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젠더갈등 문제와 개선 방안(8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사회의 젠더갈등 문제와 개선 방안(8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정치계의 젠더갈등 문제
2) 젠더갈등의 사회적 현상
3) 젠더갈등의 배경 및 원인
4) 진정한 남녀평등을 위한 개선안
결론

본문내용

는 생각을 해봐야 할 문제이다. 기업이나 국가가 원하는 인재, 또한 국민이 원하는 그들의 대표인 정치인은 여성이나 남성이 아니다. 일을 잘하고 능력이 있고, 올바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을 원한다. 여성이 더 많아질 수도 있고 남성이 더 많아질 수도 있다. 다만, 남성이나 여성을 동등한 입장에서 능력 위주로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고, 당연히 여성은 사회적 약자이니 별도로 보장을 해줘야 한다는 것은 이미 남녀가 다르다는 전제하에 또 다른 차별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다룬 바와 같이 많은 신조 혐오 표현, 차별 표현이 생겨났지만, 이미 그 전부터 우리 사회에는 차별적인 표현들이 있었고, 잘 느끼지 못할 뿐이지 사회 곳곳에서 젠더를 구분하는 단어들이 많다. 이러한 단어들을 사용하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남녀를 구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경찰이면 경찰이지 왜 남경이란 단어는 거의 쓰지 않으면서 여경이라는 단어는 공공연하게 쓰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싶다. 여군이라는 용어 또한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근본적으로 남자와 여성을 구분하는 사회적인 풍토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 어떠한 정책을 만들어 내고, 젠더 간의 의식 차이를 줄이려고 노력한다 해도 그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사람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쓰이는 말이 차별과 혐오의 표현들이다. 차별 및 비하 표현들은 사람들의 대립과 갈등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일단 만들어진 이후에는 거꾸로 대립과 갈등을 더욱 심하게 부추기는 수단으로 쓰인다. 결국 이러한 표현들은 사회에 부정적인 기능을 하는 표현들이다.
3. 결론
우리 부모님은 종종 나에게 이런 말씀을 하시곤 했다. 세상에 틀린 것은 없고, 다를 뿐이라고 하셨다.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면 갈등과 논란을 피하고 서로 이해하고 항상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하셨다.
남자와 여자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신체 구조도 다르고 뇌 구조도 다르다. 그래서 음과 양의 조화처럼 서로에게 끌리게 되고 결혼을 해서 애를 낳고 인류가 지속해서 유지되어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다름을 옳고 그름의 흑백논리로 구분하기 시작하면 서로에게 유익한 중간 점을 찾기가 힘든 것이다.
20만 명이 동의한 국민청원의 40%가 무려 오늘 다룬 젠더 이슈라고 한다. 그만큼 젠더 갈등이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데, 이런 관심을 조금 더 성숙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정부의 역할, 언론의 역할, 정치인이나 기업인들의 올바른 인식, 학교 및 가정에서의 올바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젠더 갈등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지만, 젊은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점으로 인식해야 한다. 가정에서부터 시작해서 혐오가 아닌 이해와 다름의 인정이 필요하다.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고, 상대방을 자극하는 말 대신에 부드러운 말을 사용할 때 의사 표현도 더 효과적으로 가능하다. 학교에서도 올바른 인식 교육을 통해 어려서부터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 직장에서도 남녀를 불문하고 동등한 기회 아래서 성과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남성을 존중하거나 여성을 배려하기 이전에 인간을 존중해야 한다. 정부와 정치계의 중요한 역할은 젠더를 구분한 상태에서의 특화된 정책을 고민하기 이전에 구분 없이 모두에게 평등한 정책을 만드는 것이 더 큰 과제일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 / 강원택, 구인회 외 3인 저 / 푸른길 / 2018.06.15
2. 한국의 성평등 보고서 / 여성가족부 저 / 진한엠앤비 / 2018.07.28
3. 젠더 내 세대격차인가, 세대 내 젠더격차인가? : 청년 여성의 자기평가 이념과 정책태도 분석 /
박선경 저 / 한국정당학회보 제19권 제2호 / 2020.06
4. 평화와 혐오의 시대, 성평등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모색 / 조영주 저 /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통권 제 122호 / 2019.06
5. 한국어와 한국사회의 혐오, 차별 표현 / 이정복 교수 / 국립국어원 /
[참고기사]
1. 젠더정치 시대의 개막 / 중앙선데이 / 2018.08.18.
- https://news.joins.com/article/22894458
2. 고개든 여, 등돌린 남, ‘2030’ 젠더갈등 심화 / THE 300 / 2020.04.06.
- https://the300.mt.co.kr/newsView.html?no=2020040512357661894
3. ‘정치-젠더’ 갈등에 멍드는 게임... ‘던파/서든2’ 희생양? / 머니투데이 / 2018.08.03
- https://news.mtn.co.kr/v/2018080314153182285
4. 한국 사회를 휩쓴 ‘젠더 갈등’, 해결 방법은 없을까? / 사이언스 투데이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20&key=201908211651161884&page=4
5. 문재인이 “페미니스트 대통령 되겠다”며 성평등 공약을 발표했다 /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2017.02.16
- https://www.huffingtonpost.kr/2017/02/16/story_n_14788070.html
6. ‘젠더 갈등’ 이용하는 정치권... 양성평등 빌미 “표 싸움” 논란 / 2020.12.06
- https://www.ajunews.com/view/20190123162012680
7. 대림동 여경 논란이 뜻하는 것 / 경향신문 / 2019.05.1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5191641011&code=940100
8. ‘젠더 갈등’ 부글 부글... “문제는 정부다” / 매일경제 / 2019.03.18
-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03/160222/
9. 성재기 사망, “여성부 필요없다?” 폐지론 다시 공방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3073019395952978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4.16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