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5점]
2. “대구”를 Taegu와 Daegu 둘 중 어떤 것으로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 논하시오. [10점]
3. Christmas를 [크리스마스]와 같이 발음하면 영미 화자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10점]
4. 혼성어, 두음절어를 각각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설명하시오. [5점]
5. 한국어에는 어순을 바꾸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교과서에 없는 예문과 함께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교과서 예문을 적절히 변형해도 됨.) [5점]
6. 뇌의 편재화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5점]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참고문헌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5점]
국제음성기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5점]
2. “대구”를 Taegu와 Daegu 둘 중 어떤 것으로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 논하시오. [10점]
3. Christmas를 [크리스마스]와 같이 발음하면 영미 화자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10점]
4. 혼성어, 두음절어를 각각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설명하시오. [5점]
5. 한국어에는 어순을 바꾸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교과서에 없는 예문과 함께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교과서 예문을 적절히 변형해도 됨.) [5점]
6. 뇌의 편재화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5점]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참고문헌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5점]
국제음성기
본문내용
정답률 등에 수행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윌리엄 라보프(William Labov, 1927년 12월 4일~ )는 사회언어학에 변이연구 방법론을 정립시킨 미국의 언어학자이며 흔히 사회언어학의 태두로 간주된다. 라보프는 사회언어학이야말로 언어학이며 기존 언어학은 순수언어학이라 불러야 한다고 믿었고 언어 구조 연구는 반드시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라보프가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English in New York City(1966)에서 수행한 음운 변이 연구는 이후의 음운 변이 연구에 있어서 하나의 전범이 되었다. 그는 \'관찰자의 역설\'(observer\'s paradox)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독창적인 자료 수집방식을 고안했고, 가장 유명한 것이 뉴욕시의 백화점에서 손님이 점원에게 질문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한 경우이다. 라보프는 뉴욕 동부 저지대 주민들과 인터뷰를 하여 녹음하는데 그는 녹음과정에서 주민들이 특정 발음을 하게끔 유도하는 질문을 던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실험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상중하위 계급을 나누어 조사했다. 이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발음을 유도하여 발음이 어떻게 교정되는가를 조사한다. 전제 발음 횟수 중에서 얼마나 상위발음을 했는가를 %로 나타낸다.
r 지수 : r발음의 유무
dh 지수 : th가 d/đd/đ 중 어느 발음으로 나는가?
th 지수 : th가 t/tθ/θ 중 어느 발음으로 나는가? 등 상황을 여러 가지로 나눈다. 비격식화체(A), 일상어(B), 낭독화체(C), 어휘만이 강조된 낭독화체(D), 발음의 최소대립쌍이 드러나는 어휘가 강조된 낭독화체(D\')이런 조건에서 음운변이를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와 같은 경향성이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보면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표준발음을 하며 좀 더 격식있는 대화로 갈수록 표준발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발음을 명확하게 하고, t/tθ/θ 중 θ를 강하게 하며, d/đd/đ 중 đ를 강하게 발음하는 것이 그들의 표준발음이다. 이것을 해석하면 격식차린 말에서는 중상류층이 상류층보다 발음을 더 명확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라보프는 과잉교정(hypercorrection)이라 불렀다.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피진(pidgin)[piddin] 또는 피진어는 서로 다른 두 언어의 화자가 만나 의사소통을 위해 자연스레 형성한 혼성어를 부르는 말이다. 피진이 뿌리내려 모국어로서 사용되는 말을 크리올이라 한다.‘피진(pidgin)’은 중국 피진 영어로 ‘일(business)’을 뜻하는 단어였으며, 19세기에는 언어인 중국 피진 영어 자체를 부르는 말로도 쓰이다가 이후 혼성어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언어 접촉에서 볼 수 있는 두 번째 면은 별개의 언어 변이형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피진은 시장과 같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 간에 제한된 관계가 형성되는 환경이나 식민지 농장의 주인과 노예 사이와 같은 특수한 권력 관계에서 진화되어 온 언어이다.
피진은 어떤 특정 집단의 모국어는 아니지만 자신들의 공동체에서 자신들의 언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오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 접촉했을 때 습득되는 언어이다. 피진의 정교함은 사용되는 대화의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기능적인 요구가 늘어나면 그 요구에 맞추기 위해 피진은 더 정교해지고 더 큰 힘을 가지게 된다. 피진은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해법이다. 개인들은 사업상의 필요에 의해 한 언어를 제한적으로 습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백인 무역상들은 나바호 언어에 대해 제한적인 지식을 습득했고 개별 화자들은 자신들만의 실수와 절충의 과정을 거쳤다. 피진이라는 용어는 표준을 형성한 사회적 변이형으로 보는 것이 이상적이다. 피진은 두 개 이상의 언어의 혼합이다. 때때로 문법체계는 한 언어에 기반을 두고 단어는 다른 언어에 기초를 두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문법은 단순화된다. 즉 다시 말하자면 근간을 이루는 언어의 일부 특징들이 생략되게 된다. 따라서 피진은 제한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언어에서 벗어나 점점 늘어나는 광범위한 사회적 필요를 수용해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크레올화라고 부르고 언어는 확대, 발전되고 음운과 문법적으로 보다 복잡해지게 된다.
