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기후분석의 필요성 . . . . . . . . . . . . . . 3
2. 본론
2.1 춘천 . . . . . . . . . . . . . . . . . . . . . . 3
2.1.1 지형적 분석
2.1.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1.2.1 온도
2.1.2.2 냉난방도일
2.1.2.3 상대습도
2.1.2.4 풍속
2.1.2.5 풍배도
2.1.2.6 운량 및 일사량
2.2 전주 . . . . . . . . . . . . . . . . . . . . . . . 6
2.2.1 지형적 분석
2.2.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2.2.1 온도
2.2.2.2 냉난방도일
2.2.2.3 상대습도
2.2.2.4 풍속
2.2.2.5 풍배도
2.2.2.6 운량 및 일사량
2.3 포항 . . . . . . . . . . . . . . . . . . . . . . . 9
2.3.1 지형적 분석
2.3.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3.2.1 온도
2.3.2.2 냉난방도일
2.3.2.3 상대습도
2.3.2.4 풍속
2.3.2.5 풍배도
2.3.2.6 운량 및 일사량
2.4 고산 . . . . . . . . . . . . . . . . . . . . . . 12
2.4.1 지형적 분석
2.4.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4.2.1 온도
2.4.2.2 냉난방도일
2.4.2.3 상대습도
2.4.2.4 풍속
2.4.2.5 풍배도
2.4.2.6 운량 및 일사량
2.5 제주 . . . . . . . . . . . . . . . . . . . . . . 14
2.5.1 지형적 분석
2.5.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5.2.1 온도
2.5.2.2 냉난방도일
2.5.2.3 상대습도
2.5.2.4 풍속
2.5.2.5 풍배도
2.5.2.6 운량 및 일사량
2.6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17
2.6.1 지역별 기후 요소 분석
2.6.2 기후 요소별 분석
2.6.2.1 전체 평균온도 및 최고-저기온 비교
2.6.2.2 전체 연적산의 평균 냉난방도일 비교
2.6.2.3 전체 평균 상대습도 비교
2.6.2.4 전체 평균 풍속 비교
2.6.2.5 풍배도 비교
2.6.2.6 전체 평균 운량 및 일사량 비교
2.6.3 기후에 따른 지역별 家 구조
3.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21
4.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 21
1.1 기후분석의 필요성 . . . . . . . . . . . . . . 3
2. 본론
2.1 춘천 . . . . . . . . . . . . . . . . . . . . . . 3
2.1.1 지형적 분석
2.1.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1.2.1 온도
2.1.2.2 냉난방도일
2.1.2.3 상대습도
2.1.2.4 풍속
2.1.2.5 풍배도
2.1.2.6 운량 및 일사량
2.2 전주 . . . . . . . . . . . . . . . . . . . . . . . 6
2.2.1 지형적 분석
2.2.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2.2.1 온도
2.2.2.2 냉난방도일
2.2.2.3 상대습도
2.2.2.4 풍속
2.2.2.5 풍배도
2.2.2.6 운량 및 일사량
2.3 포항 . . . . . . . . . . . . . . . . . . . . . . . 9
2.3.1 지형적 분석
2.3.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3.2.1 온도
2.3.2.2 냉난방도일
2.3.2.3 상대습도
2.3.2.4 풍속
2.3.2.5 풍배도
2.3.2.6 운량 및 일사량
2.4 고산 . . . . . . . . . . . . . . . . . . . . . . 12
2.4.1 지형적 분석
2.4.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4.2.1 온도
2.4.2.2 냉난방도일
2.4.2.3 상대습도
2.4.2.4 풍속
2.4.2.5 풍배도
2.4.2.6 운량 및 일사량
2.5 제주 . . . . . . . . . . . . . . . . . . . . . . 14
2.5.1 지형적 분석
2.5.2 그래프에 따른 분석
2.5.2.1 온도
2.5.2.2 냉난방도일
2.5.2.3 상대습도
2.5.2.4 풍속
2.5.2.5 풍배도
2.5.2.6 운량 및 일사량
2.6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17
2.6.1 지역별 기후 요소 분석
2.6.2 기후 요소별 분석
2.6.2.1 전체 평균온도 및 최고-저기온 비교
2.6.2.2 전체 연적산의 평균 냉난방도일 비교
2.6.2.3 전체 평균 상대습도 비교
2.6.2.4 전체 평균 풍속 비교
2.6.2.5 풍배도 비교
2.6.2.6 전체 평균 운량 및 일사량 비교
2.6.3 기후에 따른 지역별 家 구조
3.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21
4.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 21
본문내용
향을 받아서 내륙지방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우량이 산악지대 보다 적은 것이 특징이다.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어 서풍이 잦다.
포항(서남서)
한반도 남동쪽 동해안에 위치한 포항지방은 북서쪽으로는 1,000m 이상의 준령들이 줄지어 태백산맥과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해있기 때문에 서남서풍이 잦다.
고산(북)
고산은 겨울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크게 받는 섬의 북서 해안지대로 양쯔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에 의해 주로 북풍이 잦다.
