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분석적 문제해결은 일반적으로 ‘문제정의’, ‘대안모색’, ‘대안평가’, ‘해결책 실행’의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각 단계의 의미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10점)
2. ‘자기인식(self-awareness)의 양면성’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 혹은 경험(사례)을 기술하세요. (20점)
3. French와 Raven(1959)가 제시한 5가지 권력 원천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각각에 대한 예시 혹은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세요. (20점)
4. 조절초점 이론(Self-regulatory focus theory)에 대해 작성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 혹은 경험(사례)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세요. (20점)
참고문헌
1. 분석적 문제해결은 일반적으로 ‘문제정의’, ‘대안모색’, ‘대안평가’, ‘해결책 실행’의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각 단계의 의미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10점)
1. 분석적 문제해결은 일반적으로 ‘문제정의’, ‘대안모색’, ‘대안평가’, ‘해결책 실행’의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각 단계의 의미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10점)
2. ‘자기인식(self-awareness)의 양면성’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 혹은 경험(사례)을 기술하세요. (20점)
3. French와 Raven(1959)가 제시한 5가지 권력 원천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각각에 대한 예시 혹은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세요. (20점)
4. 조절초점 이론(Self-regulatory focus theory)에 대해 작성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 혹은 경험(사례)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세요. (20점)
참고문헌
1. 분석적 문제해결은 일반적으로 ‘문제정의’, ‘대안모색’, ‘대안평가’, ‘해결책 실행’의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각 단계의 의미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10점)
본문내용
하였다(Higgins, 1998). 이 두 가지 성향은 한 개인이 어려서부터 경험하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다. 사회화 과정에서 이상(Ideal Goals)을 달성하는데 집중하게 되면 향상
지향의 조절초점을 형성하게 되며 개인의 이상, 희망, 열망 등을 목적으로 긍정적인 결과에 접근하는 행동전략을 선호하게 된다(유우준, 2017).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에 의하면 사람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조절하고자 하는데, 이는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통제 방식에도 차이를 보인다(Heine & Lehman & Markus & Kitayama, 1990). 개인의 목표, 혹은 동기의 조절 방향이 소비자 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동기 조절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동기로 인하여 각각의 다른 감정과 생각, 행동이 표출된다(Higgins 1997, 1998, 2000)
조절초점성향은 크게 향상초점(Promotion Focus),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된다. 향상초점의 사람들은 이상, 성장, 열망에 보다 더 크게 초점과 관심을 둔다. 그리고 바라는 결과 혹은 긍정적인 혜택을 얻기 위해 현재의 상황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와 달리 예방초점 사람들은 안전, 방어, 의무에 보다 더 크게 초점과 관심을 두고, 바라지 않던 불만족스러운 결과는 피하고자 한다. 향상초점은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상태로 접근을 꾀하는 적극적인 접근전략(Approach Strategy)이며, 예방초점은 나쁜 결과를 피하기 위해 자신이 유지해야 하는 최소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회피전략(Avoidance Strategy)이라고 할 수 있다(Higgins, 1998).
청소년의 비행유형과 조절초점이론의 상관관계 연구를 위해 서울소년분류심사원에 위탁된 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행횟수를 조사하고 이들이 저지른 비행을 4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더니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즉 위탁횟수와 예방초점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난 것이다. 예방초점이 낮은 소년일수록 비행을 빈번하게 저지르는 셈이다.
