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재활간호학
목차
1. 운동치료는 운동을 통해 질병이나 손상, 장애로부터 기능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1) 운동처방의 4가지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2) 55세 박씨의 안정 시 심박수(resting heart rate)는 분당 85회이다. 운동 강도를 최대 산소섭취량의 40%로 할 경우, 박씨의 목표 심박수(target heart rate)는 분당 몇 회인가? 계산 공식, 과정, 정답을 모두 기술하시오(15점).
2. 피부의 기능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상처 치유의 단계를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4.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병태생리적 차이점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시오(10점).
5.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흡재활 방법 중, 호흡운동 3가지를 제시하고 각 시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참고문헌
목차
1. 운동치료는 운동을 통해 질병이나 손상, 장애로부터 기능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1) 운동처방의 4가지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2) 55세 박씨의 안정 시 심박수(resting heart rate)는 분당 85회이다. 운동 강도를 최대 산소섭취량의 40%로 할 경우, 박씨의 목표 심박수(target heart rate)는 분당 몇 회인가? 계산 공식, 과정, 정답을 모두 기술하시오(15점).
2. 피부의 기능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상처 치유의 단계를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4.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병태생리적 차이점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시오(10점).
5.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흡재활 방법 중, 호흡운동 3가지를 제시하고 각 시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활프로그램은 대상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적, 사회적 기능수행과 자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만성 호흡질환자에게 제공되는 다학제적이고 총체적인 프로그램으로써, 교육, 호흡요법, 운동요법, 정서적행동적 중재로 구성되는데, 그 결과 증상을 감소하고,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 상태를 증진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가관리의 강화로 병원 방문이나 입원률이감소됨에 따라 의료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킨다(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 [ACCP] & American Association of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ion [AACVPR], 1997; ATS, 1999; Marinne & Manu, 1998). 호흡재활은 의료진의 참여 가능성, 프로그램 기간, 호흡재활 구성 및 각 구성 요소에 따라 환경을 달리해서 수행되는데, 재활전 환자의 신체적, 기능적, 사회심리적 상태,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이동거리, 보험 약정과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병원, 외래, 가정 호흡재활로 구분된다. 병원 호흡재활은 환자와 가족에게 집중적인 재활 서비스와 전문적인 훈련을 하기 위해 기능적 손상이 심한 환자와 보조 도구, 기관절개술 간호, 인공호흡기 이탈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적합한 환경이고, 환자의 이동에는 문제가 없지만 가족들의 이동에 따른 문제가 있고, 보험 적용의 어려움이 있으며 중증 질환이 아닌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외래 호흡재활은 현재 가장 폭 넓게 이용하고 있으며 보다 적은 비용으로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가능하지만, 이동에 따른 교통 문제와 가정에서의 활동을 평가할 수가 없다. 가정호흡재활은 익숙한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고 이동에 따른 문제가 없으며 환자와 가족 구성원에게 편리하고 장기치료의 이행에 더 좋은 반면, 보험 적용의 어려움과 다학제적 관리가 부족하고 운동 장비에 의한 평가에 제한점이 있다(ATS,
1999).
1) 호흡재활프로그램 구성요소
(1) 교육
만성질환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이해하도록 하여 자기 관리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환자와 가족으로 하여금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환자는 자가관리를 더 능숙하게 할 수 있고 치료계획을 더욱 잘 이행할 수 있게 된다. 교육의 내용으로는 폐의 해부생리, 호흡질환의 병태생리, 기도 관리, 호흡재훈련, 에너지 보존 및 작업 단순화방법, 약물요법, 자가관리 방법, 운동의 효과와 안전지침, 산소요법, 환경자극제 제거, 흉부물리요법, 증상관리, 대처불안공포와 같은 심리적 요소의 조절, 스트레스관리, 인생 말기에 대한 계획, 금연, 여행레져성, 영양이 포함된다(AACVPR, 1998;ATS, 1999; Celli, 1999).
