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문화 정의
2.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특성
3.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성장과정
4.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입장
5. 대중문화의 문제점
6. 결론 및 개인적인 의견
<참고자료>
2.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특성
3.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성장과정
4.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입장
5. 대중문화의 문제점
6. 결론 및 개인적인 의견
<참고자료>
본문내용
나 음악, 심지어 광고들까지도 폭력이 숨어있다. 개그프로를 보라. 소위 몸 개그라고 말하는 개그들은 폭력을 일삼는다. 그리고 그 폭력들을 보면서 우리들은 즐거움을 느끼고, 큰 웃음을 자아낸다. 다른 사람들 때리고, 아프게 하는 것을 보며 쾌락을 느끼는 것이다. 언어폭력 또한 나타난다. 개그프로의 말들을 잘 들어보면 서로를 비난하고, 깎아 내리고, 욕하는 대화가 오간다. 심지어 성적인 욕설도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폭력들을 개그라는 것으로 미화하고, 유머런스하게 표현함을 통하여 우리들이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이런 폭력들을 보면서 우리들은 스트레스를 풀고,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다. 영화들을 보라. ‘테이큰2’, ‘회사원’ 이런 영화들은 대표적으로 영화자체가 폭력이라는 주제로 만들어졌다. 내용은 무엇인가? 주인공이 자신의 가족을 구하기 위해 테러리스트를 죽이는 것과 평범한 삶을 위해 자신의 옛 동료들을 죽이는 것이다. 과연 테러리스트들을 무가치한 존재로 여기며 벌레 죽이듯이 죽이는 것은 옳은 일인가? 자신의 삶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죽이는 것이 옳은 일인가? 우리들은 이런 것들을 보며 탄성을 자아낸다. 멋있다고 칭찬한다. 우리들은 영화라는 것으로 포장된 잔인하고 무자비한 폭력을 보며 동경한다. 그것을 멋있다고 생각한다.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내가 그 폭력을 당하는 당사자라고 생각한다면 동경할 수 없을 것인데, 현실은 이 부분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개그, 영화들은 ‘웃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폭력을 당해도 좋다’, ‘강한 자만이 살고 약한 자는 죽어야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정의를 위해서라면 방해되는 모든 사람들은 죽어 마땅하다’라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 이 이데올로기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가치관과 삶 속에서 큰 영향력을 끼친다. 특히 청소년들에게는 더 심각하다. 이런 이데올로기적 가치관들이 청소년들에게 주입될 때,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같은 행위로 나타난다. 참으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이데올로기는 우리들로 하여금 동화되게 만든다. 우리도 그렇게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폭력이 음란성과 결합한다면 더 끔찍한 문제들을 낳는다. 실제적으로 성폭력이라는 결과물을 낳는 것이다. 많은 강간범들, 성폭력범들은 이런 폭력성과 음란성이 가득한 매체들로 인해 가치관이 바뀐체로 살아가다가 결국 실행에 옮긴 사람들이다. 이런 점에서 포장된 폭력이 갖는 이데올로기는 우리들에게 치명적이다.
6. 결론 및 개인적인 의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중문화는 우리 삶에 빠져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앞서 밝힌 대중문화의 선정성과 자극성, 획일화된 문화 등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인의 개성 추구가 중요하다. 자신의 뚜렷한 주관이 없기 때문에 자꾸 자신이 원하는 분야가 아닌, 그저 눈요깃거리에 그치는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주제에 끌리고, 연예인의 모습만 좇는 것이 아닐까? 대중문화 문제점 해결의 핵심인 개성, 혹은 주관을 뚜렷이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 방식에 변화가 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다양한 답과 생각을 인정해주는 커리큘럼만이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또 남의 개성을 진정해주는 학생들이 미래에 더욱 더 많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생각과 방법, 단편적인 사고가 아니라 깊은 문제 탐구를 유도하는 학습 방법이 이루어지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과 개성을 더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 방법이 학생들에게 행해지면 미래에는 대중문화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박철현, 사회문제론
- 강준만, 대중문화의 겉과 속 1
이런 개그, 영화들은 ‘웃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폭력을 당해도 좋다’, ‘강한 자만이 살고 약한 자는 죽어야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정의를 위해서라면 방해되는 모든 사람들은 죽어 마땅하다’라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 이 이데올로기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가치관과 삶 속에서 큰 영향력을 끼친다. 특히 청소년들에게는 더 심각하다. 이런 이데올로기적 가치관들이 청소년들에게 주입될 때,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같은 행위로 나타난다. 참으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이데올로기는 우리들로 하여금 동화되게 만든다. 우리도 그렇게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폭력이 음란성과 결합한다면 더 끔찍한 문제들을 낳는다. 실제적으로 성폭력이라는 결과물을 낳는 것이다. 많은 강간범들, 성폭력범들은 이런 폭력성과 음란성이 가득한 매체들로 인해 가치관이 바뀐체로 살아가다가 결국 실행에 옮긴 사람들이다. 이런 점에서 포장된 폭력이 갖는 이데올로기는 우리들에게 치명적이다.
6. 결론 및 개인적인 의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중문화는 우리 삶에 빠져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앞서 밝힌 대중문화의 선정성과 자극성, 획일화된 문화 등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인의 개성 추구가 중요하다. 자신의 뚜렷한 주관이 없기 때문에 자꾸 자신이 원하는 분야가 아닌, 그저 눈요깃거리에 그치는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주제에 끌리고, 연예인의 모습만 좇는 것이 아닐까? 대중문화 문제점 해결의 핵심인 개성, 혹은 주관을 뚜렷이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 방식에 변화가 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다양한 답과 생각을 인정해주는 커리큘럼만이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또 남의 개성을 진정해주는 학생들이 미래에 더욱 더 많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생각과 방법, 단편적인 사고가 아니라 깊은 문제 탐구를 유도하는 학습 방법이 이루어지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과 개성을 더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 방법이 학생들에게 행해지면 미래에는 대중문화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박철현, 사회문제론
- 강준만, 대중문화의 겉과 속 1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대중가요의 변천과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표절문제를 중심으로)
외국가정복지제도와 우리나라 가정복지제도의 비교 연구자료
[환경학] 우리나라의 환경 영향 평가제도
외국의 가정복지 제도와 우리나라의 가정복지의 비교
[라디오저널리즘][라디오저널리즘 역할][라디오저널리즘 가능성]라디오저널리즘의 개념, 라디...
(한국사회문제D형)빈곤의 기준을 둘러싼 여러 논의를 정리하고 빈곤을 정의하는 가장 적합한 ...
뉴거버넌스관점에서 바라본 세종문화회관의 문화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 ‘특수교육의 목표는 삶의 현장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의 문장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