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던 것과 동떨어지게 된다. 메타내러티브는 모든 사람들의 체험과 실재를 포괄할 만큼 충분히 크지도 않고 개방적이지도 않다.
두 번째 문제인 윤리적 반대 문제로 연결되는데 메타내러티브들은 총체성이라는 그릇된 주장을 펼치며 억압적이고 폭력적이 된다. 윤리적 반대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모더니티의 패권주의적, 제국주의적, 전체주의적 주장에 대한 비판과 자율적 진보라는 내러티브의 미명하게 지속되는 폭력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적 정신에서 메타내러티브는 역사에 질서를 부과해 우리를 복종하게 하는 단순한 인간적 구성물이면서 상상적 장치이다. 메타내러티브는 지배 내러티브이다. 도덕적 보편성은 권력과 권위가 있는 기득권층의 이익을 정당하게 해준다.
예수의 이름으로 자행된 일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내셔날 인터레스트에 소련 공산주의 몰락의 의미를 논한 글을 기고했다. 후쿠야마는 부의 불공평한 분재, 자본주의자들의 경제 이윤에 우호적인 권위주의 체제들만 지원하려 한 정치지형쥔적 자취, 산업 자본주의로 야기된 환경 파괴를 간과했으며 자본부의적 민주주의의 정신을 채택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의 통찰이나 기억을 제거했다. 서구 진보사사의 메타내러티브도 다른 이야기들을 무시하고 억압했다. 메타내러티브는 물리적이고 군사적인 폭력을 다른 사람들에게 행사하게 하였다. ‘정의’ 속에는 정치적 종교적 자귀 본위성과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폭력이 있다고 콕번은 노래를 통해 알렸다.
내러티브를 넘어서려는 움직임
우리는 거대 내러티브로 우리의 행위를 뒷받침하고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 세계에서 부당하게 제국주의적이었다는 것과 거대 내러티브가 개별적이고 제한적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한다. 우리는 우리의 행위들이 어떤 초월적 정당성도 없는 본질적으로 잠정적인 방식으로 일부에서만 정당화하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일부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급진적으로 이질성과 차이를 포용하고 있다. 아포리즘이란 전형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이 부족한, 무작위로 나열된, 간단히 구색을 맞춘 명언을 모은 것이다. 아포리즘은 주제에 따라 배열된다. 잠언처럼 촌철살인의 단문이거나 시적이고 서정시와 같은 담론이다. 단일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없다. 서로 관련이 없는 아포리즘은 우리를 가격하지만 우리는 체계적이고 내러티브적 논증이 없는 아포리즘을 선택했다. 아포리즘은 국지적으로 구현된 내러티브의 형태로 기술된 예수의 생애를 거절한 영지주의와 일치한다. 아포리즘으로 인해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이야기에 대해서는 회의주의면서 영지주의, 선, 도교 등에는 매료된다.
비판적 반응
포스트모던 적 회의는 많은 부분에서 정당하다. 메타내러티브에 폭력이 숨어 있다는 포스트모던적 통찰에 공감하며 작고 국지적인 이야기들의 확대 생산이라는 포스트모던적 치유방아에 대해서도 우호적일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던적 진단과 처방에는 많은 문제가 있는데, 첫 번째로 메타내러티브가 전체주의와 폭력에 이른다는 배타적 주장이 확실치는 않다. 포스트모던적 진단과 처방은 내러티브가 폭력을 정당화한다는 것 이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일관성 있는 메타내러티브가 없다면 인간은 도덕적으로 표류할 수밖에 없다. 무작위적인 폭력과 야만성의 처분에 내 맡겨진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인간은 점점 복제인간처럼 되어가고 있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모든 이야기를 지역적 구성물로 상대화하면서 정작 자기 자신이 메타내러티브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모더니티의 종언으로 생긴 윤리적 혼돈과 야만서에 직면한 우리에게 희망을 주지 못한다. 문제의 근원은 궁극적으로 인간 심성에 있는 폭력이다. 포스트모더니티의 제안보다 훨씬 급진적인 치유책이 필요하다.