(2) 호흡 재훈련
가스교환을 향상시켜 호흡곤란을 줄이는 방법으로, 첫째, 입술 오무려 숨쉬기(pursed lips breathing)와 둘째, 횡격막 호흡을 포함한다(Tiep, 1997). 입술 오무려 숨쉬기는 호흡곤란이 있고 환기 요구가 올라갈 때 운동 내성(tolerance)을 높이기 위하여 COPD 환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호흡수, 분당 환기량, 혈중 이산화탄소치를 줄이고, 일회 호흡량, 동맥혈 산소압, 산소포화도를 높 인다. 횡격막호흡은 흡기시 횡격막이 하강함과 함께 의도적으로 복부를 팽창시키는 것으로 상부 흉곽의 비효율적인 움감소하여 횡격막의 효율을 증진하는 것이다(ATS, 1999; Lacasse, Guyatt & Goldstein, 1997). 세 번째로는 운동 훈련 으로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 운동요법은 호흡곤란으로 인한 활동량의 감소로 호흡곤란이 더 악화되는 연쇄적인 고리를 차단시킬 수 있다.
운동 훈련은 운동시 심박수 감소, 심박출량의 증가, 조직에서의 산소추출 증가 등의 심혈관계의 효과와 폐 확산능력 증가로 운동 근육에 산소 공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근육 세포내에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크기를 증가시키고, 근육의 산화효소, 근 모세혈관 수, 근육내 글리코겐 저장 및 근육의 유리지방산 사용을 증가시켜, 근육에서의 유산소 대사를 항진시키고 무산소 대사를 줄임으로써 유산생성을 감소시키고, 환자는 자신의 산소화 수준보다 더 활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운동의 종류에 따라 근육의 크기와 힘을 향상시키는 근력 훈련과 어떤 일을 오랫동안 해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지구력 훈련으로 구분되는데 호흡재활은 지구력 훈련에 더 중점을 둔다(ATS, 1999; Casaburi, 1993; Celli, 1993). 운동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운동의 강도, 지속시간, 빈도를 포함하는데, 최대 심박수의 60% 또는 최대 산소섭취량의 50%의 강도로, 1회에 20분 이상, 일주일에 3∼5회를 권장하고, 운동 단계는 점차 증가하며 기간은 3∼4주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Casaburi, 1993). 운동 훈련은 호흡근 훈련, 상지 훈련, 하지 훈련을 포함한다. 호흡근 훈련은 호흡근의 근력과 지구력을 강화하여, 약화된 호흡근의 피로도를 줄이고 환기를 증진함으로써, 호흡 불균형을 막고 조직의 산소화를 높여 증상을 감소할 뿐 아니라 일상생활 활동 증가와 삶의 질을 향상한다.
호흡근 훈련은 흡기근이 능동적 호흡이고 쉽게 피로하며 훈련의 관점에서 수동적 호흡인 호기근 훈련보다 흡기근 훈련에 더 중점을 둔다(Kim, 1984). 흡기근 훈련은 흡기시 일정한 저항을 주어 훈련하는 방법으로 최대 흡기압의 30%에서 시작하여 60∼70%까지 증가한다(Covey etal, 2001). 만성 호흡질환자를 대상으로 최대 운동강도 60∼75%의 고강도 훈련이 30%의 저강도 훈련보다 말초 근육의 oxidative enzyme 증가와 혈중 유산 감소 및 환기 요구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Casaburi et al, 1991; Maltais et al, 1997).
<참고문헌>
정성희, 최윤경 공저(2019). 재활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 기타 재활간호학 관련 서적, 전자도서, 인터넷 학술자료 등
1999).
1) 호흡재활프로그램 구성요소
(1) 교육
만성질환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이해하도록 하여 자기 관리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환자와 가족으로 하여금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환자는 자가관리를 더 능숙하게 할 수 있고 치료계획을 더욱 잘 이행할 수 있게 된다. 교육의 내용으로는 폐의 해부생리, 호흡질환의 병태생리, 기도 관리, 호흡재훈련, 에너지 보존 및 작업 단순화방법, 약물요법, 자가관리 방법, 운동의 효과와 안전지침, 산소요법, 환경자극제 제거, 흉부물리요법, 증상관리, 대처불안공포와 같은 심리적 요소의 조절, 스트레스관리, 인생 말기에 대한 계획, 금연, 여행레져성, 영양이 포함된다(AACVPR, 1998;ATS, 1999; Celli, 1999).
