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례연구 요약
2)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3)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4) 참고문헌
2)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3)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과
정상치
Neutrophil %
57.6
40~75
Lymphocyte %
25.1
13~44
위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목표달성 이라고 판단하였다.
3.수술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날짜
12/4~12/7
간호사정
S data : “어지러워요.”
O data :
- 수술 후 낙상평가 점수 : 25점 (분류군 : Low)
- 12/4일 수술로 인해서 잘 움직이지 못함
- 수술 후 Foley catheter를 삽관중임
IV Line을 보유하고 있음
- 대상자는 과거력으로 빈혈이 있음
- PCA를 사용 중임
- 12/5 혈액검사결과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Hb
11.9▼
12~16
Hct
35.2▼
36~46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목표
(기대결과)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이동시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으며 비틀거리지 않는다.
대상자는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 내용을 잘 이행한다.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항상 침대 Side rail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침대의 난간을 통해서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한다.
(침대의 바퀴를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약한 밀침, 충격으로 쉽게 밀려날 수 있음을 방지한다.)
-간호사 호출기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위급상황에서 호출기를 통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환자에게 필요한 도구는 팔이 닿는 가까운 곳에 두고 환자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기계는 가까이 두지 않는다.
(안전한 환경은 낙상위험성을 감소시킨다.)
-환자에게 필요한 경우 안경, 신발을 사용하도록 한다.
(안경과 신발을 사용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침상 밖의 물건을 잡기위해 무리하게 침대 밖으로 몸을 내밀거나 숙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침상에서 무리하게 몸을 내밀게 되면 낙상을 할 위험성이 증가한다.)
-정상적인 배뇨 및 배변을 유지하는지 사정하고, 긴급뇨 및 요실금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대상자의 배변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한다.
(어지러움이나 울렁거림의 부작용이 있는 약물은 낙상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한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와 환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간호수행
-항상 침대 Side rail을 올리도록 교육하였다. (by RN)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한다. (by RN)
-간호사 호출기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환자에게 필요한 도구는 팔이 닿는 가까운 곳에 두고 환자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기계는 가까이 두지 않았다. (by RN)
-환자에게 필요한 경우 안경, 신발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by RN)
-침상 밖의 물건을 잡기위해 무리하게 침대 밖으로 몸을 내밀거나 숙이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by RN)
-정상적인 배뇨 및 배변을 유지하는지 사정하였다. (by RN)
(대상자에게 소변량이 얼마나 나오는지 기록해 달라고 하였으며 주기적으로 배변 양 상을 사정하였다.)
날짜
섭취량/배설량
총량
Stool
12/4
2500/3070
-570
0
12/5
2800/2690
+110
0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하였다. (by RN)
(대상자가 “울렁거려요”라고 호소하여 PCA를 hold 하였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하였다. (by RN)
간호평가
-12/5일부터 대상자는 천천히 병동을 걸어 다녔으며 이동시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 고 비틀거리지 않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누워있을 때 항상 침대의 Side rail을 올리고 있었으며 울렁거리는 증상이 생겼을 때 바로 간호사에게 알림으로써 낙상을 예방하는 등 교육내용을 잘 이행하였다. (목표달성)
위와 같은 결과들과 실제로 대상자가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으므로 목표달성이라고 평가하였다.
7. 퇴원개요
1) 미해결된 간호진단
-없음
2) 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식
- 퇴원일: 2019.12.07 - 재원일: 5일
- 합병증: 없음 - 입원 후 특이사항: 없음
- 치료결과: 양호 - 퇴원 후 치료 계획: 외래 통원 치료
- 퇴원 형태: 지시 퇴원 - 퇴원 시 이동수단 및 거주 장소: 자가용, 자택
- 퇴원 후 보호자 거주 유무: 유 - 퇴원 후 간호 제공자 유무: 유
- 퇴원 시 교육 대상: 환자, 보호자 - 퇴원 후 보조기구, 장비 요구: 무
퇴원교육
- 장기간 앉아 있는 것을 피하며 수술 후 4주간은 정구, 조깅, 에어로빅 같은 격렬한 운동 과 청소, 빨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일 등은 금하고, 그 후부터는 서서히 신체적 활동과 운동을 증가시킨다.
- 빠른 치유와 조직 회복을 위해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음식을 취하도 록 한다.
-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는다.
- 식욕촉진 위해 산책이나 수영 등 규칙적인 운동을 권장한다.
- 변비는 식욕을 저하시키고 배변 시 불편감이 가중되므로 미리 예방한다.
- 충분한 수분 섭취와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먹고 규칙적인 배변습관, 적당한 운동 등 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 샤워는 퇴원 후 가능 하며 통목욕은 어지럼증이나 수술부위의 긴장감을 줄 수 있기 때 문에 4주까지는 금하도록 한다.
- 원인 불명의 질 출혈이 있을 경우 반드시 병원을 방문 한다.
