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맥, 심계항진, 발한증가, 오심, 구토, 구강건조, 시야 흐려짐, 과호흡 증후군에 속하는 증상들이 나타남. 심하면 뇌혈관 허혈이 일어나 의식상실
pH >7.45PCO2 <36mmHg
HCO3: 정상
혈청 P은 3mg/dl 이하로 감소.
심전도에서 부정맥
요 pH가 7.0 이상으로 증가
· 병태생리
①급성 호흡성 염기증은 과다호흡에 의해서 발생한다. pH가 상승되면, 신장 완충체계의 반응은 느리기 때문에 신장의 대상기전에 의존하지 않고 대부분 조직의 완충체계에 의한 H+ 방출에 의해 어느 정도 HCO3- 농도를 낮추게 된다.
②만성 호흡성 염기증은 장기간 탄산이 부족된 상태였기 때문에 탄산 부족에 의해 신장의 대상기전이 자극되어 혈청 HCO3-이 감소되는데, 몇 일이 소요됨
· 치료
원인을 발견하여 교정
불안 : 과다 환기 증후 일으키는 주원임을 환자에게 설명 후 안심. 종이백 호흡, 진정제
저산소증 : 산소요법, 극심한 불안 동반시 진정제 투여
⑸ 혼합된 산염기 균형
· 구토를 계속하는 당뇨환자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 심인성쇼크에 따른 폐부종 환자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산증이 나타난다.
· 신장과 간의 기능부전시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 저염식이를 하거나 이뇨제 복용하는 만성호흡부전 환자의 경우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 기계적 과환기의 결과로 호흡성 & 대사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Respiratory Acidosis
Metabolic Acidosis
원인
·CO₂과다: CO₂ 배출부전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의 손상
·진통제 등 약물에 의한 호흡중추 억제
·기도폐쇄: 만성기관지염, 폐렴
·호흡근의 약화
·폐포 환기면적의 감소: 무기폐,기흉,폐기종
·CO₂이외의 산이 혈액내 축적
·HCO₃소실
·산성물질의 생성증가: 케톤산증, 요독성산증
·산성물질의 섭취증가
·중탄산염의 손실: 심한설사, 장루
·부신기능 부전증
증상
·두통
·흐린시야, 빈맥
·부정맥, 기면, 졸림
·과다환기
·포타슘 과다
·뇌척수액 pH감소
·두통, 복통
·혼돈 졸림, 혼수
·과환기(Kussmaul호흡):보상기전
·포타슘 과다
간호
·환기증진
·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호흡억제
·기관지 확장제
·체위 배액법
·기계 환기(인공호흡기)
·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구강간호: 과환기로 인한 구강건조 관리
·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호흡억제
·Bicarbonate(중탄산 이온) 투여
·I&O check
·수분공급
보상
호흡성: 호흡량과 호흡수의 증가
대사성: 신장이 pH를 높이기 위해 HCO3 보유
과다환기
호흡성: 폐에서 pH를 올리기 위해 CO2 내보냄
대사성: 신장에서 pH 올리기 위해 H+ 배설증가
정리하면,
Respiratory Alkalosis
Metabolic Alkalosis
원인
·CO₂부족: 호흡 깊이, 횟수 증가로
CO₂과잉배출 (과환기)
·발열, 저산소증에 의한 과다 환기
·과도한 기계 환기
·갑상선 기능 항진증
·CO₂이외의 산의 부족
·HCO₃ 증가
·구토, 위 흡인: 위산의 부족
·제산제나 중조의 과다섭취
·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륨혈증
·염기물질의 과다 섭취
·쿠싱증후군 또는 알도스테론증
·포타슘 저하
증상
·저리고 얼얼한 느낌
·가벼운 두통
·신경근 흥분성 증가 : 반사항진, 경련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손가락, 발가락의 무감각증, 저림
·뇌척수액 pH 증가
·오심, 구토
·혼돈, 기면, 지각이상
·저칼슘(테타니)
·저칼륨 (부정맥)
·호흡기의 보상기전으로 느리고 얕은 호흡
·신장계는 알칼리성 소변배설
간호
·호기된 공기는 다시호흡: 종이봉투
