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Ⅱ. 제 4차산업혁명, 전분야로의 영향 2
1. 공공부문 2
2. 기술·산업적 측면 2
3. 고용구조 3
4. 교육 분야 3
Ⅲ.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4
1. 발빠른 정부의 대처능력 4
2. 과학기술 경쟁력의 강화 4
3.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법 도입 5
4.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연구 5
Ⅳ. 결론 5
Ⅴ. 참고문헌 6
Ⅱ. 제 4차산업혁명, 전분야로의 영향 2
1. 공공부문 2
2. 기술·산업적 측면 2
3. 고용구조 3
4. 교육 분야 3
Ⅲ.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4
1. 발빠른 정부의 대처능력 4
2. 과학기술 경쟁력의 강화 4
3.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법 도입 5
4.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연구 5
Ⅳ. 결론 5
Ⅴ. 참고문헌 6
본문내용
가 만들어질 것인가에 있어야 한다. 앞으로는 인공지능과 기술 통합이 기존 직업군에서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나 새로운 시스템에 따른 일자리 등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 노동정책 및 시장은 아직까지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변화를 대응하기에는 척박한 환경이다. 아직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에 추상적,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수준이다. 신기술에 대한 전망 및 산업화가 보도되고 있으나 나열 및 소개에 그치고 구체적인 관련기술 및 인력양성방안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김동민, [고용] 기로에 선 노동시장…4차 산업시대 일자리 감소할까 증가할까, 뉴스워커, 2016.12.24.
Ⅳ. 결론
앞서 세 번의 산업혁명을 인간이 주도했던 것처럼 제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도 인간이 있다. 로봇이나 기술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이 주체가 되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끌어나가야 한다. 기술 혁신의 바람직한 미래는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보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동전의 양면처럼 제4차 산업혁명 또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은 인공지능과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 수명의 증가, 빅데이터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저장과 이동의 신속성 및 효율성의 증진, 또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을 통해서 업무처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이 증진이 있다. 부정적인 측면에는 로봇공학, 인공지능 기술 발달로 인한 산업 자동화로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 또 빅데이터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서 정보의 익명성 상실과 인권 침해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기술과 생명공학 기술로 인해서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제4차 산업혁명의 긍정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인간은 매우 적응력이 강한 존재이지만, 앞으로 다가올 변화들은 기존에 경험했던 1, 2, 3차 산업혁명의 변화와는 달리 매우 단절적이고 그 정도도 엄청나다. 또한 예상되는 변화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여부를 미리 알 수도 없다. 이에 대해서 지금부터 대비하지 않으면 국가 경쟁력은 물론이고 국가 생존까지 위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변화의 방향과 양상을 미리 논의하고 필요한 사회적 합의를 준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구성원 개개인 모두가 제4차 산업혁명에 되도록 많이 귀를 기울여서 더 많이 알고 변화될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제4차 산업혁명이 완성되어 사람들이 보다 더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소득의 양극화로 사람들의 삶이 더 팍팍해지는 건 아닐지 걱정도 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제3차 산업혁명까지 인간의 능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잘 극복해왔기에 쉽지는 않겠지만 제4차 산업혁명이 완성되는 날 또한 그리 멀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참고문헌 정리한 것>
1. 구글, “제 4차 산업혁명”,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4%EC%B0%A8_%EC%82%B0%EC%97%85%ED%98%81%EB%AA%85, (2018.5.8.)
2. 장광호, 『글로벌 경제론 무한 경쟁 시대의 신경제 시스템』, 지식의 숲(2006). p351-352
3. 최계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2016.4., p28-29
4. 조윤정,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제736호, 2017.3., p68
5.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Employments,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6.1.18.
6. 이준기, [알아봅시다]‘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상, 금융권 가장 타격, 디지털타임스, 2017.11.16.
7.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p55-56
8. 정원모(2017), 4차 산업혁명과 환경,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눈문집, p269-291
9. 김동민, [고용] 기로에 선 노동시장…4차 산업시대 일자리 감소할까 증가할까, 뉴스워커, 2016.12.24.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05
10. 박준호, 4차 산업혁명發 일자리, 금융권 가장 타격, 중앙일보, 2016.10.24.
현재 국내 노동정책 및 시장은 아직까지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변화를 대응하기에는 척박한 환경이다. 아직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에 추상적,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수준이다. 신기술에 대한 전망 및 산업화가 보도되고 있으나 나열 및 소개에 그치고 구체적인 관련기술 및 인력양성방안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김동민, [고용] 기로에 선 노동시장…4차 산업시대 일자리 감소할까 증가할까, 뉴스워커, 2016.12.24.
Ⅳ. 결론
앞서 세 번의 산업혁명을 인간이 주도했던 것처럼 제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도 인간이 있다. 로봇이나 기술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이 주체가 되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끌어나가야 한다. 기술 혁신의 바람직한 미래는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보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동전의 양면처럼 제4차 산업혁명 또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은 인공지능과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 수명의 증가, 빅데이터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저장과 이동의 신속성 및 효율성의 증진, 또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을 통해서 업무처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이 증진이 있다. 부정적인 측면에는 로봇공학, 인공지능 기술 발달로 인한 산업 자동화로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 또 빅데이터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서 정보의 익명성 상실과 인권 침해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기술과 생명공학 기술로 인해서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제4차 산업혁명의 긍정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인간은 매우 적응력이 강한 존재이지만, 앞으로 다가올 변화들은 기존에 경험했던 1, 2, 3차 산업혁명의 변화와는 달리 매우 단절적이고 그 정도도 엄청나다. 또한 예상되는 변화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여부를 미리 알 수도 없다. 이에 대해서 지금부터 대비하지 않으면 국가 경쟁력은 물론이고 국가 생존까지 위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변화의 방향과 양상을 미리 논의하고 필요한 사회적 합의를 준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구성원 개개인 모두가 제4차 산업혁명에 되도록 많이 귀를 기울여서 더 많이 알고 변화될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제4차 산업혁명이 완성되어 사람들이 보다 더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소득의 양극화로 사람들의 삶이 더 팍팍해지는 건 아닐지 걱정도 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제3차 산업혁명까지 인간의 능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잘 극복해왔기에 쉽지는 않겠지만 제4차 산업혁명이 완성되는 날 또한 그리 멀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참고문헌 정리한 것>
1. 구글, “제 4차 산업혁명”,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4%EC%B0%A8_%EC%82%B0%EC%97%85%ED%98%81%EB%AA%85, (2018.5.8.)
2. 장광호, 『글로벌 경제론 무한 경쟁 시대의 신경제 시스템』, 지식의 숲(2006). p351-352
3. 최계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2016.4., p28-29
4. 조윤정,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제736호, 2017.3., p68
5.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Employments,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6.1.18.
6. 이준기, [알아봅시다]‘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상, 금융권 가장 타격, 디지털타임스, 2017.11.16.
7.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p55-56
8. 정원모(2017), 4차 산업혁명과 환경,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눈문집, p269-291
9. 김동민, [고용] 기로에 선 노동시장…4차 산업시대 일자리 감소할까 증가할까, 뉴스워커, 2016.12.24.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05
10. 박준호, 4차 산업혁명發 일자리, 금융권 가장 타격, 중앙일보, 2016.10.24.
추천자료
[세계의 역사]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산업혁명에 ...
[세계의 역사 공통]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산업혁...
[세계의역사] 2019년 방통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방통대)유아교육과 1학년 중간과제물- 세계의 역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의료기기산업 정책 현황분석 및 투자 유치 활성화 방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직업세계의 변화를 대비한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청소년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