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완전경쟁시장
2.1.1 완전경쟁시장의 성립 조건
2.1.2 완전경쟁시장의 수요 공급곡선
2.1.3 장기조정(long-run adjustment)
2.2 불완전경쟁시장
2.2.1 독점시장
2.2.2 독점적 경쟁시장
2.2.2.1 독점적 경쟁시장의 수요 공급 곡선
2.2.2.2 독점적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
2.2.3 과점시장
3.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2.1 완전경쟁시장
2.1.1 완전경쟁시장의 성립 조건
2.1.2 완전경쟁시장의 수요 공급곡선
2.1.3 장기조정(long-run adjustment)
2.2 불완전경쟁시장
2.2.1 독점시장
2.2.2 독점적 경쟁시장
2.2.2.1 독점적 경쟁시장의 수요 공급 곡선
2.2.2.2 독점적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
2.2.3 과점시장
3.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비자의 욕구 충족이나 효율적인 생산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는 없다.
2.2.2.1 독점적 경쟁시장의 수요 공급 곡선
특정한 제품을 선호하는 사람은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업들은 어느 정도의 독점력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독점적 경쟁기업은 가격을 조정하면 거래량 또한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독점적 경쟁기업의 균형은 독점기업과 비슷하게 발생하게 된다.
2.2.2.2 독점적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
독점적 경쟁 시장의 균형은 독점기업의 균형과 차이가 있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손해를 보는 기업은 곧 빠져나가게 된다. 하지만 특정 독점적 경쟁 기업이 ‘플러스’의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면 다른 기업에서 유사한 상품을 내놓으면서 이 시장에 진입할 유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시장 전체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존의 독점적 경쟁 시장 기업의 이윤은 D1에서 D2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볼 때 기존의 독점적 경쟁기업의 이윤은 ‘0’이 된다.
2.2.3 과점시장
과점시장이란 소수의 기업만이 서로 경쟁하여 하나의 재화를 공급하는 시장 형태이다. 이 시장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조업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승용차 등 대량으로 소비되는 상품들이 주로 과점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과점시장에서 소수 기업의 의사 결정은 상대방의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어떤 기업의 이익은 시장에서 주어지는 가격과 자신의 의사 결정에 의해서 무조건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업의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즉, 서로 기업 간의 의존 관계가 크기 때문에 한 기업은 다른 기업의 반응을 고려하여 가격이나 생산량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균형 상태에 있는 과점시장에서는 공급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공급량이 적은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공급량이 적게 조절되기 때문에 보통 재화의 가격은 완전경쟁시장에 비하여 더 높게 결정된다. 또는, 과점시장에서 과점 기업끼리 서로 결정을 통해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이를 담합이라고 한다.
담합은 과점시장에서 어떤 한 기업이 가격을 낮출 경우 다른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 더 큰 폭의 가격 인하를 하게 될 가능성이 생기는데, 이렇게 되면 모두에게 마이너스의 이윤이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피하고자 담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과점시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담합 정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해야 한다. 첫 번째로 각 기업이 담합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을 한다는 전제하에 과점시장을 분석하는 이론들을 파악해야하고, 두 번째로는 각 기업들이 암묵적으로 담합하고 행동한다는 전제하에 분석을 해야 한다는 이론을 파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기업이 완전하게 담합하고 행동한다는 이론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 카르텔(cartel)이다. 카르텔이란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특정 시장의 지배를 목적으로 하여 결성하는 경우로, 카르텔은 각 기업의 생산량을 할당하여 분배하고 이윤은 서로의 능력에 따라서 나뉘기 때문에 균형이 발생할 경우 독점기업의 균형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적은 이윤을 할당받게 되는 기업이 독자적으로 행동함으로써 붕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형태라고는 할 수 없다.
3. 결론
안정적으로 시장 수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업이 같은 가격과 생산량을 가지고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최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서로 경쟁으로 인한 발전을 막을 것이고 따라서 대부분의 사회는 불완전경쟁시장의 형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불완전경쟁시장은 독점 시장, 경쟁적 독점 시장, 과점시장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 세 가지의 시장 형태와 완전경쟁시장의 정의, 그리고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마무리 하였다.
