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설
Ⅱ. 신경발달장애
1. 지적장애
2. 의사소통장애
3, 자폐스펙트럼장애
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5. 특정학습장애
6. 운동장애
Ⅱ. 신경발달장애
1. 지적장애
2. 의사소통장애
3, 자폐스펙트럼장애
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5. 특정학습장애
6. 운동장애
본문내용
), 피모짓(pimozide), 플루페나진(fluphenazine)이 효과적이다. 행동주의 치료로는 습관 반전 훈련이 효과적이다. 습관 반전 훈련은 자각훈련과 이완 훈련으로 시작하고, 양립하기 어려운 반응을 고안하게 해서 이후에 인지치료와 전반적인 행동 양식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자각훈련의 처음에 하는 반응묘사 단계에서는 틱 움직임을 묘사하는 법을 배우고, 거울을 보며 재연을 한다. 치료 프로그램 회기 내에서 틱 증상이 발생할 때 치료자가 즉각적으로 지적해 줌으로써 환자가 틱을 탐지할 수 있도록 돕고, 초기 경고, 즉 틱이 발생할 것 같은 신호를 감지하는 법을 배운다. 상황 자각 훈련으로 틱이 가장 잘 일어나는 고위험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틱을 자각한 다음에는 경쟁반응 연습으로 틱 반응과 반대되는 신체 반응을 하도록 가르친다.
2) 발달적 협응장애
발달적 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는 과거력, 신체 검진, 학교 또는 직장에서의 보고, 표준화된 심리검사들을 통합하여 진단을 내린다. 이 장애를 가진 아동의 경우 발달적 이정표의 성취가 지연된다.
발병은 아동기 초기에 시작되며, 운동발달 과제의 지연 또는 칼과 포크 쥐기, 옷 단추 잠그기 또는 공놀이와 같은 동일한 동작을 시도할 때 처음으로 인지되기도 한다. 중기 아동은 퍼즐 맞추기, 모형 만들기, 공놀이, 손 글씨 쓰기, 소지품 정리하기와 같은 운동 순서와 협응 능력이 요구되는 운동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성인은 운전이나 도구 사용과 같은 복잡하고 자동적인 운동 기술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수행의 어려움을 보인다.
3) 상동증적 운동장애
상동증적 운동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는 반복적이고, 억제할 수 없고, 목적 없어 보이는 운동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목적 없이 머리, 손 또는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이며, 이러한 운동은 멈추려는 노력에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고 반응하기도 한다.
비자해적 상동증적 운동의 경우 몸 흔들기, 양손 퍼덕거리기 또는 돌리기, 얼굴 앞에서 손가락 튕기기나 펄럭이기, 팔 흔들기나 퍼덕거리기, 고개 끄덕이기가 있다. 또한 자해적 상동증적 행동의 예는 반복적으로 머리를 벽에 박기, 얼굴 때리기, 눈 찌르기, 손이나 입술 또는 신체 부위를 물어뜯기 등인데, 하루에도 여러 차례 나타나고 몇 초에서 수 분 혹은 그 이상 지속된다.
단순한 상동증적 운동은 영아기에 흔하고, 복합 운동 상동증을 보이는 아동의 80%가 24개월 이전에 증상을 보인다. 전형적인 발달 과정을 보이는 아동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움직임이 감소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지적장애가 있는 경우 상동증적 자해 행동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 사회적 고립 상황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상동증적 행동을 촉발할 수 있다. 공포 상황이 생리적 상태를 변화시켜 이로 인해 상동증적 행동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하위 장애와 특징
하위장애
특징
진단 부합 기간
조현병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밋밋하거나 부적절한 정서,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6개월 이상
조현정동장애
사고장애와 주요우울 삽화 혹은 조증 삽화 혼재
6개월 이상
조현양상장애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밋밋하거나 부적절한 정서,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1~6개월
망상장애
한 가지 이상의 망상 지속, 색정형 · 과대형 · 질투형 · 피해형 · 신체형 망상 등이 있음
1개월 미만
단기정신병적장애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1개월 이내
2) 발달적 협응장애
발달적 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는 과거력, 신체 검진, 학교 또는 직장에서의 보고, 표준화된 심리검사들을 통합하여 진단을 내린다. 이 장애를 가진 아동의 경우 발달적 이정표의 성취가 지연된다.
발병은 아동기 초기에 시작되며, 운동발달 과제의 지연 또는 칼과 포크 쥐기, 옷 단추 잠그기 또는 공놀이와 같은 동일한 동작을 시도할 때 처음으로 인지되기도 한다. 중기 아동은 퍼즐 맞추기, 모형 만들기, 공놀이, 손 글씨 쓰기, 소지품 정리하기와 같은 운동 순서와 협응 능력이 요구되는 운동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성인은 운전이나 도구 사용과 같은 복잡하고 자동적인 운동 기술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수행의 어려움을 보인다.
3) 상동증적 운동장애
상동증적 운동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는 반복적이고, 억제할 수 없고, 목적 없어 보이는 운동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목적 없이 머리, 손 또는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이며, 이러한 운동은 멈추려는 노력에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고 반응하기도 한다.
비자해적 상동증적 운동의 경우 몸 흔들기, 양손 퍼덕거리기 또는 돌리기, 얼굴 앞에서 손가락 튕기기나 펄럭이기, 팔 흔들기나 퍼덕거리기, 고개 끄덕이기가 있다. 또한 자해적 상동증적 행동의 예는 반복적으로 머리를 벽에 박기, 얼굴 때리기, 눈 찌르기, 손이나 입술 또는 신체 부위를 물어뜯기 등인데, 하루에도 여러 차례 나타나고 몇 초에서 수 분 혹은 그 이상 지속된다.
단순한 상동증적 운동은 영아기에 흔하고, 복합 운동 상동증을 보이는 아동의 80%가 24개월 이전에 증상을 보인다. 전형적인 발달 과정을 보이는 아동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움직임이 감소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지적장애가 있는 경우 상동증적 자해 행동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 사회적 고립 상황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상동증적 행동을 촉발할 수 있다. 공포 상황이 생리적 상태를 변화시켜 이로 인해 상동증적 행동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하위 장애와 특징
하위장애
특징
진단 부합 기간
조현병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밋밋하거나 부적절한 정서,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6개월 이상
조현정동장애
사고장애와 주요우울 삽화 혹은 조증 삽화 혼재
6개월 이상
조현양상장애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밋밋하거나 부적절한 정서,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1~6개월
망상장애
한 가지 이상의 망상 지속, 색정형 · 과대형 · 질투형 · 피해형 · 신체형 망상 등이 있음
1개월 미만
단기정신병적장애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긴장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증적 증상
1개월 이내
추천자료
발달장애와 미숙아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책과 사례
[발달장애][청각장애][시각장애]발달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의 개념, 특성과 원인 및 예방 ...
[자폐]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행동,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자폐아동,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증)의 특징, 학습전이, 전반적 ...
[자폐][발달장애]자폐증(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애착증진, 자폐증(전반적 발달장애, ...
[자폐성 장애]자폐성 장애(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의미, 특성, 자폐성 장애(자폐아동,...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 제시한 내용 각각에 대한 효과...
자폐증 장애인의 현황과 문제점 및 사회복지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