<참고문헌>
인간과 언어, 박동우 외 4인,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윌리엄 라보프(William Labov, 1927년 12월 4일~ )는 사회언어학에 변이연구 방법론을 정립시킨 미국의 언어학자이며 흔히 사회언어학의 태두로 간주된다. 라보프는 사회언어학이야말로 언어학이며 기존 언어학은 순수언어학이라 불러야 한다고 믿었고 언어 구조 연구는 반드시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라보프가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English in New York City(1966)에서 수행한 음운 변이 연구는 이후의 음운 변이 연구에 있어서 하나의 전범이 되었다. 그는 \'관찰자의 역설\'(observer\'s paradox)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독창적인 자료 수집방식을 고안했고, 가장 유명한 것이 뉴욕시의 백화점에서 손님이 점원에게 질문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한 경우이다. 라보프는 뉴욕 동부 저지대 주민들과 인터뷰를 하여 녹음하는데 그는 녹음과정에서 주민들이 특정 발음을 하게끔 유도하는 질문을 던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실험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상중하위 계급을 나누어 조사했다. 이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발음을 유도하여 발음이 어떻게 교정되는가를 조사한다. 전제 발음 횟수 중에서 얼마나 상위발음을 했는가를 %로 나타낸다.
r 지수 : r발음의 유무
dh 지수 : th가 d/đd/đ 중 어느 발음으로 나는가?
th 지수 : th가 t/tθ/θ 중 어느 발음으로 나는가? 등 상황을 여러 가지로 나눈다. 비격식화체(A), 일상어(B), 낭독화체(C), 어휘만이 강조된 낭독화체(D), 발음의 최소대립쌍이 드러나는 어휘가 강조된 낭독화체(D\')이런 조건에서 음운변이를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와 같은 경향성이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보면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표준발음을 하며 좀 더 격식있는 대화로 갈수록 표준발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발음을 명확하게 하고, t/tθ/θ 중 θ를 강하게 하며, d/đd/đ 중 đ를 강하게 발음하는 것이 그들의 표준발음이다. 이것을 해석하면 격식차린 말에서는 중상류층이 상류층보다 발음을 더 명확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라보프는 과잉교정(hypercorrection)이라 불렀다.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피진(pidgin)[piddin] 또는 피진어는 서로 다른 두 언어의 화자가 만나 의사소통을 위해 자연스레 형성한 혼성어를 부르는 말이다. 피진이 뿌리내려 모국어로서 사용되는 말을 크리올이라 한다.‘피진(pidgin)’은 중국 피진 영어로 ‘일(business)’을 뜻하는 단어였으며, 19세기에는 언어인 중국 피진 영어 자체를 부르는 말로도 쓰이다가 이후 혼성어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언어 접촉에서 볼 수 있는 두 번째 면은 별개의 언어 변이형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피진은 시장과 같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 간에 제한된 관계가 형성되는 환경이나 식민지 농장의 주인과 노예 사이와 같은 특수한 권력 관계에서 진화되어 온 언어이다.
피진은 어떤 특정 집단의 모국어는 아니지만 자신들의 공동체에서 자신들의 언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오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 접촉했을 때 습득되는 언어이다. 피진의 정교함은 사용되는 대화의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기능적인 요구가 늘어나면 그 요구에 맞추기 위해 피진은 더 정교해지고 더 큰 힘을 가지게 된다. 피진은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해법이다. 개인들은 사업상의 필요에 의해 한 언어를 제한적으로 습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백인 무역상들은 나바호 언어에 대해 제한적인 지식을 습득했고 개별 화자들은 자신들만의 실수와 절충의 과정을 거쳤다. 피진이라는 용어는 표준을 형성한 사회적 변이형으로 보는 것이 이상적이다. 피진은 두 개 이상의 언어의 혼합이다. 때때로 문법체계는 한 언어에 기반을 두고 단어는 다른 언어에 기초를 두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문법은 단순화된다. 즉 다시 말하자면 근간을 이루는 언어의 일부 특징들이 생략되게 된다. 따라서 피진은 제한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언어에서 벗어나 점점 늘어나는 광범위한 사회적 필요를 수용해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크레올화라고 부르고 언어는 확대, 발전되고 음운과 문법적으로 보다 복잡해지게 된다.
<참고문헌>
인간과 언어, 박동우 외 4인,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추천자료
[언어의이해A]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언어학의 각 영역을 ...
[언어의이해B]인간언어와 동물(곤충)언어의 특징을 비교하고, 자음과 모음의 분류에 대해 설명
[언어의이해C]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의 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소쉬르 언어학의 주요 내...
[언어의이해 D형] 인간언어의 음성 특성에 대해 설명 : 방통대 중간과제물 음성 특성
방통대 중간과제물) 인간언어의 음성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 언어의 이해
방통대 중간과제물)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언어의이해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인간언어와 동물언어
동물의 언어나 다른 기호에 대한 인간언어의 배타성 특성에 대해 논하시오 [인간언어]
[언어의이해 A형]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 - 언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