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영역과 임계영역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계영역과 임계영역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계영역의 정의



2. 임계영역의 해결조건



3. 임계영역의 해결방법

3-a. Dekker's solution 1

3-b. Dekker's solution 2

3-c. Peterson's solution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뀐 후 문맥교환이 이루어질 경우 프로세스B는 실제로 임계영역에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지만 변수값에 의해 프로세스가 있다고 판단하므로 임계영역에 어떠한 프로세스도 진입하지 못하고 계속 대기하게 되므로 진행조건과 제한된 대기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3-c. Peterson\'s solution
Peterson‘s 알고리즘은 flag와 turn이라는 변수로 임계영역에 들어갈 프로세스(혹은 스레드)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Dekker\'s 알고리즘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상대방(다른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에게 진입기회를 양보한다는 차이가 있다.
각각의 프로세스는 공유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다른 프로세스가 대기하지 말아야하거나 자신의 차례여야 한다. 단, 본인의 순서가 아니더라도 다른 프로세스가 대기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근이 가능하다. Pi의 경우 while코드에서 수행되고 있을 동안 변수 turn의 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j에 의해서만 변화한다. 즉, 한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게 제한을 걸어두게 된다.
4. 참고문헌
[운영체제]임계영역 해결조건 & Peterson\'s solution(피터슨 알고리즘), jhnyang
운영체제 및 실습, wndrlf2003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1.05.27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