제주(북북동)
지리적, 기후학적 원인으로 주로 난기단인 해양성 열대기단과 대륙성 열대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겨울철에도 북서쪽 대륙성기단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해양을 지나면서 약화되어 변질된 찬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2.6.2.6 전체 평균 운량 및 일사량 비교
운량과 일사량의 상관관계 제주지역 일조와 운량의 변동 특성연구, 김대준,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179~201
일사량과 운량은 기후학적으로도 가장 관련이 높으며, 이에 대한 관련보고는 많은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Wang et al.(1993)은 1951년부터 1980년까지 운량과 기후인자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운량과 일조시간의 상관관계는 -0.72로 나타났다고 보고한 바 있다.Angell et al.(1984)은 1950-1982 기간동안 운량과 일조율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운량의 증가가 일조율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먼지, 연무, 박무 등은 일조시간의 장기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연구한 바 있다. 세계적으로 운량과 일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조율은 제주도와 고산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겨울철에는 북서풍 계열 바람이 주로 불기 때문에 한라산에 의한 지형적인 영향을 받음으로 인하여 풍상 측에 하층운이 생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2.6.3 기후에 따른 지역별 家 구조 이중근, 한국주거문화사, 우정문고, 2013, p47~49
홍형옥, 한국住居史, 민음사, 1992, p202~205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ㄱ자형과 ㄴ자형, ㅁ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ㅡ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남부지방의 주거공간에는 큰방, 작은방, 부엌으로 나누어지며, 부엌은 주로 왼쪽(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은 남쪽 방향)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했다. 그리고 대청이 있는 4칸 집일 경우에는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어 햇볕을 이용하여 따뜻한 방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지붕의 줄매기는 일자매기를 많이 했다.
네 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릿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그리고 툇마루로 된 다섯 칸잡이 집에서는 주로 부엌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큰방과 건넌방을 두었으며, 지붕의 줄매기는 서해안 지방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마름모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를 주로 했다.
제주도(고산포함)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섬으로써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ㅡ자형과 북부지방의 田자형 초가로 골고루 분포되고 있다. 제주도는 온난한 기후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 관계로 새풀을 엮어 지붕을 덮고 강한 바람에도 날리지 않도록 굵은 줄로 촘촘히 묶어 대비한다.
3. 결론
대한민국 5개 지역(춘천, 전주, 포항, 고산, 제주)의 기후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지형적 특성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가 도출되어졌다. 분석한 결과, 5개소의 지역 중 제주는 해양성기후로 한반도 남단에 위치하며 난류가 흘러 최고 기온을 나타낸 반면, 춘천은 대륙성 기후로 산악지형의 특성을 보여 최저 기온을 나타내었다. 또한 냉난방도일은 제주와 춘천이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냉난방도일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제주의 경우 앞서 말한 특성과 동일하며 한반도에서 남단에 위치하여 일평균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아 난방도일이 낮게 나타난다. 반면, 춘천의 경우 제주와는 정반대 성향을 나타내 냉방도일이 낮은 것이다. 습도와 운량 그리고 일사량 또한, 제주가 풍향과 지형적 특성(ex 한라산)에 의해 높이 나타난다. 우리가 조사한 5지역은 어떤 지역이 정말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비교로 지역마다의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나 제주와 춘천이 우리가 조사한 다른 지역에 비해 지형적 특성이 기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축도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었다. 기후요소와 지형의 위치 등 각 지방별로 건축의 구조가 달랐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후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한 후 현대에 건축물을 설계할 때에 반영한다면 지역에 맞는 건축 더 나아가 에너지 효율 측면까지 고려할 수 있다.
4. 후기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주제에 대한 소재들을 하나하나씩 분석해가며 기후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기후가 건축에 까지 연결되며 더 나아가면 에너지 측면까지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이러한 것을 대한민국 설계에도 명확한 조사만 되어 있다면 좋은 건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가 힘들었지만 자료가 모일수록 당연시 생각했던 지역의 특성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까지도 알게 되어 본 레포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국적도 다르고 많은 조원들끼리 각자 리서치를 하면서 지루한 면도 있었지만 새로운 사실들을 깨우치면서 조원들과 의논하고 또한 외국인 조원의 생각까지도 알게 되어 지식을 넓혀가며 신기한 점을 많이 발견하였다. 너무나 빨리 가는 시간이 야속하기는 하였지만 분명 낭비되지 않는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정리
기상청 홈페이지 www.kma.go.kr
과학백과사전 및 학습용어 개념사전, 용어해설, ‘기후(climate)’ 氣候 , (주)북이십일저자, 이영규 외 4人
제주지역 일조와 운량의 변동 특성연구, 김대준,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179~201
이중근, 한국주거문화사, 우정문고, 2013, p47~49
홍형옥, 한국住居史, 민음사, 1992, p202~205
포항(서남서)
한반도 남동쪽 동해안에 위치한 포항지방은 북서쪽으로는 1,000m 이상의 준령들이 줄지어 태백산맥과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해있기 때문에 서남서풍이 잦다.
