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1 강우특성과 유출특성
2.1.1 우리나라
(1) 강우특성
(2) 유출특성
(3) 부존량과 사용현황
2.1.2 인천
(1) 급수현황
(2) 지하수 부존량
2.3 비교
2.4 하천수 수질기준 ‘좋음(Good)’ 등급의 수질 이해
(1) 기준
(2) 상태
(3) 생물학적 특성
Ⅲ. 결론
Ⅱ. 본론
2.1 강우특성과 유출특성
2.1.1 우리나라
(1) 강우특성
(2) 유출특성
(3) 부존량과 사용현황
2.1.2 인천
(1) 급수현황
(2) 지하수 부존량
2.3 비교
2.4 하천수 수질기준 ‘좋음(Good)’ 등급의 수질 이해
(1) 기준
(2) 상태
(3) 생물학적 특성
Ⅲ. 결론
본문내용
인 ‘매우 좋음’과 ‘약간 좋음’의 상태를 살펴 봄으로서 ‘좋음’의 수질 상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가장 좋은 수질 수준인 ‘매우 좋음’은,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여과, 살균등 간당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정도이다. 정수처리를 거친 아주 깨끗한 물로, 수질의 ‘좋음’수준의 물은 자연 상태 중에 있는 하천 수 중 ‘생태계’가 형성돼 있는 물이다. 수질단계의 ‘좋음’ 보다 낮은 ‘약간 좋음’은,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으나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로 여과, 침전, 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정의돼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음용은 어려우나 인체에 무해한 용수이다.
(3) 생물학적 특성
‘좋음’ 수준의 수질을 가진 용수의 생태계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매우 좋음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와, 보통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이다. 매우 좋음과 좋음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등급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생물지표종과 서식지 및 생물의 특성이다. 생물 지표종 중 저서(儲胥)생물은, 옆새우, 가재, 뿔하루살이, 민하루살이, 강도래, 물날도래, 광택날도래, 띠무늬우묵날도래, 바수염날도래가 있으며, 어류로는 산천어, 금강모치, 열목어, 버들치 등이 있다. 서식지와 생물의 특성으로는, 물이 매우 맑으며 유속이 빠른 편이다. 또한 바닥은 주로 바위와 자갈로 구성돼 있으며 부착조류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두 번째인 좋음과 보통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의 저서생물은, 다슬기, 넓적거머리, 강하루살이, 동양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물삿갓벌레, 큰줄날도래가 있으며 어류로는 쉬리, 갈겨니, 은어, 쏘가리 등이 있다. 이곳의 서식지 및 생물 특성으로는, 물이 맑으며 유속은 매우 좋음에 비해서는 느리나 하위단계보다는 빠른 편이다. 또한 바닥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성돼 있다. 또한 부착조류가 약간 있는 편이다.
Ⅲ. 결론
본문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해를 위해 강우특성과 유출특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만큼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여름철 강수량은 전체 강수량의 절반을 차지하거나 많을 때는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 또한 지리적 요건의 영향으로 물이 쉽게 범람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필요할 때는 물이 적어 가뭄에 시달리기도 한다. 전국적인 경향은 이렇지만, 부분적인 경향을 알기위해 인천의 수자원 현황을 봤다. 인천은 전국 평균 1일 수요량보다도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하수, 담용수 등의 대체자원 마련으로 부족함 없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가로 수질 평가 항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성우, 성은혜, 2010, 인천광역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하수열 활용방안, 인천발전연구원
세어도 지하수 부존량 및 해수담수화시설 타당성 조사 용역: 세어도 지하수 부존량 조사결과보고서, 20130819,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시설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공식사이트
(3) 생물학적 특성
‘좋음’ 수준의 수질을 가진 용수의 생태계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매우 좋음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와, 보통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이다. 매우 좋음과 좋음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등급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생물지표종과 서식지 및 생물의 특성이다. 생물 지표종 중 저서(儲胥)생물은, 옆새우, 가재, 뿔하루살이, 민하루살이, 강도래, 물날도래, 광택날도래, 띠무늬우묵날도래, 바수염날도래가 있으며, 어류로는 산천어, 금강모치, 열목어, 버들치 등이 있다. 서식지와 생물의 특성으로는, 물이 매우 맑으며 유속이 빠른 편이다. 또한 바닥은 주로 바위와 자갈로 구성돼 있으며 부착조류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두 번째인 좋음과 보통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의 저서생물은, 다슬기, 넓적거머리, 강하루살이, 동양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물삿갓벌레, 큰줄날도래가 있으며 어류로는 쉬리, 갈겨니, 은어, 쏘가리 등이 있다. 이곳의 서식지 및 생물 특성으로는, 물이 맑으며 유속은 매우 좋음에 비해서는 느리나 하위단계보다는 빠른 편이다. 또한 바닥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성돼 있다. 또한 부착조류가 약간 있는 편이다.
Ⅲ. 결론
본문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해를 위해 강우특성과 유출특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만큼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여름철 강수량은 전체 강수량의 절반을 차지하거나 많을 때는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 또한 지리적 요건의 영향으로 물이 쉽게 범람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필요할 때는 물이 적어 가뭄에 시달리기도 한다. 전국적인 경향은 이렇지만, 부분적인 경향을 알기위해 인천의 수자원 현황을 봤다. 인천은 전국 평균 1일 수요량보다도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하수, 담용수 등의 대체자원 마련으로 부족함 없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가로 수질 평가 항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성우, 성은혜, 2010, 인천광역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하수열 활용방안, 인천발전연구원
세어도 지하수 부존량 및 해수담수화시설 타당성 조사 용역: 세어도 지하수 부존량 조사결과보고서, 20130819,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시설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공식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