법인데, 이것을 뷰렛 반응과 조합하여 감도를 좋게 개량하였다. 단백질을 함유한 시료에 황산구리,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 폴린시오칼토 시약을 첨가하여 750nm에서 비색정량한다. 펩타이드 결합 및 트립토판 잔기, 타이로신 잔기에 의한 페놀 시약의 환원 등에 의한 반응으로 감도가 좋아 10μg의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다. 뷰렛 반응에 비해서 혼합된 물질의 영향도 적다.
2.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는 유용 단백질에 대하여 알아보자.
인슐린(Insulin)은 우리 몸의 물질대사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중 하나이다. 이자 (기관)의 랑게르한스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며,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인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당량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인슐린이 분비되며, 혈액내의 포도당을 세포 내로 유입해 다시 다당류(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하는 작용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인슐린의 분비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
인슐린이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은 2가지로 이루어진다. 먼저, 간세포에서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리고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켜 포도당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인자로 지금까지 약 50종을 들어 왔으나 그들 중에는 존재가 의심스러운 것도 있고 같은 물질에 다른 이름을 붙인 것도 있어서 국제 혈액 응고 인자 선정 위원회에서는 1959년 9월 현재 다음의 여러 인자가 정식으로 인정되어(국제 혈액 응고 인자 선정 회의), 혈장 중에 있는 것에는 로마 숫자 번호로, 혈소판 중에 있는 것은 아라비아 숫자로 나타내기로 하고 있다.
우선 혈장 중에 있는 것으로는 피브리노겐(Ⅰ-인자), 프로트롬빈(Ⅱ-인자),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조직 및 혈장)(Ⅲ-인자), 칼슘 이온(Ⅳ-인자), 프로악셀레린(Ⅴ-인자), 프로콤벨루틴(Ⅶ-인자), 항혈우병 글로불린(AHG 英 antihemophilic globulin Ⅷ-인자), 크리스마스 인자(Ⅸ-인자), 스튜어트 인자(Ⅹ-인자) 등이 있고 그외에 하지먼 인자, PTA(英 plasma thromboplastin antecedent)가 거론되며, 혈소판 중에 있는 것에는 제1에서 제4까지 다른 인자를 들고 있다.
Ⅶ. References
1)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생물화학공학연구실
http://bio.cbnucheme.com/
2) 네이버 지식백과-폴린 로리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6069&cid=42407&categoryId=42407
3) 네이버 지식백과-응고 인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05449&cid=60227&categoryId=60227
4) 다음 백과-흡광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56XX58600056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4.01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