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과 상담을 할 경우 라포형성 방법에 대해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복지사는 아동의 말에 경청할 수 있음은 물론 공감적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공감적 이해는 라포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상담을 성공으로 귀결시키는 핵심 포인트이다.
마. 상담에 진실히 임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상담에 가볍게 임해서는 안된다. 언제나 아동상담에 진실히 임하고 아동이 아무리 허황된 말을 한다 할지라도 이를 웃어넘기기 보다는 주의깊게 듣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반응을 해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로 아동은 상담에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됨은 물론 사회복지사를 인격적으로 신뢰하게 되는 것이다.
바. 비밀을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여러 비밀을 알게 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는 상담과정에서 알게된 아동의 여러 비밀을 외부로 발설하지 아니하고 이를 지켜줄 수 있어야 하겠다. 만약 사회복지사가 아동의 비밀을 아동의 부모나 다른 사람들에게 발설하게 된다면, 아동은 더 이상 사회복지사를 신뢰하지 못하게 되고 나아가 상담 자체를 거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참고자료
아동상담의 이해 (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 정문자, 제경숙 외 3명 저 | 학지사 | 2016.03.25.
마. 상담에 진실히 임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상담에 가볍게 임해서는 안된다. 언제나 아동상담에 진실히 임하고 아동이 아무리 허황된 말을 한다 할지라도 이를 웃어넘기기 보다는 주의깊게 듣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반응을 해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로 아동은 상담에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됨은 물론 사회복지사를 인격적으로 신뢰하게 되는 것이다.
바. 비밀을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여러 비밀을 알게 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는 상담과정에서 알게된 아동의 여러 비밀을 외부로 발설하지 아니하고 이를 지켜줄 수 있어야 하겠다. 만약 사회복지사가 아동의 비밀을 아동의 부모나 다른 사람들에게 발설하게 된다면, 아동은 더 이상 사회복지사를 신뢰하지 못하게 되고 나아가 상담 자체를 거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참고자료
아동상담의 이해 (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 정문자, 제경숙 외 3명 저 | 학지사 | 2016.03.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