사용→ 혈중 PaCO₂ 증가
·경련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강구
·의식수준에 적합한 안전대책
·제산제의 적절한 사용 교육
·산소화 증진
·전해질 결핍 (칼륨,칼슘) 보충
·적절한 수분 섭취
·이뇨제
보상
호흡성: 자신이 내쉰 CO2를 들이마심
대사성: 신장이 pH를 낮추기 위해
HCO3 배출증가
호흡성: 폐에서 pH를 낮추기 위해 CO2보유
대사성: 신장에서 pH 낮추기위해 H+배출량 감소
일차적 산-염기 불균형
원인의 예
혈액가스 수치
pH
PaCO2
PCO3-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만성 폐색성 폐질환, 구토
거의 정상
증가
증가
호흡성 알칼리증과 대사성산증
살리실염 중독
거의 정상
감소
감소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산증
만성폐색성 폐질환, 설사
크게 감소
증가
감소
호흡성 알칼리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통증과 폐혈증으로 인한
과다 환기와 다량의 수혈
크게 증가
감소
증가
대사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신부전, 구토
심한 정도와 두 불균형의 지속기간에 따라 다름
대사성 산증의 두 가지 다른 형태
당뇨성 케톤산증과
젖산 산증
크게 감소
정상 or 감소(보상)
감소
연습문제
번호
1
2
3
4
5
6
7
pH
7.26
7.52
7.60
7.44
7.38
7.20
7.56
pCO2
56
28
55
24
76
25
44
HCO3-
24
22
51
16
42
9
38
BE
-4
+1
+26
-6
+14
-17
+14
번호
8
pH
7.36
pCO2
25
HCO3-
15
BE
-10
번호
9
pH
7.20
pCO2
38
HCO3-
15
BE
-13
1. Acute ventilatory failure (acute respiratory acidosis)
2. Acute alveolar hyperventilation
3.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4.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chr. resp. alkalosis)
5. Chronic ventilatory failure (chr. resp. acidosis)
6.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7.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8.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9. Un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pH >7.45PCO2 <36mmHg
HCO3: 정상
혈청 P은 3mg/dl 이하로 감소.
심전도에서 부정맥
요 pH가 7.0 이상으로 증가
· 병태생리
①급성 호흡성 염기증은 과다호흡에 의해서 발생한다. pH가 상승되면, 신장 완충체계의 반응은 느리기 때문에 신장의 대상기전에 의존하지 않고 대부분 조직의 완충체계에 의한 H+ 방출에 의해 어느 정도 HCO3- 농도를 낮추게 된다.
②만성 호흡성 염기증은 장기간 탄산이 부족된 상태였기 때문에 탄산 부족에 의해 신장의 대상기전이 자극되어 혈청 HCO3-이 감소되는데, 몇 일이 소요됨
· 치료
원인을 발견하여 교정
불안 : 과다 환기 증후 일으키는 주원임을 환자에게 설명 후 안심. 종이백 호흡, 진정제
저산소증 : 산소요법, 극심한 불안 동반시 진정제 투여
⑸ 혼합된 산염기 균형
· 구토를 계속하는 당뇨환자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 심인성쇼크에 따른 폐부종 환자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산증이 나타난다.
· 신장과 간의 기능부전시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 저염식이를 하거나 이뇨제 복용하는 만성호흡부전 환자의 경우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 기계적 과환기의 결과로 호흡성 & 대사성 알칼리증이 나타난다.
