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이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사례를 하면서 느낀 점
Ⅳ. 참고문헌
1. 대상자 선정이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사례를 하면서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kg 감소하도록)
치료적 중재
1. Metformin 500mg/일 2회 또는 850mg/일 1회 경구투여하고 그 효과를 관찰한다.
2. 궤양 배양검사를 실시한 후 Dicloxacillin 500mg/ 일 4회 경구투여하고 그 효과를 관찰한다.
3. 염분을 제한한다.
4. 저콜레스테롤 식이를 하도록 한다.
5. 단순 당질의 섭취를 제한한다.
6. 지방의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7. 섬유질섭취를 높이도록 한다.
8. 비타민, 미네랄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도록 한다.
9. 불포화지방산은 제한하고 포화 지방산을 섭취하도록 한다.
약품명
투여용량
예상 부작용
대상자가 느끼는 부작용
Metformin
500mg/일 2회 또는 850mg/ 일 1회
고창, 설사, 오심, 식욕부진, 복통, 쓴맛 또는 금속성 맛, 젖산산증
-
Dicloxacillin
500mg/일 4회
구역, 구토, 설사, 과민 반응, 콩팥 이상
-
교육적 중재
식이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자가혈당측정법을 교육한다.
혈당과 체중을 정규적으로 검사하도록 교육한다.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혈당 조절이 잘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병원 약속을 반드시 지키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로 하여금 교육한 식이요법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교육 시 보호자를 포함하여 식이 조절 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피부관리 방법(상처드레싱, 상처지지법)을 교육한다.
필요하다면 퇴원 후의 자가간호를 위한 인슐린 교육을 시작한다.
▶ 합리적 근거
· 섬유소는 당 흡수를 막아 혈당을 낮춘다.(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p123)
· Metformin의 주요한 장점은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약물은 혈당조절과 함께 트리글리세리드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체중 조절을 촉진한다.(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632)
· Dicloxacillin은 페니실린계 약물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균작용을 나타낸다.(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97-98)
· 당뇨병 대상자는 조직관류에 손상이 있는 소혈관 질환이 있으므로 산소운반에 장애가 발생한다.(성인간호학 p390)
· 인슐린은 주사부위를 돌려가며 맞아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피하주사로 투여된다.(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p376)
· 대상자가 기대되는 변화에 완전히 전념하지 않을 경우 성공적인 중재를 보장할 수 없다.(기본간호학2 p155)
· 상처드레싱은 상처 치유를 증진하도록 배액을 흡수하고 기계적 외상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해준다.(기본간호학 p410), 상처 지지(붕대나 바인더)는 상처에 드레싱을 지지해 주고 대상자의 안위와 안전감을 주어 상처와 피부 손상을 방지하며 치료를 증진한다.(기본간호학 p417)
[4] 간 호 수 행
1.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 11월 16일: 74kg
2. 대상자의 혈당을 체크하였다
· 11월 16일: 11AM-269
· 11월 17일: 11AM-213
· 11월 18일: 11AM-222
· 11월 19일: 5PM-238
· 11월 20일: 11AM-235
3. 대상자의 기호식품과 식이상태를 사정하였다
- 단 음료를 자주 마시고 단 과자를 많이 먹으며 목이 마를 때 마다 가당 요구르트를 먹고, 평소에 짜게 먹으며 햄버거나 피자를 좋아하고 생선을 튀길 때는 옥수수기름을 쓰며 소고기를 무척 좋아한다고 하였다.
4. 당뇨식이에 대해 아는 정도를 사정하였다
- 보호자는 단 음식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막연하게 알고 있었으나 식이 조절을 하고 있지는 않았 고 대상자는 식이조절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5. 교육 후 혈당과 체중을 체크하였다
· 11월 21일: 5PM-218, 체중:73.2
6. 일주일에 1~2kg 정도 빼기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고 말해주었다.
[5] 간 호 평 가
목표달성 결과 : 달성
대상자의 체중 조절과 혈당 조절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없고 정상 체중과 혈당은 계속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꾸준히 조절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혈당유지를 위해 식이요법이 꼭 필요하구나. 라고 이야기 하였다.
