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두문자 및 핵심요약정리집 [근현대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두문자 및 핵심요약정리집 [근현대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 3. 근·현대사

본문내용

, 12대 대통령 선출, 정의사회 구현과 복지사회 건설 내세움, 1987년 6월 민주항쟁, 국민 유화책(국풍 81, 제적 학생 복교, 민주화 인사 복권, 3S정책, 야간 통행 금지 해제 등), 금강산 댐(평화의 댐) 건설계획 발표,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4.13 호헌 조치, 6.29 선언]
● 노태우 정권(제6공화국)
[북방 외교,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출범, 지방자치제 부분 실시, 여소야대 정국, 3당 합당 추진,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 출범]
● 김영삼 정부(문민정부)
[금융 실명제, 공직자 재산 등록, 전면적 지방 자치제, 역사 바로 세우기(12.12사태, 5.18 민주화 운동 진상 조사, 전두환·노태우 구속), 총독부 건물 철거,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 설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성수대교 붕괴, 삼풍백화점 붕괴, 외환위기(IMF) 사태]
●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정권 교체, IMF 극복 노력(금 모으기 운동, 금융·투자 개방 등),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제주 4.3사건 진상 규명 특별법 제정, 여성부 신설, 햇볕정책{금강산 관광 시작(1998), 남북 정상회담(2000) : 6.15 남북 공동 선언, 제2차 이산가족 상봉, 경의선 복구 기공식, 개성공단 착수(2002)}]
● 노무현 정부(참여정부)
[국가보안법 폐지 시도 → 좌절, 대통령 탄핵 시도, KTX 개통, 행정수도 이전 시도 → 헌법 재판소의 위헌 판결(일부 행정 부처만 이동), 호주제 폐지, FTA 타결, 2차 남북 정상회담(2007.10)]
● 이명박 정부
[친실용주의, 친기업주의 가치 표방(작은 정부, 큰 시장), 한미 쇠고기 협상 논란(2008), 4대강 사업, 대북 강경책(천안암 사건, 연평도 포격 사건, 언론 장악]
★ 북한의 대남 도발
: 1968 청와대 습격 사건(김신조)
→ 1968 푸에블로호 사건
→ 1968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
→ 1976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1983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
→ 1987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 1996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
★ 북한의 경제 발전
: 1953년 3개년 경제 계획 - 중공업 우선 정책
→ 1954년 5개년 계획 - 모든 농장의 협동 농장화(1954~1958), 공업 국영화, 천리마 운동(1956)
→ 1960년 제1차 7개년 계획 - 소련의 원조 중단, 군사비 증가로 난관
→ 1980년대 이후 개방정책
- 우리식 사회주의, 합영법(1984), 합작법(1992)
- 자유무역지대 설치(나진, 선봉)
- 개성공업지구법(2002)
★ 대한민국 현대의 경제 발전
: 농지개혁법 제정(1949.6) → 시행(1950.3), 한국 전쟁으로 중단, 완성(1957)
→ 귀속 재산 처리법(1949.12)
→ 제1차 화폐 개혁(1950)
→ 경제조정에 관한 협정(마이어 협정, 1952)
→ 제2차 화폐 개혁(1953)
→ 미국 원조를 차관으로 전환(1950년대 후반) : 재정부담 증대, 경제 불황
→ 청계천 복개(1958~1978)
→ 제1공화국의 경제 개발 7개년 계획{3개년 경제 발전 계획 시안, 이후 4개년 계획 수립}
/ 제2공화국 5개년 계획안{군사정권에 의해 본격화}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 외자도입법 제정(1966)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7~1971){기간 산업, 경공업}
→ 경인 고속 도로(1968)
→ 경부 고속 도로(1970)
→ 전태일 분신(1970)
→ 통일벼 개발(1971)
→ 새마을 운동(1970년대)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72~1976){경공업 → 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
→ 대규모 중화학공업 공장 설치{포항종합제철(1973) 등}, 수출자유지역과 공업 단지 조성
→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77~1981){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
→ 수출 100억 달러 달성(1977)
→ 제2차 석유 파동(1978~1980)
→ 3저 호황(1980년대 중반)
→ 금융실명제 실시(1993)
→ 우루과이라운드 협정 타결(1993)
→ 세계 무역 기구 WTO 출범(1995)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가입(1996)
→ IMF 외환 위기(1997)
→ 노사정 위원회, 구조 조정, 신자유주의 경제, 비정규직 증대, 빈부 격차 확대(2000년대)
→ 수출 3000억 달러 달성(2006)
→ 한미자유무역협정 FTA 타결(2007)
★ 통일을 위한 노력
● 이승만 정권
[한국 전쟁과 멸공·북진 통일론, 진보 세력의 평화 통일론 탄압(진보당 사건)]
● 장면 내각
[민간 차원 중립화 통일론 논의, 남북 협상론, 남북 교류론]
● 박정희 정권
[8.15 선언(평화 통일 구상 선언)(1970)
→ 남북 적십자 회담 제의(1971)
→ 7.4 남북 공동 성명(1972)
→ 6.23 평화 통일 외교 정책 선언(1973)
→ 평화통일 3대 기본 원칙(1974)]
● 전두환 정권
[북한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방안 제시(1980) →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1982)
→ 북한의 수재 물자 제공(1984)
→ 남북 이산가족 최초 고향 방문(1985)
● 노태우 정권
[7.7선언{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1988)
→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 남북 고위급 회담 시작(1990)
→ 남북한 UN 동시 가입(1991.9)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남북한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1991.12)
● 김영삼 정부
[3단계{화해·협력, 남북연합, 통일국가}, 3기조{민주적 국민 합의, 공존·공영, 민족 복리}(1993)
→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 3단계 3기조}]
● 김대중 정부
[남북 화해 협력 정책{햇볕 정책}
→ 금강산 해로 관광 시작(1998.11){육로 관광(2003)}
→ 6.15 남북 공동 선언(2000)
→ 경의선 복구 착수(2000)
→ 남북한 최초 이산가족 서신 교환(2001)
→ 개성 공단 착수(2002)
● 노무현 정부
→ 제2차 남북 정상 회담{10.4 남북 공동 선언}(2007)
  • 가격3,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1.05.14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