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명
2. 목적
3. 원리 및 이론
4. 기구 및 시약
5.실험순서 (자격증교재 참고)
6. 주의사항
2. 목적
3. 원리 및 이론
4. 기구 및 시약
5.실험순서 (자격증교재 참고)
6. 주의사항
본문내용
드화나트륨 용액 1㎖를 넣고 기포가 남지 않게 조심하여 마개를 닫고 수회 병을 회전하면서 섞는다. 시료가 해수이거나 알칼리성에서 산화되기 쉬운 유기물을 함유하는 폐수의 경우에는 2분간 병을 회전하여 섞는다. 2분간 이상 정지시키고 위의 맑은 액에 미세한 침전이 남아 있으면 다시 회전시켜 혼화한 다음 정치하여 침전시킨다. 100㎖ 이상의 맑은 층이 생기면 마개를 열고 황산 2.0㎖를 병목으로부터 넣는다. 마개를 다시 닫고 갈색의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병을 회전시킨다. 용존산소측정병의 용액 200㎖를 정확히 취하여 황색이 될 때까지 0.025M의 싸이오황산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 다음, 전분용액 1㎖를 넣고 청색이 무색이 될 때까지 적정한다.
8) 격막 전극법[편집
산소 투과성의플라스틱으로 피복된음극과양극의 사이를전해질로 채운다. 그 양극을 시료액에 넣으면 시료 속의 산소 분자가 피막과 전해질로 확산되고 음극 표면에 도달하여 환원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산소 분자의 확산에 비례하므로 용존 산소량을 구할 수 있다. 격막 전극에는 주로정전위 전해법과갈바니 전지법이 있다. 정전위 전해법은 외부 전원을 이용해 음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데 반해, 갈바니 전지법은 비금속 전극을 음극과 조합하여 일정한 전압을 얻는다.
9) 간이 시험법(색깔비교법)[편집
시료와 시약을 혼합하여 나타나는 색깔이 얼마나 진한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간이로 하는 방법이며 유효 숫자는 1자리수이다. 시중에 용존 산소 측정 키트가 판매되고 있다.
※요오드 적정법
4. 기구 및 시약
BOD병, 피펫, 피펫펌프, 삼각플라스크, 뷰렛, 메스실린더, 비커, 전자저울, 깔때기, 황사나망간사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요오드화 칼륨, 아지드화 나트륨, 플루오드화 칼륨, 황산,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탄산나트륨
1) BOD 병
2) 피펫
3) 피펫펌프
4) 삼각플라스크 5) 뷰렛
6) 메스실린더 7) 비커
8) 전자저울 9) 깔때기
※시료
시약명
화학식
M(몰질량)
m.P(녹는점)
b.P(끊는점)
d(밀도)
황산망간4수화물
MnSO4
151.001g/mol
710\'c
850\'c
3.25g/cm3
수산화나트륨
NaOH
39.997g/mol
318\'c
1,388\'c
2.13g/cm3
요오드화 칼륨
KI
166.0028g/mol
681\'c
1,330\'c
3.12g/cm3
아지드화 나트륨
NaN3
65.0099g/mol
275\'c
1.85g/cm3
플루오드화 칼륨
KF
58.0967g/mol
858°C
1,505°C
2.48g/cm³
황산
H₂SO₄
98.079g/mol
10°C
337°C
1.83g/cm³
티오황산나트륨5수화물
Na2S2O3
158.11g/mol
48.3\'c
100\'c
1.679/cm3
탄산 나트륨
Na₂CO₃
105.9888g/mol
851°C
1,600°C
2.54g/cm³
아소아밀알콜
C5H12O
88.148g/mol
-117.2°C
132°C
810kg/m³
5.실험순서
자격증교재 참고
6. 주의사항
1) 시료는 공기와 접촉되지 않게 채취하여 즉시 실험한다.
2) 적정시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한방울에 의해서도 용액의 색이 순식간에 반하므로 신중하게 적정한다.
3) 시료의 용존산소를 고정하고 아이오딘(I3)을 유리하기 위해서 넣어주는 시약은 반드시 순서대로 사용한다.
4) BOD 병에 시료를 넣을 때는 병의 벽면을 타고 흘러 내려가도록 한다.
5) 황산 용액은 부식성이 있으므로 다룰 때 주의한다.
6) 화상이나, 의복이 탈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7) 적정에서의 종말점은 용액의 청색이 소실되는 점이다. 한번 소실되고 다시 청색이 나타나도 적정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https://www.scienceall.com/%ec%9a%a9%ec%a1%b4-%ec%82%b0%ec%86%8cdissolved-oxygen-2/ - 용존산소
https://www.scienceall.com/%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dodissolved-oxygen-amount/ - 용존 산소량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8%81%ED%96%A5_%EC%9A%94%EC%9D%B8 - DO 영향요인
https://www.scienceall.com/bod-%ec%b8%a1%ec%a0%95/ -BOD, COD
https://m.blog.naver.com/sbene/221485263102 - BOD, COD
https://ko.wikipedia.org/wiki/%ED%97%A8%EB%A6%AC%EC%9D%98_%EB%B2%95%EC%B9%99 - 헨리의 법칙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D%8F%AC%ED%99%94_%EC%9A%A9%EC%A1%B4_%EC%82%B0%EC%86%8C%EB%9F%89 -포화용존 산소량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C%99%ED%81%B4%EB%9F%AC-%EC%95%84%EC%A7%80%EB%93%9C%ED%99%94%EB%82%98%ED%8A%B8%EB%A5%A8_%EB%B3%80%EB%B2%95 - 윙클러 아지드화나트륨 변법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C%99%ED%81%B4%EB%9F%AC-%EC%95%84%EC%A7%80%EB%93%9C%ED%99%94%EB%82%98%ED%8A%B8%EB%A5%A8_%EB%B3%80%EB%B2%95 - 격막 전극법 , 간이 시험법
https://blog.naver.com/dkskzhs3/220548963979 - 요오드 적정법
https://www.youtube.com/watch?v=QRy4GjPjYP0&t=43s , 나합격 환경기능사(자격증교재)
8) 격막 전극법[편집
산소 투과성의플라스틱으로 피복된음극과양극의 사이를전해질로 채운다. 그 양극을 시료액에 넣으면 시료 속의 산소 분자가 피막과 전해질로 확산되고 음극 표면에 도달하여 환원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산소 분자의 확산에 비례하므로 용존 산소량을 구할 수 있다. 격막 전극에는 주로정전위 전해법과갈바니 전지법이 있다. 정전위 전해법은 외부 전원을 이용해 음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데 반해, 갈바니 전지법은 비금속 전극을 음극과 조합하여 일정한 전압을 얻는다.