(2) 호흡 재훈련
가스교환을 향상시켜 호흡곤란을 줄이는 방법으로, 첫째, 입술 오무려 숨쉬기(pursed lips breathing)와 둘째, 횡격막 호흡을 포함한다(Tiep, 1997). 입술 오무려 숨쉬기는 호흡곤란이 있고 환기 요구가 올라갈 때 운동 내성(tolerance)을 높이기 위하여 COPD 환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호흡수, 분당 환기량, 혈중 이산화탄소치를 줄이고, 일회 호흡량, 동맥혈 산소압, 산소포화도를 높 인다. 횡격막호흡은 흡기시 횡격막이 하강함과 함께 의도적으로 복부를 팽창시키는 것으로 상부 흉곽의 비효율적인 움감소하여 횡격막의 효율을 증진하는 것이다(ATS, 1999; Lacasse, Guyatt & Goldstein, 1997). 세 번째로는 운동 훈련 으로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 운동요법은 호흡곤란으로 인한 활동량의 감소로 호흡곤란이 더 악화되는 연쇄적인 고리를 차단시킬 수 있다.
운동 훈련은 운동시 심박수 감소, 심박출량의 증가, 조직에서의 산소추출 증가 등의 심혈관계의 효과와 폐 확산능력 증가로 운동 근육에 산소 공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근육 세포내에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크기를 증가시키고, 근육의 산화효소, 근 모세혈관 수, 근육내 글리코겐 저장 및 근육의 유리지방산 사용을 증가시켜, 근육에서의 유산소 대사를 항진시키고 무산소 대사를 줄임으로써 유산생성을 감소시키고, 환자는 자신의 산소화 수준보다 더 활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운동의 종류에 따라 근육의 크기와 힘을 향상시키는 근력 훈련과 어떤 일을 오랫동안 해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지구력 훈련으로 구분되는데 호흡재활은 지구력 훈련에 더 중점을 둔다(ATS, 1999; Casaburi, 1993; Celli, 1993). 운동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운동의 강도, 지속시간, 빈도를 포함하는데, 최대 심박수의 60% 또는 최대 산소섭취량의 50%의 강도로, 1회에 20분 이상, 일주일에 3∼5회를 권장하고, 운동 단계는 점차 증가하며 기간은 3∼4주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Casaburi, 1993). 운동 훈련은 호흡근 훈련, 상지 훈련, 하지 훈련을 포함한다. 호흡근 훈련은 호흡근의 근력과 지구력을 강화하여, 약화된 호흡근의 피로도를 줄이고 환기를 증진함으로써, 호흡 불균형을 막고 조직의 산소화를 높여 증상을 감소할 뿐 아니라 일상생활 활동 증가와 삶의 질을 향상한다.
호흡근 훈련은 흡기근이 능동적 호흡이고 쉽게 피로하며 훈련의 관점에서 수동적 호흡인 호기근 훈련보다 흡기근 훈련에 더 중점을 둔다(Kim, 1984). 흡기근 훈련은 흡기시 일정한 저항을 주어 훈련하는 방법으로 최대 흡기압의 30%에서 시작하여 60∼70%까지 증가한다(Covey etal, 2001). 만성 호흡질환자를 대상으로 최대 운동강도 60∼75%의 고강도 훈련이 30%의 저강도 훈련보다 말초 근육의 oxidative enzyme 증가와 혈중 유산 감소 및 환기 요구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Casaburi et al, 1991; Maltais et al, 1997).
<참고문헌>
정성희, 최윤경 공저(2019). 재활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 기타 재활간호학 관련 서적, 전자도서, 인터넷 학술자료 등
추천자료
[성기능장애][성장애][성기능문제]성기능장애(성장애, 성기능문제) 특징, 성기능장애(성장애,...
[생활과 건간 공통] 뇌졸중은 뇌 일부가 손상- 신경학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질환. 뇌졸중 ...
[생활과 건간 공통] 뇌졸중은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 뇌 혈액 공급 혈관이 터지거나...
정형외과 골반질환손상 골반구조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acetabulum F...
[간호학] 재활간호
생활과건강 2021) 질병예방행위, 1차 예방행위의 개념,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각각의 상태 및 ...
[간호학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