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내적 통제방법 6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2점).
2. 간호연구자는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의 방법을 사용한다.
1) 측정도구의 신뢰도란 무엇인지 그 개념 및 정의에 대해 기술하시오(8점).
2) 신뢰도 측정방법 중 안정성, 내적 일관성, 동등성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3. 당뇨병 노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수준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자료들의 ①분산과 ②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각 2점, 총 4점)
4. 다음은 간호연구 수강생의 기말고사 성적표이다. ①중앙값, ②최빈값, ③산술평균, ④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과정도 간략히 기술할 것, 각 2점, 총 8점)
5. 정규분포의 특성을 2가지 이상 기술하고, 자료가 정규분포를 하지 않는 이유 2가지를 간략히 기술하시오. (5점)
6.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10. 참고자료
2. 간호연구자는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의 방법을 사용한다.
1) 측정도구의 신뢰도란 무엇인지 그 개념 및 정의에 대해 기술하시오(8점).
2) 신뢰도 측정방법 중 안정성, 내적 일관성, 동등성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3. 당뇨병 노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수준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자료들의 ①분산과 ②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각 2점, 총 4점)
4. 다음은 간호연구 수강생의 기말고사 성적표이다. ①중앙값, ②최빈값, ③산술평균, ④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과정도 간략히 기술할 것, 각 2점, 총 8점)
5. 정규분포의 특성을 2가지 이상 기술하고, 자료가 정규분포를 하지 않는 이유 2가지를 간략히 기술하시오. (5점)
6.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10. 참고자료
본문내용
al curve)을 기준으로 측정을 하여 좌우의 대칭성에 대한 상대적인 분포도와 상하의 집중도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좌우 대칭성은 왜도(skewness)로 나타내고, 상하 집중성은 첨도(kurtosis)를 통하여 나타낸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왜도
왜도라는 것은 분포의 비대칭선에 대한 측정치이다. 왜도값이 0보다 작은 경우(A 그래프)에는 오른쪽으로 치우져 있으며, 왜도값이 0보다 큰 경우(B 그래프)에는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왜도 >
(자료 :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첨도
첨도는 변수값들이 얼마나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가 뾰족한지 아니면 분산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측정치이다. 정상분포인 경우 첨도를 0으로 보며, 중앙에 몰려 뾰족한 형태를 취할 경우 0보다 크며,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0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첨도 >
(자료 :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표준정규분포 )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으로 평균과 표준편차가 다른 모든 정규분포를 똑같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준화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관찰값을 표준값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 ⓑ Z분포 )라고도 한다.
■ 표준정규분포
정규분포의 확률계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표준정규분포이다. 표준정규분포란 모든 정규분포의 평균을 ‘0’으로 하고, 표준편차를 ‘1’로 표준화시킨 분포를 말한다. 즉,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정규분포 N(0,1)을 표준정규분포라고 한다.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는 Z로 나타내며. 확률변수 Z가 표준정규분포를 따를 때, Z가 구간 (0,b)에 속할 확률 p(0≤Z≤b)는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다.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자료: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추측 등을 ( ⓐ 가설 )이라고 하는데, 특히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 ⓑ 대립가설 ) 또는 연구가설이라 하고, 이에 상반되는 가설을 (ⓒ 귀무가설 ) 또는 영가설이라고 한다.
ⓐ 가설
가설은 문헌 검토를 통해 논리적으로 이루어진 결론이다. 가설을 확인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연구자가 예상하는 바를 연구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가설은 변수 간의 추정관계에 대한 진술로 정의된다. 가설의 서술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 규명이 가설이든, 단지 조사자가 보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가설이든지 간에 서술형의 형태로 나타난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대립가설(연구가설)
대립가설(연구가설)은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싶은 변수 간의 관계를 진술한다. 대립가설(연구가설)은 연구변수에 대한 연구자의 기대나 예측을 나타내는 진술문으로,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으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간에 예상되는 관계를 미래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귀무가설(영가설)
귀무가설(영가설)은 연구변수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진술한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는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관계가 없다고 진술하는 귀무가설이 기각되기를 기대하면서, 귀무가설을 가정한 후 통계 검정을 실시한다. 즉 통계 검정 결과에서 귀무가설의 기각은 연구가설의 채택을 의미할 수 있다.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추론통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 통계적 추정 )은 표본의 성격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분석 방법이며, ( ⓑ 가설검정 )은 모수에 대하여 특정한 가설을 세워놓고 표본을 선택하여 통계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기초로 모수에 대한 가설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 통계적 추정
모집단에 대한 어떤 판단을 하기 위해서 표본을 추출하고, 통계 이론에 의해 추측하는 과정을 통계적 추론이라고 한다. 통계적 추정은 표본을 추출하여 모평균, 모비율과 같은 모집단의 어떤 값을 추측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어느 표본자료로부터 구간을 추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집의 변이성 때문에 모수의 참값이 그 구간에 반드시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확률 이론을 사용하여 임의 표본이 모수를 포함할 가능성을 따지게 되는 것이고, 이 확률을 신뢰도라고 한다. 장세경(2012).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경문사
ⓑ 가설검정
가설검정(hypothesis test)은 통계적 추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표본 자료에서 얻은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모집단에 대하여 가설을 표본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채택 또는 기각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유영태(2019). 경영경제통계학. 한빛아카데미
10. 참고자료
이상미,정성희(2017).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영종(2007). 사회복지조사론(이해와 활용). 학지사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노경섭(2021). 제대로 시작하는 기초 통계학(Excel 활용). 한빛아카데미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용규(2011).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가정의학회지
유영태(2019). 경영경제통계학. 한빛아카데미
윤여각,유범상,황인성(2016).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윤정규(2011).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범문에듀케이션
장세경(2012).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경문사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 왜도
왜도라는 것은 분포의 비대칭선에 대한 측정치이다. 왜도값이 0보다 작은 경우(A 그래프)에는 오른쪽으로 치우져 있으며, 왜도값이 0보다 큰 경우(B 그래프)에는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왜도 >
(자료 :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첨도
첨도는 변수값들이 얼마나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가 뾰족한지 아니면 분산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측정치이다. 정상분포인 경우 첨도를 0으로 보며, 중앙에 몰려 뾰족한 형태를 취할 경우 0보다 크며,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0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첨도 >
(자료 :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표준정규분포 )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으로 평균과 표준편차가 다른 모든 정규분포를 똑같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준화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관찰값을 표준값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 ⓑ Z분포 )라고도 한다.