출처 및 참고문헌
황인학, (1998). 시장구조와 경쟁효율-불완전경쟁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의의,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이유라, (2019). 관광숙박업의 이윤함수 추정을 통한 완전경쟁시장과 불완전경쟁시장의 비교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세영, (2017). 과점시장에서의 공동의 시장지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유태현, (2015). 전력 시장에서 수요 반응에 의한 시장지배력 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2.2.1 독점적 경쟁시장의 수요 공급 곡선
특정한 제품을 선호하는 사람은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업들은 어느 정도의 독점력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독점적 경쟁기업은 가격을 조정하면 거래량 또한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독점적 경쟁기업의 균형은 독점기업과 비슷하게 발생하게 된다.
2.2.2.2 독점적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
독점적 경쟁 시장의 균형은 독점기업의 균형과 차이가 있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손해를 보는 기업은 곧 빠져나가게 된다. 하지만 특정 독점적 경쟁 기업이 ‘플러스’의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면 다른 기업에서 유사한 상품을 내놓으면서 이 시장에 진입할 유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시장 전체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존의 독점적 경쟁 시장 기업의 이윤은 D1에서 D2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볼 때 기존의 독점적 경쟁기업의 이윤은 ‘0’이 된다.
2.2.3 과점시장
과점시장이란 소수의 기업만이 서로 경쟁하여 하나의 재화를 공급하는 시장 형태이다. 이 시장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조업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승용차 등 대량으로 소비되는 상품들이 주로 과점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과점시장에서 소수 기업의 의사 결정은 상대방의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어떤 기업의 이익은 시장에서 주어지는 가격과 자신의 의사 결정에 의해서 무조건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업의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즉, 서로 기업 간의 의존 관계가 크기 때문에 한 기업은 다른 기업의 반응을 고려하여 가격이나 생산량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균형 상태에 있는 과점시장에서는 공급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공급량이 적은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공급량이 적게 조절되기 때문에 보통 재화의 가격은 완전경쟁시장에 비하여 더 높게 결정된다. 또는, 과점시장에서 과점 기업끼리 서로 결정을 통해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이를 담합이라고 한다.
담합은 과점시장에서 어떤 한 기업이 가격을 낮출 경우 다른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 더 큰 폭의 가격 인하를 하게 될 가능성이 생기는데, 이렇게 되면 모두에게 마이너스의 이윤이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피하고자 담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과점시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담합 정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해야 한다. 첫 번째로 각 기업이 담합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을 한다는 전제하에 과점시장을 분석하는 이론들을 파악해야하고, 두 번째로는 각 기업들이 암묵적으로 담합하고 행동한다는 전제하에 분석을 해야 한다는 이론을 파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기업이 완전하게 담합하고 행동한다는 이론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 카르텔(cartel)이다. 카르텔이란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특정 시장의 지배를 목적으로 하여 결성하는 경우로, 카르텔은 각 기업의 생산량을 할당하여 분배하고 이윤은 서로의 능력에 따라서 나뉘기 때문에 균형이 발생할 경우 독점기업의 균형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적은 이윤을 할당받게 되는 기업이 독자적으로 행동함으로써 붕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형태라고는 할 수 없다.
3. 결론
안정적으로 시장 수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업이 같은 가격과 생산량을 가지고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최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서로 경쟁으로 인한 발전을 막을 것이고 따라서 대부분의 사회는 불완전경쟁시장의 형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불완전경쟁시장은 독점 시장, 경쟁적 독점 시장, 과점시장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 세 가지의 시장 형태와 완전경쟁시장의 정의, 그리고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마무리 하였다.
출처 및 참고문헌
황인학, (1998). 시장구조와 경쟁효율-불완전경쟁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의의,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이유라, (2019). 관광숙박업의 이윤함수 추정을 통한 완전경쟁시장과 불완전경쟁시장의 비교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세영, (2017). 과점시장에서의 공동의 시장지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유태현, (2015). 전력 시장에서 수요 반응에 의한 시장지배력 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키워드
추천자료
수요 독점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각 시...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각 시...
[기업경제학 공통]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에서 중요하다고 생각...
[경제학과] [방통대 경제학과 3학년 기업경제학 공통]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
[방통대 경제학과 3학년 기업경제학 공통]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
[경제학과] [방통대 경제학과 3학년 기업경제학 공통]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
[방통대 경제학과 3학년 기업경제학 공통]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