9) 간이 시험법(색깔비교법)[편집
시료와 시약을 혼합하여 나타나는 색깔이 얼마나 진한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간이로 하는 방법이며 유효 숫자는 1자리수이다. 시중에 용존 산소 측정 키트가 판매되고 있다.
※요오드 적정법
4. 기구 및 시약
BOD병, 피펫, 피펫펌프, 삼각플라스크, 뷰렛, 메스실린더, 비커, 전자저울, 깔때기, 황사나망간사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요오드화 칼륨, 아지드화 나트륨, 플루오드화 칼륨, 황산,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탄산나트륨
1) BOD 병
2) 피펫
3) 피펫펌프
4) 삼각플라스크 5) 뷰렛
6) 메스실린더 7) 비커
8) 전자저울 9) 깔때기
※시료
시약명
화학식
M(몰질량)
m.P(녹는점)
b.P(끊는점)
d(밀도)
황산망간4수화물
MnSO4
151.001g/mol
710\'c
850\'c
3.25g/cm3
수산화나트륨
NaOH
39.997g/mol
318\'c
1,388\'c
2.13g/cm3
요오드화 칼륨
KI
166.0028g/mol
681\'c
1,330\'c
3.12g/cm3
아지드화 나트륨
NaN3
65.0099g/mol
275\'c
1.85g/cm3
플루오드화 칼륨
KF
58.0967g/mol
858°C
1,505°C
2.48g/cm³
황산
H₂SO₄
98.079g/mol
10°C
337°C
1.83g/cm³
티오황산나트륨5수화물
Na2S2O3
158.11g/mol
48.3\'c
100\'c
1.679/cm3
탄산 나트륨
Na₂CO₃
105.9888g/mol
851°C
1,600°C
2.54g/cm³
아소아밀알콜
C5H12O
88.148g/mol
-117.2°C
132°C
810kg/m³
5.실험순서
자격증교재 참고
6. 주의사항
1) 시료는 공기와 접촉되지 않게 채취하여 즉시 실험한다.
2) 적정시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한방울에 의해서도 용액의 색이 순식간에 반하므로 신중하게 적정한다.
3) 시료의 용존산소를 고정하고 아이오딘(I3)을 유리하기 위해서 넣어주는 시약은 반드시 순서대로 사용한다.
4) BOD 병에 시료를 넣을 때는 병의 벽면을 타고 흘러 내려가도록 한다.
5) 황산 용액은 부식성이 있으므로 다룰 때 주의한다.
6) 화상이나, 의복이 탈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7) 적정에서의 종말점은 용액의 청색이 소실되는 점이다. 한번 소실되고 다시 청색이 나타나도 적정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https://www.scienceall.com/%ec%9a%a9%ec%a1%b4-%ec%82%b0%ec%86%8cdissolved-oxygen-2/ - 용존산소
https://www.scienceall.com/%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dodissolved-oxygen-amount/ - 용존 산소량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8%81%ED%96%A5_%EC%9A%94%EC%9D%B8 - DO 영향요인
https://www.scienceall.com/bod-%ec%b8%a1%ec%a0%95/ -BOD, COD
https://m.blog.naver.com/sbene/221485263102 - BOD, COD
https://ko.wikipedia.org/wiki/%ED%97%A8%EB%A6%AC%EC%9D%98_%EB%B2%95%EC%B9%99 - 헨리의 법칙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D%8F%AC%ED%99%94_%EC%9A%A9%EC%A1%B4_%EC%82%B0%EC%86%8C%EB%9F%89 -포화용존 산소량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C%99%ED%81%B4%EB%9F%AC-%EC%95%84%EC%A7%80%EB%93%9C%ED%99%94%EB%82%98%ED%8A%B8%EB%A5%A8_%EB%B3%80%EB%B2%95 - 윙클러 아지드화나트륨 변법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1%B4%EC%82%B0%EC%86%8C%EB%9F%89#%EC%9C%99%ED%81%B4%EB%9F%AC-%EC%95%84%EC%A7%80%EB%93%9C%ED%99%94%EB%82%98%ED%8A%B8%EB%A5%A8_%EB%B3%80%EB%B2%95 - 격막 전극법 , 간이 시험법
https://blog.naver.com/dkskzhs3/220548963979 - 요오드 적정법
https://www.youtube.com/watch?v=QRy4GjPjYP0&t=43s , 나합격 환경기능사(자격증교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