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온선생가옥에서 과학적 요소를 창조해내다_한국건축사_정온선생실방문레포트_건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온선생가옥에서 과학적 요소를 창조해내다_한국건축사_정온선생실방문레포트_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조사의 목적
본론
▪ 전통건축의 진행방향
▪ 조선시대의 풍수 지리적 요소
▪ 전통건축의 배치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
▪ 배치적 요소
▪ 물리적 요소
1)처마와 지붕
2)마당
3)마루와 기단
4)창호와 문
결론
▪ 전통주택의 과학성
▪ 전통주택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
후기
참고문헌 및 자료

조원 및 주 역할
1. 정온선생가옥 물리적 요소 계산 및 내용정리, 답사, 협장측정
2. 정온선생가옥 개념정리와 비교 및 요소별 객관적 분석, 답사, 현장측정

본문내용

건축 이야기의 연속이었다. 우리는 최근에 건축에 있어 친환경적 요소들을 많이 고안해내어 에너지적 효율을 많이 말하고 있다. 거기다가 교수님께서 수업하시는 내용들의 대부분은 조상님들의 건축이 구조적 역할에 있어서 친환경적 지혜가 많이 있었다. 그래서 정확히 우리는 친환경적 요소를 가지고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고 중간 중간에 거창에 1박2일을 방문하면서 정온 선생 가옥의 전통 건축 정보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하지만 너무 물리적으로 가는 것이 아닐 까 무리를 두었다고 생각은 했지만 계속해서 계산하고 관련 정보들을 찾다보니 정확한 선조들의 건축 구조방식들을 알게 되었고 특히나 처마에 있어서는 대단한 기능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분명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우연의 일치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오류를 범하였던 것이다. 그것이 바로 빛과 처마의 관계 등이었다. 선조들의 건축구조는 우연이 아닌 철저한 계획과 분석을 통해서 배치와 구조적 특성들을 만들어 낸 것이었다. 정말 우리 후배들 아니 건축학도들은 전통건축에는 ‘전통의 멋’이 있다는 것이 우리가 조사한 특징들 더 나아가 다른 특징들에서도 더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아 주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및 자료
- 문화재청(www.cha.go.kr), 훈령/예규, 대상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05호 정온선생가옥
- 대한지리학회지[풍수지리의 현대적 재해석],
옥한석과 정택동, P972, 대한지리학회(2013)
- 한국 전통 주거에 나타난 환경조절방식의 현대화
적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성훈(2011)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정온선생가옥 (문화재 관리국-1985)
  • 가격5,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1.04.12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