고산(북)
고산은 겨울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크게 받는 섬의 북서 해안지대로 양쯔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에 의해 주로 북풍이 잦다.
제주(북북동)
지리적, 기후학적 원인으로 주로 난기단인 해양성 열대기단과 대륙성 열대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겨울철에도 북서쪽 대륙성기단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해양을 지나면서 약화되어 변질된 찬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2.6.2.6 전체 평균 운량 및 일사량 비교
운량과 일사량의 상관관계 제주지역 일조와 운량의 변동 특성연구, 김대준,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179~201
일사량과 운량은 기후학적으로도 가장 관련이 높으며, 이에 대한 관련보고는 많은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Wang et al.(1993)은 1951년부터 1980년까지 운량과 기후인자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운량과 일조시간의 상관관계는 -0.72로 나타났다고 보고한 바 있다.Angell et al.(1984)은 1950-1982 기간동안 운량과 일조율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운량의 증가가 일조율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먼지, 연무, 박무 등은 일조시간의 장기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연구한 바 있다. 세계적으로 운량과 일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조율은 제주도와 고산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겨울철에는 북서풍 계열 바람이 주로 불기 때문에 한라산에 의한 지형적인 영향을 받음으로 인하여 풍상 측에 하층운이 생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2.6.3 기후에 따른 지역별 家 구조 이중근, 한국주거문화사, 우정문고, 2013, p47~49
홍형옥, 한국住居史, 민음사, 1992, p202~205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ㄱ자형과 ㄴ자형, ㅁ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ㅡ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남부지방의 주거공간에는 큰방, 작은방, 부엌으로 나누어지며, 부엌은 주로 왼쪽(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은 남쪽 방향)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했다. 그리고 대청이 있는 4칸 집일 경우에는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어 햇볕을 이용하여 따뜻한 방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지붕의 줄매기는 일자매기를 많이 했다.
네 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릿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그리고 툇마루로 된 다섯 칸잡이 집에서는 주로 부엌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큰방과 건넌방을 두었으며, 지붕의 줄매기는 서해안 지방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마름모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를 주로 했다.
제주도(고산포함)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섬으로써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ㅡ자형과 북부지방의 田자형 초가로 골고루 분포되고 있다. 제주도는 온난한 기후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 관계로 새풀을 엮어 지붕을 덮고 강한 바람에도 날리지 않도록 굵은 줄로 촘촘히 묶어 대비한다.
3. 결론
대한민국 5개 지역(춘천, 전주, 포항, 고산, 제주)의 기후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지형적 특성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가 도출되어졌다. 분석한 결과, 5개소의 지역 중 제주는 해양성기후로 한반도 남단에 위치하며 난류가 흘러 최고 기온을 나타낸 반면, 춘천은 대륙성 기후로 산악지형의 특성을 보여 최저 기온을 나타내었다. 또한 냉난방도일은 제주와 춘천이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냉난방도일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제주의 경우 앞서 말한 특성과 동일하며 한반도에서 남단에 위치하여 일평균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아 난방도일이 낮게 나타난다. 반면, 춘천의 경우 제주와는 정반대 성향을 나타내 냉방도일이 낮은 것이다. 습도와 운량 그리고 일사량 또한, 제주가 풍향과 지형적 특성(ex 한라산)에 의해 높이 나타난다. 우리가 조사한 5지역은 어떤 지역이 정말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비교로 지역마다의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나 제주와 춘천이 우리가 조사한 다른 지역에 비해 지형적 특성이 기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축도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었다. 기후요소와 지형의 위치 등 각 지방별로 건축의 구조가 달랐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후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한 후 현대에 건축물을 설계할 때에 반영한다면 지역에 맞는 건축 더 나아가 에너지 효율 측면까지 고려할 수 있다.
4. 후기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주제에 대한 소재들을 하나하나씩 분석해가며 기후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기후가 건축에 까지 연결되며 더 나아가면 에너지 측면까지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이러한 것을 대한민국 설계에도 명확한 조사만 되어 있다면 좋은 건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가 힘들었지만 자료가 모일수록 당연시 생각했던 지역의 특성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까지도 알게 되어 본 레포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국적도 다르고 많은 조원들끼리 각자 리서치를 하면서 지루한 면도 있었지만 새로운 사실들을 깨우치면서 조원들과 의논하고 또한 외국인 조원의 생각까지도 알게 되어 지식을 넓혀가며 신기한 점을 많이 발견하였다. 너무나 빨리 가는 시간이 야속하기는 하였지만 분명 낭비되지 않는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정리
기상청 홈페이지 www.kma.go.kr
과학백과사전 및 학습용어 개념사전, 용어해설, ‘기후(climate)’ 氣候 , (주)북이십일저자, 이영규 외 4人
제주지역 일조와 운량의 변동 특성연구, 김대준,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179~201
이중근, 한국주거문화사, 우정문고, 2013, p47~49
홍형옥, 한국住居史, 민음사, 1992, p202~2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