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븐일레븐 소개
2. 편의점산업 특성
3. 세븐일레븐 SWOT분석
4. 세븐일레븐 경영 및 마케팅전략
5. 결론 및 느낀점
2. 편의점산업 특성
3. 세븐일레븐 SWOT분석
4. 세븐일레븐 경영 및 마케팅전략
5.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경 상품개발, 임직원 에너지 절감 실천 캠페인 등 구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4) 브랜드마케팅
오늘날의 세븐일레븐을 만든 전략 하나를 꼽으라면 신선함(freshness)이다. 그들이 파는 벤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는 두 세배 이상의 가격을 지불하고 사야 하는 일반 음식점의 먹거리에 비해서 절대 뒤지지 않는다. 배고파서, 돈이 부족해서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하는 일반 편의점의 음식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유는 다름아닌 ‘신선도’에 있다. 세븐일레븐의 모든 가공 식품은 하루에 3번 배달된다. 이는 세븐일레븐의 간판을 이루는 오렌지색(오전), 빨간색(오후), 초록색(저녁)의 3가지 색으로 구분되어 소비자들이 선택을 하는데 좋은 기준이 된다. 가공 식품뿐만이 아니다. 세븐일레븐에서 직접 만드는 커피는 1시간이 지나면 남은 양에 관계없이 모두 폐기처분 된다. 따라서 세븐일레븐에서 마시는 커피는 유명 커피 체인점과 비교해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이렇듯 신선도는 ‘제품의 질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는 좋은 브랜드 이미지로 이어진다. 소비자들은 세븐일레븐에 대해 ‘신선함을 위해 항상 노력하는 업체’ 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스즈키 회장의 지적은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흔히 가격인하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반드시 그런 것이 아닙니다.
특히 일본은 미국과 달리 소득과 지출간의 상관관계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일본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미국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조금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상품의 질만 확보된다면 그리 문제되지 않습니다. 신문에 나온 경기침체 기사에 지레 겁을 먹고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오히려 제품의 질을 올리고 가격을 올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5. 결론 및 느낀점
세븐일레븐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그로인하여 나타나는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지속적인 혁신 및 개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품종 소량발주 기업의 형태를 나타낸다. 높은 이윤과 많은 고객확보도 가능해졌다. 또한 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높은 불확실성 설비, 재고, 운송비용 증가와 SC의 관리를 통한 낮은 비용으로 전체수익의 극대화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세븐일레븐의 체계화 된 SCM을 통해 실현될 수 있었다.
다품종 소량발주 또한 SC와 POS, GOT 등 이러한 시스템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 높은 이윤과 많은 고객확보도 POS시스템을 통한 소비자의 추세파악 등이 그 지역의 고객의 기호도에 맞도록 제품을 배치, 구입 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의 보다나은 편의성 제공으로 고객확보도 가능해 졌다 할 수 있다. 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높은 불확실성 설비, 재고, 운송비용이 증가하는데 이는 세븐일레븐의 시스템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되어 질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고객을 성별, 연령별로 세분화 하여 전략적으로 고객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제품을 생산하여 그 제품을 편의점으로 배송할 때 각각 전국 점포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제품을 전 지역 물류센터로 일괄 배송하여 그곳에서 각 점포로 24시를 기준으로 하여 2차례 발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푸드의 신선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다품종 소량 주문을 할 수 있음으로 해서 재고수준을 낮출 수 있는 결과를 가져왔다.