보호자는 아이의 당뇨 조절을 위해 혈당과 체중을 자주 측정하고 적절한 운동을 시켜 일주일에 1~2kg정도 빼겠다고 하였으며 병원과의 약속을 꼭 지키겠다고 표현하였다.
교육 후 feedback을 주었을 때 보호자와 대상자는 당뇨 조절을 위해 어떤 음식을 먹지 않아야 하고 대신 먹어야 하는지 표현하였다.
Ⅲ. 결론
1. 사례를 하면서 느낀 점
학술제나 프로세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선배님들의 임상실습케이스들을 보며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발만 동동거리다 막상 간호과정에 직면하게 되니 일단 최대한의 문헌들을 다시 반복해서 읽고 공부했었다. 다시 복습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기본 틀을 다질 수 있었고 2년 동안 강의실과 교내실습실에서 배운 간호 지식과 기술을 간호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해보며 임상에서 환자에게 적용할 간호중재를 생각하는 간호사의 자세를 공부한 것 같아서 기뻤고 문헌을 참고하면서 조사하다보니 현재 있는 간호 외에도 더 발전할 방향이 많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꽤 재미있기도 했다. 아직은 너무 미숙한 나의 진단에 과연 나 자신이 미래간호인으로서의 기본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앞으로의 학업의 중요성과 노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짧은 시간 이였지만 자발적으로 주제를 찾고 주제에 대한 가능한 한 다양한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와 다량의 문제들 사이에서 해결할 방안을 찾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었다. 그래서 간호 전문직의 책임감을 더욱 막중히 느꼈으며 과연 간호 실무에서의 간호과정의 중요성을 이번 과제로 다시금 깨달았다.
Ⅳ. 참고문헌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2017),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김금순, 고자경, 김숙경 외(2017),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최순희, 채민정, 정학명 외(2015) 『주요 간호중재 및 간호활동』, 전남대학교출판부
송미순(2017),『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정문각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2013) 『기본간호학』, 현문사
감화순, 심인옥, 정성희 외(2011)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치료적 중재
1. Metformin 500mg/일 2회 또는 850mg/일 1회 경구투여하고 그 효과를 관찰한다.
2. 궤양 배양검사를 실시한 후 Dicloxacillin 500mg/ 일 4회 경구투여하고 그 효과를 관찰한다.
3. 염분을 제한한다.
4. 저콜레스테롤 식이를 하도록 한다.
5. 단순 당질의 섭취를 제한한다.
6. 지방의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7. 섬유질섭취를 높이도록 한다.
8. 비타민, 미네랄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도록 한다.
9. 불포화지방산은 제한하고 포화 지방산을 섭취하도록 한다.
약품명
투여용량
예상 부작용
대상자가 느끼는 부작용
Metformin
500mg/일 2회 또는 850mg/ 일 1회
고창, 설사, 오심, 식욕부진, 복통, 쓴맛 또는 금속성 맛, 젖산산증
-
Dicloxacillin
500mg/일 4회
구역, 구토, 설사, 과민 반응, 콩팥 이상
-
교육적 중재
식이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자가혈당측정법을 교육한다.
혈당과 체중을 정규적으로 검사하도록 교육한다.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혈당 조절이 잘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병원 약속을 반드시 지키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로 하여금 교육한 식이요법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교육 시 보호자를 포함하여 식이 조절 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피부관리 방법(상처드레싱, 상처지지법)을 교육한다.
필요하다면 퇴원 후의 자가간호를 위한 인슐린 교육을 시작한다.
