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삶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가치 증진을 위한 보전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숲과 삶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가치 증진을 위한 보전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백두대간의 개념과 범위
2, 백두대간의 가치
3, 백두대간 보전의 필요성
4, 백두대간의 보호 및 관리방안

결론

참고문헌





서론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금강산-설악산-지리산에 이르는 국토의 근간을 이루는 중심 산줄기이며, 전 구간의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한지역에만 한정하더라도 백두대간은 지도상의 길이가 690Km이며, 실제 산행 길이는 약 1,200Km라고 한다. 특히 백두대간의 시작점인 백두산은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으로 신성화되어 왔으며 백두대간은 예

본문내용

에 대한 인식 형성에 있어서 조화롭게 형성된 한반도의 자연적인 요소도 분명하게 존재함을 말한다.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가치 증진을 위한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몇 가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선 우리나라의 백두대간 국가등산로에 대한 시설물 설치는 최소화 하고 등산객이 그대로의 있는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형, 기상. 표고 등 환경조건이 열악한 지역에 설치되는 등산로에 대해서는, 등산객이 위험을 미루어 알 수 있는 상태에서 등산로에 대한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국가등산로 설치는 ① 자연환경이 훼손되지 않을 것, ② 지역 환경 및 경관과 부합할 것, ③ 등산로 이용공간을 명확히 하고 편의시설은 최소한으로 설치할 것, ④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연소재를 사용하고 숲길 내부에서는 가능한 현지 채취 가능한 자재를 사용할 것, ⑤ 등산로 내의 각종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적정지역에 간이 쉼터를 설치할 것, ⑥ 야생동물 이동통로 및 식생환경을 고려하여 노폭 및 노선을 결정할 것,⑦ 분기점, 마을 및 도로 등에는 이정표, 안내판 등 적절한 안내시스템을 설치할 것 등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⑧ 위험지역은 반드시 노출시켜 등산객이 알 수 있도록 하고 위험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거시적으로는 남북이 공동으로 백두대간의 보존 실태파악과 보호를 위한 관련 연구를 서둘러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비록 남북 군사적 긴장 관계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백두산과 DMZ 보호 및 활용에 대하여 정치적 합의를 통하여 학술적 연구가 진행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남에서 북으로, 북에서 남으로 번지는 봄철 산불에 대처하기 위한 양측 산림당국 간 핫라인 설치 및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국민 전반적으로 백두대간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봄철과 가을철 빈번히 번지는 산불 예방을 위한 조치들을 실효성 있게 전개하고 등산객들의 입산문화 개선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여 사람들이 좀 더 친근하고 건전하게 우리의 명산들을 접하고 생활 속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백두대간의 평균 임야율은 77%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지대이다. 32개 시군의 85개 면지역 중에 69개 면이 산림기본법의 규정에 의한‘산촌진흥지역’에 해당되며, 평균 임야율이 77%로 전국 임야율 64%보다 무려 11%나 높으며, ha당 임목 축적은 88m로 전국 임목 축적인76. 3m보다 12. 3m나 높아 울창한 산림지대를 가지고 있다(산림청, 2010). 백두대간의 고지대에서 서식하는 침엽수 중에서도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구상나무를 비롯하여 소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에서 심한 고사현상이 나타나고 있었고, 더군다나 고산수종인 주목은 고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개체가 고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백두대간은 기후온난화와 공해, 탐방객들의 무분별한 산행과 산불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산림자원의 고귀한 자산이다. 2003년「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백두대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한반도의 자연환경은 비교적 작은 산과 언덕이 주를 이루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거대한 산을 맹목적으로 숭배하는 사상이 아니라, 산을 귀히 여기면서도 한편으로 가까이하면서 관리해야 할 대상이요 함께하는 공간으로 산을 받아들였다고 이해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숲과 삶,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산림청 홈페이지, http://www.forest.go.kr).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4.06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