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물질만능주의
(2) 자존감은 사회적 산물
(3) 자존감과 사회적 연대
(4) 자존감과 심리적 문제
(5) 가치 역전의 시대
결론
본론
(1) 물질만능주의
(2) 자존감은 사회적 산물
(3) 자존감과 사회적 연대
(4) 자존감과 심리적 문제
(5) 가치 역전의 시대
결론
본문내용
늘어나는 다문화 학생들이 남들과 같은 권리를 얻고 평등하게 대우받으며 행복하게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5) 가치 역전의 시대
사람들이 은연중에 사회적 비교로 인해 상처를 입는 것은 인간을 돈이나 사회적 지위로 평가하는 잘못된 가치 판단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준이 잘못된 것임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도 외부에서 이러한 기준으로 평가당할 경우 자존감이 떨어지기 쉽다. 책의 저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사회적 비교가 본의 아니게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잘못된 기준으로 사회적 비교를 한 결과에 따라 사람들을 차별하거나 무시하고 학대하는 문화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중략) 바꿔 말하자면 사회적으로 아주 낮은 평가를 받아 마땅한 사람들이 권력과 부를 거머쥐고 오히려 떵떵거리며 큰소리를 치는 본말전도, 가치 역전의 사회라 할 수 있다. 201-202쪽
이처럼 인간을 본연의 가치로 대하지 않고 불의한 잣대로 평가하는 사회는 결국 사회적 우위에 있는 소수를 빼놓고는 수많은 국민을 열등감으로 이끌 가능성이 있다. 국가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지닌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고 서로 공감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인식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결론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에서는 다문화 시대에 소수자들의 억압을 초래할 수 있는 ‘가짜 자존감’이 팽배한 사회의 위험성을 밝히고 있다. 21세기 한국에서 산다는 것이 혐오와 차별 그리고 세대 간 갈등의 위험 속에서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우리 모두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지키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것을 추구한다. 오늘날 자존감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조건과 계층을 뛰어넘어 여러 기반의 문화를 지닌 집단이 모두 지켜야 하는 것임을 점차 많은 사람이 인식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다문화주의 시대의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개방적인 자세를 지닐 수 있도록 정책을 진흥하고 홍보를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우리 모두의 진짜 자존감을 찾는 심리학 공부”, 2018, 갈매나무
유정민, 다문화방송신문,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란 무엇인가?’, 작성일자 2019.10.17. 출력일자 2020.04.05.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YES24, 출력일자 2020.04.05
(5) 가치 역전의 시대
사람들이 은연중에 사회적 비교로 인해 상처를 입는 것은 인간을 돈이나 사회적 지위로 평가하는 잘못된 가치 판단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준이 잘못된 것임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도 외부에서 이러한 기준으로 평가당할 경우 자존감이 떨어지기 쉽다. 책의 저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사회적 비교가 본의 아니게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잘못된 기준으로 사회적 비교를 한 결과에 따라 사람들을 차별하거나 무시하고 학대하는 문화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중략) 바꿔 말하자면 사회적으로 아주 낮은 평가를 받아 마땅한 사람들이 권력과 부를 거머쥐고 오히려 떵떵거리며 큰소리를 치는 본말전도, 가치 역전의 사회라 할 수 있다. 201-202쪽
이처럼 인간을 본연의 가치로 대하지 않고 불의한 잣대로 평가하는 사회는 결국 사회적 우위에 있는 소수를 빼놓고는 수많은 국민을 열등감으로 이끌 가능성이 있다. 국가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지닌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고 서로 공감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인식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결론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에서는 다문화 시대에 소수자들의 억압을 초래할 수 있는 ‘가짜 자존감’이 팽배한 사회의 위험성을 밝히고 있다. 21세기 한국에서 산다는 것이 혐오와 차별 그리고 세대 간 갈등의 위험 속에서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우리 모두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지키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것을 추구한다. 오늘날 자존감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조건과 계층을 뛰어넘어 여러 기반의 문화를 지닌 집단이 모두 지켜야 하는 것임을 점차 많은 사람이 인식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다문화주의 시대의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개방적인 자세를 지닐 수 있도록 정책을 진흥하고 홍보를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우리 모두의 진짜 자존감을 찾는 심리학 공부”, 2018, 갈매나무
유정민, 다문화방송신문,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란 무엇인가?’, 작성일자 2019.10.17. 출력일자 2020.04.05.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YES24, 출력일자 2020.04.05
키워드
추천자료
다문화 가족(가정)에 대하여 (결혼 이민자 가족)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교육현장에서 소외되는 문제사례를 스크랩하고, 문제점 분석 및 이에 ...
[교육기관진행다문화교육프로그램] 교육기관에서 진행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나 매체활용 강...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교육론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교육 ...
2020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선량한 차별주의자" 인...
가짜자존감을 권하는 사회을 읽고 다음에 답하시오
[사이버대학] 다문화교육론 )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 가장 인상적인 문단 다섯가지를 제...
다문화교육론 )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 가장 인상적인 문단 다섯가지를 제시하고 그 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