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와 절대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레포트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레포트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상대평가 배경 및 문제점
절대평가 도입의 필요성
학생들의 인식조사

3. 결론

본문내용

생각이 들었어요. 상대평가에 불만을 느껴보지 못했던 저도 상대평가에 불만을 느낄 정도였어요.”
○○대학교 신소재공학과 3학년 이○빈씨 인터뷰(면대면 인터뷰)
“상대평가는 내가 열심히 한다고 좋은 점수를 얻는게 아니고 그 그룹 내에 내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거니까 노력하고도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서 형평성에 조금 어긋난다고 생각해요. 실제로 저도 친구들보다 좋은 점수를 받으려고 견제하고 경쟁해야 하는게 힘들었어요. 상대평가를 대신해서 평가할 수 있는 방식을 생각했을 때 절대평가가 실시되면 좋을거 같아요. 친구들이랑 서로 도우면서 공부하고 다 같이 성적을 잘 받자는 분위기가 형성 할 수 있으니까 경쟁심에 대한 스트레스도 줄고 효율도 올라가니까 공부할 때 덜 예민해지고 공부도 재밌게 할 수 있을거 같아요.”
○○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4학년 윤○석씨 인터뷰(전화 인터뷰)
“제가 취준생 겸 현재 졸업반으로써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는 둘 다 경험해봤어요. 4학년이 되면서 절대평가로 하는 시험이 많아지더라고요. 상대평가는 밑도 끝도 없는 공부의 연속이여서 아는 내용인데도 계속 공부해야하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압박감에 시달렸어요. 하지만 절대평가를 해봤을 때 어느 정도 기준에 도달하면 합격을 하거나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기때문에 그 기준에 미달되면 오히려 더 동기부여가 되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상대평가를 했을 때는 시간이 낭비된다고 생각했는데 절대평가를 했을 때는 상대평가를 했을 때보다 오히려 시간을 더 잘 활용할 수 있었던 거 같아요. 결과적으로 어떤 평가가 더 발전적일 수 있는가를 생각해봤을 때 저는 절대평가가 더 자신에게 더 발전적인 결과를 가져 왔던 거 같아요.”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3학년 추○홍씨 인터뷰(면대면 인터뷰)
“2학년 2학기 때 중간고사를 봤을 때의 일화를 말씀드리자면 아무래도 상대평가다보니까 다른 친구들보다 잘 봐야 성적이 잘 나오기 때문에 밤을 새면서 공부했었어요. 시험 당일 날 학교를 갔을 때는 저 빼고 다른 친구들은 모두 소위 말하는 족보를 가지고 있었고 밥을 굶으면서까지 했던 공부를 허무하게 망치고 말았어요. 절대평가였다면 정말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성적을 잘 맞았을 텐데 족보를 가지고 있던 친구들은 노력 없이 저보다 성적을 더 잘 얻은 거니까 많이 억울하더라고요. 족보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도 물론 있겠지만 절대평가였으면 제 상황이 조금 더 나아지지 않았을까 해요.”
특성이 다른 여러 학과 학생들에게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놀랍게도 네 명 모두 상대평가가 불합리하다고 인식하였다. 즉, 상대평가에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학생들에게는 더 크게 다가온다는 것이다. 상대평가가 더욱 세밀하게 학생들의 점수를 나누어 기업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을 학점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정작 학생들의 노력을 무시하게 되는 한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평가가 원하는 본질적인 부분이 훼손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앞서 절대평가 도입의 시급성을 이야기 했던 생각과 학생들의 생각이 비슷하였고 이를 인터뷰함으로써 절대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4. 결론
절대평가의 재도입은 오늘날 대학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지향하는 평가로 학생들의 목표 의식을 높여주는 평가이다. 학점이 사람의 인생에서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대학에 와 전공을 선택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전공을 선택하여 자신의 장을 펼치는 것이야말로 학생들이 대학에 온 이유라고 생각한다. 학생들도 자신의 노력이 상대평가로 인해 가려지기보다 그들의 목표를 더욱 보여줄 수 있는 절대평가가 필요함을 학교에 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학교 측도 학생들의 노력과 목표 더 나아가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평가방식에 변화를 주어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 좀 더 힘을 실어 주는 것이 어떠할까. 상대평가 제도로 인해 학점 자체에 집착하기보다 더욱 자신의 재량을 펼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학생들의 작은 날갯짓이 큰 효과를 불러오기를 기대하며 학교 기관과 교수들 학생들 모두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4.1 참고문헌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3126903&memberNo=5246326&vType=VERTICAL
이해나,「“학생 간 경쟁 무의미한 시대”, 절대평가가 돌아온다.」,『교수신문』,2018.04.02
김진한.『교사를 위한 교육학』.학지사.2011
이종만.『교육학개론』.학지사.2016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4.15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