퇴원약
Motilitone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Brufen 200mg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Ceftil 250mg 250MG BP 3회 7일 (아침, 저녁 식후 30분)
4) 참고문헌
-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7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정상치
Neutrophil %
57.6
40~75
Lymphocyte %
25.1
13~44
위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목표달성 이라고 판단하였다.
3.수술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날짜
12/4~12/7
간호사정
S data : “어지러워요.”
O data :
- 수술 후 낙상평가 점수 : 25점 (분류군 : Low)
- 12/4일 수술로 인해서 잘 움직이지 못함
- 수술 후 Foley catheter를 삽관중임
IV Line을 보유하고 있음
- 대상자는 과거력으로 빈혈이 있음
- PCA를 사용 중임
- 12/5 혈액검사결과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Hb
11.9▼
12~16
Hct
35.2▼
36~46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목표
(기대결과)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이동시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으며 비틀거리지 않는다.
대상자는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 내용을 잘 이행한다.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항상 침대 Side rail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침대의 난간을 통해서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한다.
(침대의 바퀴를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약한 밀침, 충격으로 쉽게 밀려날 수 있음을 방지한다.)
-간호사 호출기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위급상황에서 호출기를 통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환자에게 필요한 도구는 팔이 닿는 가까운 곳에 두고 환자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기계는 가까이 두지 않는다.
(안전한 환경은 낙상위험성을 감소시킨다.)
-환자에게 필요한 경우 안경, 신발을 사용하도록 한다.
(안경과 신발을 사용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침상 밖의 물건을 잡기위해 무리하게 침대 밖으로 몸을 내밀거나 숙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침상에서 무리하게 몸을 내밀게 되면 낙상을 할 위험성이 증가한다.)
-정상적인 배뇨 및 배변을 유지하는지 사정하고, 긴급뇨 및 요실금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대상자의 배변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한다.
(어지러움이나 울렁거림의 부작용이 있는 약물은 낙상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한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와 환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간호수행
-항상 침대 Side rail을 올리도록 교육하였다. (by RN)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한다. (by RN)
-간호사 호출기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환자에게 필요한 도구는 팔이 닿는 가까운 곳에 두고 환자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기계는 가까이 두지 않았다. (by RN)
-환자에게 필요한 경우 안경, 신발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by RN)
-침상 밖의 물건을 잡기위해 무리하게 침대 밖으로 몸을 내밀거나 숙이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by RN)
-정상적인 배뇨 및 배변을 유지하는지 사정하였다. (by RN)
(대상자에게 소변량이 얼마나 나오는지 기록해 달라고 하였으며 주기적으로 배변 양 상을 사정하였다.)
날짜
섭취량/배설량
총량
Stool
12/4
2500/3070
-570
0
12/5
2800/2690
+110
0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하였다. (by RN)
(대상자가 “울렁거려요”라고 호소하여 PCA를 hold 하였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설치하였다. (by RN)
간호평가
-12/5일부터 대상자는 천천히 병동을 걸어 다녔으며 이동시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 고 비틀거리지 않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누워있을 때 항상 침대의 Side rail을 올리고 있었으며 울렁거리는 증상이 생겼을 때 바로 간호사에게 알림으로써 낙상을 예방하는 등 교육내용을 잘 이행하였다. (목표달성)
위와 같은 결과들과 실제로 대상자가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으므로 목표달성이라고 평가하였다.
7. 퇴원개요
1) 미해결된 간호진단
-없음
2) 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식
- 퇴원일: 2019.12.07 - 재원일: 5일
- 합병증: 없음 - 입원 후 특이사항: 없음
- 치료결과: 양호 - 퇴원 후 치료 계획: 외래 통원 치료
- 퇴원 형태: 지시 퇴원 - 퇴원 시 이동수단 및 거주 장소: 자가용, 자택
- 퇴원 후 보호자 거주 유무: 유 - 퇴원 후 간호 제공자 유무: 유
- 퇴원 시 교육 대상: 환자, 보호자 - 퇴원 후 보조기구, 장비 요구: 무
퇴원교육
- 장기간 앉아 있는 것을 피하며 수술 후 4주간은 정구, 조깅, 에어로빅 같은 격렬한 운동 과 청소, 빨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일 등은 금하고, 그 후부터는 서서히 신체적 활동과 운동을 증가시킨다.
- 빠른 치유와 조직 회복을 위해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음식을 취하도 록 한다.
-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는다.
- 식욕촉진 위해 산책이나 수영 등 규칙적인 운동을 권장한다.
- 변비는 식욕을 저하시키고 배변 시 불편감이 가중되므로 미리 예방한다.
- 충분한 수분 섭취와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먹고 규칙적인 배변습관, 적당한 운동 등 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 샤워는 퇴원 후 가능 하며 통목욕은 어지럼증이나 수술부위의 긴장감을 줄 수 있기 때 문에 4주까지는 금하도록 한다.
- 원인 불명의 질 출혈이 있을 경우 반드시 병원을 방문 한다.
퇴원약
Motilitone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Brufen 200mg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Ceftil 250mg 250MG BP 3회 7일 (아침, 저녁 식후 30분)
4) 참고문헌
-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7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