Respiratory Acidosis
Metabolic Acidosis
원인
·CO₂과다: CO₂ 배출부전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의 손상
·진통제 등 약물에 의한 호흡중추 억제
·기도폐쇄: 만성기관지염, 폐렴
·호흡근의 약화
·폐포 환기면적의 감소: 무기폐,기흉,폐기종
·CO₂이외의 산이 혈액내 축적
·HCO₃소실
·산성물질의 생성증가: 케톤산증, 요독성산증
·산성물질의 섭취증가
·중탄산염의 손실: 심한설사, 장루
·부신기능 부전증
증상
·두통
·흐린시야, 빈맥
·부정맥, 기면, 졸림
·과다환기
·포타슘 과다
·뇌척수액 pH감소
·두통, 복통
·혼돈 졸림, 혼수
·과환기(Kussmaul호흡):보상기전
·포타슘 과다
간호
·환기증진
·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호흡억제
·기관지 확장제
·체위 배액법
·기계 환기(인공호흡기)
·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구강간호: 과환기로 인한 구강건조 관리
·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호흡억제
·Bicarbonate(중탄산 이온) 투여
·I&O check
·수분공급
보상
호흡성: 호흡량과 호흡수의 증가
대사성: 신장이 pH를 높이기 위해 HCO3 보유
과다환기
호흡성: 폐에서 pH를 올리기 위해 CO2 내보냄
대사성: 신장에서 pH 올리기 위해 H+ 배설증가
정리하면,
Respiratory Alkalosis
Metabolic Alkalosis
원인
·CO₂부족: 호흡 깊이, 횟수 증가로
CO₂과잉배출 (과환기)
·발열, 저산소증에 의한 과다 환기
·과도한 기계 환기
·갑상선 기능 항진증
·CO₂이외의 산의 부족
·HCO₃ 증가
·구토, 위 흡인: 위산의 부족
·제산제나 중조의 과다섭취
·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륨혈증
·염기물질의 과다 섭취
·쿠싱증후군 또는 알도스테론증
·포타슘 저하
증상
·저리고 얼얼한 느낌
·가벼운 두통
·신경근 흥분성 증가 : 반사항진, 경련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손가락, 발가락의 무감각증, 저림
·뇌척수액 pH 증가
·오심, 구토
·혼돈, 기면, 지각이상
·저칼슘(테타니)
·저칼륨 (부정맥)
·호흡기의 보상기전으로 느리고 얕은 호흡
·신장계는 알칼리성 소변배설
간호
·호기된 공기는 다시호흡: 종이봉투
사용→ 혈중 PaCO₂ 증가
·경련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강구
·의식수준에 적합한 안전대책
·제산제의 적절한 사용 교육
·산소화 증진
·전해질 결핍 (칼륨,칼슘) 보충
·적절한 수분 섭취
·이뇨제
보상
호흡성: 자신이 내쉰 CO2를 들이마심
대사성: 신장이 pH를 낮추기 위해
HCO3 배출증가
호흡성: 폐에서 pH를 낮추기 위해 CO2보유
대사성: 신장에서 pH 낮추기위해 H+배출량 감소
일차적 산-염기 불균형
원인의 예
혈액가스 수치
pH
PaCO2
PCO3-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만성 폐색성 폐질환, 구토
거의 정상
증가
증가
호흡성 알칼리증과 대사성산증
살리실염 중독
거의 정상
감소
감소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산증
만성폐색성 폐질환, 설사
크게 감소
증가
감소
호흡성 알칼리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통증과 폐혈증으로 인한
과다 환기와 다량의 수혈
크게 증가
감소
증가
대사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신부전, 구토
심한 정도와 두 불균형의 지속기간에 따라 다름
대사성 산증의 두 가지 다른 형태
당뇨성 케톤산증과
젖산 산증
크게 감소
정상 or 감소(보상)
감소
연습문제
번호
1
2
3
4
5
6
7
pH
7.26
7.52
7.60
7.44
7.38
7.20
7.56
pCO2
56
28
55
24
76
25
44
HCO3-
24
22
51
16
42
9
38
BE
-4
+1
+26
-6
+14
-17
+14
번호
8
pH
7.36
pCO2
25
HCO3-
15
BE
-10
번호
9
pH
7.20
pCO2
38
HCO3-
15
BE
-13
1. Acute ventilatory failure (acute respiratory acidosis)
2. Acute alveolar hyperventilation
3.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4.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chr. resp. alkalosis)
5. Chronic ventilatory failure (chr. resp. acidosis)
6.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7.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8.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9. Un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