두 번째 문제인 윤리적 반대 문제로 연결되는데 메타내러티브들은 총체성이라는 그릇된 주장을 펼치며 억압적이고 폭력적이 된다. 윤리적 반대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모더니티의 패권주의적, 제국주의적, 전체주의적 주장에 대한 비판과 자율적 진보라는 내러티브의 미명하게 지속되는 폭력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적 정신에서 메타내러티브는 역사에 질서를 부과해 우리를 복종하게 하는 단순한 인간적 구성물이면서 상상적 장치이다. 메타내러티브는 지배 내러티브이다. 도덕적 보편성은 권력과 권위가 있는 기득권층의 이익을 정당하게 해준다.
예수의 이름으로 자행된 일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내셔날 인터레스트에 소련 공산주의 몰락의 의미를 논한 글을 기고했다. 후쿠야마는 부의 불공평한 분재, 자본주의자들의 경제 이윤에 우호적인 권위주의 체제들만 지원하려 한 정치지형쥔적 자취, 산업 자본주의로 야기된 환경 파괴를 간과했으며 자본부의적 민주주의의 정신을 채택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의 통찰이나 기억을 제거했다. 서구 진보사사의 메타내러티브도 다른 이야기들을 무시하고 억압했다. 메타내러티브는 물리적이고 군사적인 폭력을 다른 사람들에게 행사하게 하였다. ‘정의’ 속에는 정치적 종교적 자귀 본위성과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폭력이 있다고 콕번은 노래를 통해 알렸다.
내러티브를 넘어서려는 움직임
우리는 거대 내러티브로 우리의 행위를 뒷받침하고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 세계에서 부당하게 제국주의적이었다는 것과 거대 내러티브가 개별적이고 제한적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한다. 우리는 우리의 행위들이 어떤 초월적 정당성도 없는 본질적으로 잠정적인 방식으로 일부에서만 정당화하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일부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급진적으로 이질성과 차이를 포용하고 있다. 아포리즘이란 전형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이 부족한, 무작위로 나열된, 간단히 구색을 맞춘 명언을 모은 것이다. 아포리즘은 주제에 따라 배열된다. 잠언처럼 촌철살인의 단문이거나 시적이고 서정시와 같은 담론이다. 단일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없다. 서로 관련이 없는 아포리즘은 우리를 가격하지만 우리는 체계적이고 내러티브적 논증이 없는 아포리즘을 선택했다. 아포리즘은 국지적으로 구현된 내러티브의 형태로 기술된 예수의 생애를 거절한 영지주의와 일치한다. 아포리즘으로 인해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이야기에 대해서는 회의주의면서 영지주의, 선, 도교 등에는 매료된다.
비판적 반응
포스트모던 적 회의는 많은 부분에서 정당하다. 메타내러티브에 폭력이 숨어 있다는 포스트모던적 통찰에 공감하며 작고 국지적인 이야기들의 확대 생산이라는 포스트모던적 치유방아에 대해서도 우호적일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던적 진단과 처방에는 많은 문제가 있는데, 첫 번째로 메타내러티브가 전체주의와 폭력에 이른다는 배타적 주장이 확실치는 않다. 포스트모던적 진단과 처방은 내러티브가 폭력을 정당화한다는 것 이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일관성 있는 메타내러티브가 없다면 인간은 도덕적으로 표류할 수밖에 없다. 무작위적인 폭력과 야만성의 처분에 내 맡겨진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인간은 점점 복제인간처럼 되어가고 있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모든 이야기를 지역적 구성물로 상대화하면서 정작 자기 자신이 메타내러티브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모더니티의 종언으로 생긴 윤리적 혼돈과 야만서에 직면한 우리에게 희망을 주지 못한다. 문제의 근원은 궁극적으로 인간 심성에 있는 폭력이다. 포스트모더니티의 제안보다 훨씬 급진적인 치유책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