▶ 합리적 근거
· 섬유소는 당 흡수를 막아 혈당을 낮춘다.(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p123)
· Metformin의 주요한 장점은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약물은 혈당조절과 함께 트리글리세리드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체중 조절을 촉진한다.(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632)
· Dicloxacillin은 페니실린계 약물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균작용을 나타낸다.(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97-98)
· 당뇨병 대상자는 조직관류에 손상이 있는 소혈관 질환이 있으므로 산소운반에 장애가 발생한다.(성인간호학 p390)
· 인슐린은 주사부위를 돌려가며 맞아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피하주사로 투여된다.(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p376)
· 대상자가 기대되는 변화에 완전히 전념하지 않을 경우 성공적인 중재를 보장할 수 없다.(기본간호학2 p155)
· 상처드레싱은 상처 치유를 증진하도록 배액을 흡수하고 기계적 외상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해준다.(기본간호학 p410), 상처 지지(붕대나 바인더)는 상처에 드레싱을 지지해 주고 대상자의 안위와 안전감을 주어 상처와 피부 손상을 방지하며 치료를 증진한다.(기본간호학 p417)
[4] 간 호 수 행
1.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 11월 16일: 74kg
2. 대상자의 혈당을 체크하였다
· 11월 16일: 11AM-269
· 11월 17일: 11AM-213
· 11월 18일: 11AM-222
· 11월 19일: 5PM-238
· 11월 20일: 11AM-235
3. 대상자의 기호식품과 식이상태를 사정하였다
- 단 음료를 자주 마시고 단 과자를 많이 먹으며 목이 마를 때 마다 가당 요구르트를 먹고, 평소에 짜게 먹으며 햄버거나 피자를 좋아하고 생선을 튀길 때는 옥수수기름을 쓰며 소고기를 무척 좋아한다고 하였다.
4. 당뇨식이에 대해 아는 정도를 사정하였다
- 보호자는 단 음식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막연하게 알고 있었으나 식이 조절을 하고 있지는 않았 고 대상자는 식이조절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5. 교육 후 혈당과 체중을 체크하였다
· 11월 21일: 5PM-218, 체중:73.2
6. 일주일에 1~2kg 정도 빼기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고 말해주었다.
[5] 간 호 평 가
목표달성 결과 : 달성
대상자의 체중 조절과 혈당 조절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없고 정상 체중과 혈당은 계속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꾸준히 조절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혈당유지를 위해 식이요법이 꼭 필요하구나. 라고 이야기 하였다.
보호자는 아이의 당뇨 조절을 위해 혈당과 체중을 자주 측정하고 적절한 운동을 시켜 일주일에 1~2kg정도 빼겠다고 하였으며 병원과의 약속을 꼭 지키겠다고 표현하였다.
교육 후 feedback을 주었을 때 보호자와 대상자는 당뇨 조절을 위해 어떤 음식을 먹지 않아야 하고 대신 먹어야 하는지 표현하였다.
Ⅲ. 결론
1. 사례를 하면서 느낀 점
학술제나 프로세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선배님들의 임상실습케이스들을 보며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발만 동동거리다 막상 간호과정에 직면하게 되니 일단 최대한의 문헌들을 다시 반복해서 읽고 공부했었다. 다시 복습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기본 틀을 다질 수 있었고 2년 동안 강의실과 교내실습실에서 배운 간호 지식과 기술을 간호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해보며 임상에서 환자에게 적용할 간호중재를 생각하는 간호사의 자세를 공부한 것 같아서 기뻤고 문헌을 참고하면서 조사하다보니 현재 있는 간호 외에도 더 발전할 방향이 많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꽤 재미있기도 했다. 아직은 너무 미숙한 나의 진단에 과연 나 자신이 미래간호인으로서의 기본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앞으로의 학업의 중요성과 노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짧은 시간 이였지만 자발적으로 주제를 찾고 주제에 대한 가능한 한 다양한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와 다량의 문제들 사이에서 해결할 방안을 찾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었다. 그래서 간호 전문직의 책임감을 더욱 막중히 느꼈으며 과연 간호 실무에서의 간호과정의 중요성을 이번 과제로 다시금 깨달았다.
Ⅳ. 참고문헌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2017),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김금순, 고자경, 김숙경 외(2017),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최순희, 채민정, 정학명 외(2015) 『주요 간호중재 및 간호활동』, 전남대학교출판부
송미순(2017),『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정문각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2013) 『기본간호학』, 현문사
감화순, 심인옥, 정성희 외(2011)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추천자료
일반외과 (general surgery) case 성인간호학임상실습 - 간종양 (liver cell carcinoma)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구분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CHF(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 성인 케이스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os 척추협착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간호과정, 출처 등 기...
천식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3개 완벽!
ER 아나필락시스 쇼크 케이스자료
DM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교수님께 극찬받은 A+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