자기향상 욕구가 만성적으로 높거나 강한 자기이상을 추구하거나 혹은 획득-비획득(Gain-Non Gain)과 관련된 상황(바람직한 결과를 얻게 되거나 얻지 못하게 되는 상황)은 사람들이 향상초점을 지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iggins, 1998). 이에 반해 안전욕구, 강한 당위성, 손실-비손실(Loss-Non Loss)과 관련된 상황(바람직한 결과를 잃게 되거나 잃지 않게 되는 상황)은 사람들이 예방초점을 지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iggins, 1998). 향상초점은 긍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고 예방초점은 항상 부정적은 결과에 초점을 두고 사건을 바라본다. 특히 이러한 예방초점은 나이 많으신 어르신들에게서 더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노화로 인해 더 보수적으로 변한다는 것은 아마도 젊었을 때 경험한 여러 부정적인 경험들이 그들의 부정적인 초점 의식을 자극하여 관성이 되어 고착된 것은 아니가 싶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해 우리 언론이 보여주고 있는 백신 부작용 부풀리기가 단순히 이러한 예방초점에 맞춰진 탓에서 비롯되었기를 바란다. 하지만 진실로 백신이 위험하다고 여겨지더라도 자신들의 부모님들에게는 백신의 부작용보다 백신을 맞게 되며 생기는 유익이 더 크니까 당연히 맞으셔야 한다고 당부하기를 기대한다. 기자들 자신들을 백신을 못 믿어서 안 맞더라도 말이다.
참고문헌
청소년리더십개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지향의 조절초점을 형성하게 되며 개인의 이상, 희망, 열망 등을 목적으로 긍정적인 결과에 접근하는 행동전략을 선호하게 된다(유우준, 2017).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에 의하면 사람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조절하고자 하는데, 이는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통제 방식에도 차이를 보인다(Heine & Lehman & Markus & Kitayama, 1990). 개인의 목표, 혹은 동기의 조절 방향이 소비자 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동기 조절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동기로 인하여 각각의 다른 감정과 생각, 행동이 표출된다(Higgins 1997, 1998, 2000)
조절초점성향은 크게 향상초점(Promotion Focus),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된다. 향상초점의 사람들은 이상, 성장, 열망에 보다 더 크게 초점과 관심을 둔다. 그리고 바라는 결과 혹은 긍정적인 혜택을 얻기 위해 현재의 상황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와 달리 예방초점 사람들은 안전, 방어, 의무에 보다 더 크게 초점과 관심을 두고, 바라지 않던 불만족스러운 결과는 피하고자 한다. 향상초점은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상태로 접근을 꾀하는 적극적인 접근전략(Approach Strategy)이며, 예방초점은 나쁜 결과를 피하기 위해 자신이 유지해야 하는 최소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회피전략(Avoidance Strategy)이라고 할 수 있다(Higgins, 1998).
청소년의 비행유형과 조절초점이론의 상관관계 연구를 위해 서울소년분류심사원에 위탁된 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행횟수를 조사하고 이들이 저지른 비행을 4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더니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즉 위탁횟수와 예방초점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난 것이다. 예방초점이 낮은 소년일수록 비행을 빈번하게 저지르는 셈이다.
자기향상 욕구가 만성적으로 높거나 강한 자기이상을 추구하거나 혹은 획득-비획득(Gain-Non Gain)과 관련된 상황(바람직한 결과를 얻게 되거나 얻지 못하게 되는 상황)은 사람들이 향상초점을 지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iggins, 1998). 이에 반해 안전욕구, 강한 당위성, 손실-비손실(Loss-Non Loss)과 관련된 상황(바람직한 결과를 잃게 되거나 잃지 않게 되는 상황)은 사람들이 예방초점을 지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iggins, 1998). 향상초점은 긍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고 예방초점은 항상 부정적은 결과에 초점을 두고 사건을 바라본다. 특히 이러한 예방초점은 나이 많으신 어르신들에게서 더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노화로 인해 더 보수적으로 변한다는 것은 아마도 젊었을 때 경험한 여러 부정적인 경험들이 그들의 부정적인 초점 의식을 자극하여 관성이 되어 고착된 것은 아니가 싶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해 우리 언론이 보여주고 있는 백신 부작용 부풀리기가 단순히 이러한 예방초점에 맞춰진 탓에서 비롯되었기를 바란다. 하지만 진실로 백신이 위험하다고 여겨지더라도 자신들의 부모님들에게는 백신의 부작용보다 백신을 맞게 되며 생기는 유익이 더 크니까 당연히 맞으셔야 한다고 당부하기를 기대한다. 기자들 자신들을 백신을 못 믿어서 안 맞더라도 말이다.
참고문헌
청소년리더십개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