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있다 (비논증적 설득 제외). 이를 각각 거론한후, 각각에 속하는 하위 오류들의 명칭과 특징을 기술한다. (A4지 1매 10점)
2. 13장을 공부한 후,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라는 문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A4지 0.5매 5점)
3. 12장을 공부한 후 찬반토론의 방법에 대해 핵심을 요약하여 기술한다. (A4지 0.5매 5점)
4. 9장을 공부한 후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주제로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논술을 작성한다. (A4지 1매 30점)
2. 13장을 공부한 후,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라는 문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A4지 0.5매 5점)
3. 12장을 공부한 후 찬반토론의 방법에 대해 핵심을 요약하여 기술한다. (A4지 0.5매 5점)
4. 9장을 공부한 후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주제로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논술을 작성한다. (A4지 1매 30점)
본문내용
이 있을까? 가장 쉽게는 소비자의 행동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구매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우리 주위를 보면 어떤 제품을 구매하는데 도대체 윤리적소비일까? 윤리적 소비정보인 윤리적 소비제품 관련마크가 되어있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이런 마크들은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간단한 마크들은 쉽게 인지하고 구매할 때 확인해 볼 수 있다. 수입 물건은 공정무역으로 수입 되어진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공정무역제품을 구매해 개발도상국의 생산자와 노동자의 인권을 고려하는 동시에 나이와 다른사람들의 욕구 또한 충족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기업제품의 구매, 로컬푸드의 구매 , 지역화폐사용을 통하여 우리 주위에서 올바른 윤리적소비를 실천하는 방법이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발전해가는 시점에서 아직 윤리적소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아직은 경제적인 위치에 비해 이런 가치관들이 잘 세워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소비에 대한 개념과 공동체를 생각하는 윤리적소비에 대한 개념을 어릴 적부터 습관이 되도록 올바른 윤리적 소비를 가르치는 우리나라가 되었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