물류를 배송하는데 있어서 시간을 지킨다는 것은 상품의 품질을 판가름 하는 요소이므로 약속된 시간을 어길 경우 그에 따른 패널티를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널티를 지불하기 않기 위해서 물류회사에서는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4) 브랜드마케팅
오늘날의 세븐일레븐을 만든 전략 하나를 꼽으라면 신선함(freshness)이다. 그들이 파는 벤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는 두 세배 이상의 가격을 지불하고 사야 하는 일반 음식점의 먹거리에 비해서 절대 뒤지지 않는다. 배고파서, 돈이 부족해서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하는 일반 편의점의 음식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유는 다름아닌 ‘신선도’에 있다. 세븐일레븐의 모든 가공 식품은 하루에 3번 배달된다. 이는 세븐일레븐의 간판을 이루는 오렌지색(오전), 빨간색(오후), 초록색(저녁)의 3가지 색으로 구분되어 소비자들이 선택을 하는데 좋은 기준이 된다. 가공 식품뿐만이 아니다. 세븐일레븐에서 직접 만드는 커피는 1시간이 지나면 남은 양에 관계없이 모두 폐기처분 된다. 따라서 세븐일레븐에서 마시는 커피는 유명 커피 체인점과 비교해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이렇듯 신선도는 ‘제품의 질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는 좋은 브랜드 이미지로 이어진다. 소비자들은 세븐일레븐에 대해 ‘신선함을 위해 항상 노력하는 업체’ 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스즈키 회장의 지적은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흔히 가격인하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반드시 그런 것이 아닙니다.
특히 일본은 미국과 달리 소득과 지출간의 상관관계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일본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미국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조금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상품의 질만 확보된다면 그리 문제되지 않습니다. 신문에 나온 경기침체 기사에 지레 겁을 먹고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오히려 제품의 질을 올리고 가격을 올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5. 결론 및 느낀점
세븐일레븐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그로인하여 나타나는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지속적인 혁신 및 개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품종 소량발주 기업의 형태를 나타낸다. 높은 이윤과 많은 고객확보도 가능해졌다. 또한 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높은 불확실성 설비, 재고, 운송비용 증가와 SC의 관리를 통한 낮은 비용으로 전체수익의 극대화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세븐일레븐의 체계화 된 SCM을 통해 실현될 수 있었다.
다품종 소량발주 또한 SC와 POS, GOT 등 이러한 시스템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 높은 이윤과 많은 고객확보도 POS시스템을 통한 소비자의 추세파악 등이 그 지역의 고객의 기호도에 맞도록 제품을 배치, 구입 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의 보다나은 편의성 제공으로 고객확보도 가능해 졌다 할 수 있다. 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높은 불확실성 설비, 재고, 운송비용이 증가하는데 이는 세븐일레븐의 시스템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되어 질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고객을 성별, 연령별로 세분화 하여 전략적으로 고객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제품을 생산하여 그 제품을 편의점으로 배송할 때 각각 전국 점포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제품을 전 지역 물류센터로 일괄 배송하여 그곳에서 각 점포로 24시를 기준으로 하여 2차례 발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푸드의 신선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다품종 소량 주문을 할 수 있음으로 해서 재고수준을 낮출 수 있는 결과를 가져왔다.
물류를 배송하는데 있어서 시간을 지킨다는 것은 상품의 품질을 판가름 하는 요소이므로 약속된 시간을 어길 경우 그에 따른 패널티를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널티를 지불하기 않기 위해서 물류회사에서는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추천자료
일본게임산업의 현황과 한국게임의 일본 진출 전망
일본의 게임 콘텐츠 산업
세덱스택배(신세계드림익스프레스)의 마케팅 전략 사례
CU편의점 기업분석과 한국시장 마케팅,경영전략 분석과 CU의 해외진출 마케팅방안 연구 (세븐...
세븐일레븐 기업분석과 세븐일레븐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세븐일레븐 해외진출사례와...
[GS25 마케팅 연구] GS25 기업분석과 편의점시장분석및 GS25 SWOT분석과 4P마케팅사례연구및 ...
CJ대한통운 성공요인과 CJ대한통운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 대한통운 마케팅연구
농심 신라면 제품분석과 SWOT분석및 신라면 마케팅과 홍보전략글로벌전략분석및 신라면 향후...
세븐일레븐 기업경영전략과 SWOT분석 및 미래전략수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