■ 표준정규분포
정규분포의 확률계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표준정규분포이다. 표준정규분포란 모든 정규분포의 평균을 ‘0’으로 하고, 표준편차를 ‘1’로 표준화시킨 분포를 말한다. 즉,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정규분포 N(0,1)을 표준정규분포라고 한다.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는 Z로 나타내며. 확률변수 Z가 표준정규분포를 따를 때, Z가 구간 (0,b)에 속할 확률 p(0≤Z≤b)는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다.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자료: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추측 등을 ( ⓐ 가설 )이라고 하는데, 특히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 ⓑ 대립가설 ) 또는 연구가설이라 하고, 이에 상반되는 가설을 (ⓒ 귀무가설 ) 또는 영가설이라고 한다.
ⓐ 가설
가설은 문헌 검토를 통해 논리적으로 이루어진 결론이다. 가설을 확인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연구자가 예상하는 바를 연구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가설은 변수 간의 추정관계에 대한 진술로 정의된다. 가설의 서술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 규명이 가설이든, 단지 조사자가 보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가설이든지 간에 서술형의 형태로 나타난다.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대립가설(연구가설)
대립가설(연구가설)은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싶은 변수 간의 관계를 진술한다. 대립가설(연구가설)은 연구변수에 대한 연구자의 기대나 예측을 나타내는 진술문으로,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으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간에 예상되는 관계를 미래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귀무가설(영가설)
귀무가설(영가설)은 연구변수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진술한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는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관계가 없다고 진술하는 귀무가설이 기각되기를 기대하면서, 귀무가설을 가정한 후 통계 검정을 실시한다. 즉 통계 검정 결과에서 귀무가설의 기각은 연구가설의 채택을 의미할 수 있다.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추론통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 통계적 추정 )은 표본의 성격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분석 방법이며, ( ⓑ 가설검정 )은 모수에 대하여 특정한 가설을 세워놓고 표본을 선택하여 통계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기초로 모수에 대한 가설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 통계적 추정
모집단에 대한 어떤 판단을 하기 위해서 표본을 추출하고, 통계 이론에 의해 추측하는 과정을 통계적 추론이라고 한다. 통계적 추정은 표본을 추출하여 모평균, 모비율과 같은 모집단의 어떤 값을 추측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어느 표본자료로부터 구간을 추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집의 변이성 때문에 모수의 참값이 그 구간에 반드시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확률 이론을 사용하여 임의 표본이 모수를 포함할 가능성을 따지게 되는 것이고, 이 확률을 신뢰도라고 한다. 장세경(2012).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경문사
ⓑ 가설검정
가설검정(hypothesis test)은 통계적 추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표본 자료에서 얻은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모집단에 대하여 가설을 표본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채택 또는 기각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유영태(2019). 경영경제통계학. 한빛아카데미
10. 참고자료
이상미,정성희(2017).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영종(2007). 사회복지조사론(이해와 활용). 학지사
김정우,양심영(2008).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노경섭(2021). 제대로 시작하는 기초 통계학(Excel 활용). 한빛아카데미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용규(2011).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가정의학회지
유영태(2019). 경영경제통계학. 한빛아카데미
윤여각,유범상,황인성(2016).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윤정규(2011).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범문에듀케이션
장세경(2012).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경문사
지학사 편집부(2012). 수학교과서(고2). 지학사
추천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설립취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
[간호연구] 2020년 1학기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과제물
가족건강간호학 기말] 1.우리나라의 노인학대가족 1) 우리나라의 노인학대 발생현황 2) 노인...
[간호학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청소년건강과간호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청소년건강과간호]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전략적간호관리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간호연구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