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글쓰기 기말시험)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글쓰기 기말시험)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3. 다음 문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
4. 다음 문장에는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예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예들을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5. 여러 가지 내용을 하나의 긴 문장으로 표현한 다음의 두 문장을 적절한 길이의 문장으로 나누어서 써 보시오.
6.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3호에 실려 있다. ‘국어학 13호’는 1987년에 발간되었고, ‘국어학 13호’의 총 면 수는 257쪽인데, 논문이 게재된 면은 58쪽부터 93쪽까지이다.
(12) J. Bybee.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2001). p. 1-376.
(13) D. Sperber. & D. Wilson.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 Row: New York. (1995).
교재에 설명된 참고문헌 작성법의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란에 열거되는 논저들은 관련 서지 사항들이 빠짐없이 다 수록되어야 한다. 저서는 인용 면을 쓰지 않는다. 논문 자료는 논문이 실린 학술지에서 논문의 시작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를 기재한다. 참고문헌의 나열 순서는 국내, 동양의 한자 문화권 , 서양의 논저 순으로 한다. 국내와 동양의 한자 문화권의 논저는 저자의 가나다순으로 배열한다. 참고로 河野六郞는 고노 로쿠노, 梅田博之는 우메다 히로유키, 野間秀樹는 노마 히데키로 발음한다. 서양 논저는 저자 성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인 경우 출간연도 순으로 배열한다. 한 필자의 단독 집필 문헌과 공동 집필 문헌이 섞여 있는 경우 단독 집필 문헌을 출간연도 순으로 배열한 후, 공동 집필 문헌을 적는다. 저서는 “저자명, 저서명, 출판지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순서로 나열한다. 서양책의 경우 성과 이름의 순서로 나열하고, 성과 이름 사이에는 쉼표를 둔다. 우리나라와 한자 문화권 저서는 겹낫표로 표시하고, 서양 책은 이탤릭체를 사용한다.
논문은 필자명, 논문명, 게재지명, 권호수, 출판연도, 게제 면수의 순으로 나열한다. 논문명은 큰따옴표를 사용해 표시한다. 다만 게재지명은 저서로 보아 겹낫표를 쓰고 서양어의 경우에는 이탤릭체로 한다.
이상의 일반적인 원칙을 적용해 참고문헌을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5) 박진호,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한국대학교, 2003, pp. 1~356.
(11) 박창원,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 국어학 13, 국어학회, 1987, pp. 58~93.
(7) 서태룡,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pp. 112~158.
(10) 이숭녕.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2.
(2)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국어학회, 1981, pp. 105~138.
(8)임홍빈,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의 개념과 정의”,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2000, pp. 53-75
(3) 임홍빈장소원, 국어문법론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9) 野間秀樹,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태학사. 2002.
(6) 梅田博之, “서울말 모음의 통시적 변화”, 서울말 연구 3, 2000, pp. 36-89.
(4)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鋏語考, 東都書籍, 1945.
(12) Bybee, J., Phonology and Language Us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 Saeed, J. I., Seman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3) Sperber, D. & Wilson, D.,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1995.
7. 참고문헌
고성환·이상진,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표준국어대사전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4.26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