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례 연구 요약
1) 일반적 정보
2) 치료적 과정
3) 건강상태
4) 간호사정
5) 간호관리
2.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1) GDM
2) CPD C/S
3.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 과정
4. 참고 문헌
1) 일반적 정보
2) 치료적 과정
3) 건강상태
4) 간호사정
5) 간호관리
2.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1) GDM
2) CPD C/S
3.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 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완요법은 통증이 경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통증 부위를 사정하였으며(제왕절개 수술부위), NRS척도로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사정시 3점이라고 대답하였으며, 콕콕 쑤시는 양상이며 30분 가량 지속된다고 대답하였음. -by.RN, SN
2. 대상자에게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통증을 지지해주고 공감해 주었음. -by.RN, SN
3. 대상자에게 PCA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필요시 사용하도록 하였음. -by.RN
4. 대상자에게 하루 3번 진통제를 구강으로 투여함 (이부프로펜) -by.RN
5. 대상자에게 복대를 착용하도록 교육하고 실행하도록 격려 하였음. -by.RN, SN
6. 대상자에게 통증이 심할 때 심호흡을 하고 체위를 변경하도록 격려하였음. -by.RN, SN
평가
(Evaluation)
1. 대상자는 자신의 통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필요시 진통제를 투약받았음 -(목표 달성)
2. 대상자는 PCA사용법을 알고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제거하여 구강으로 이부프로펜을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하고 있음-(목표 달성)
3. 대상자는 통증이 NRS척도상 0-3점 사이를 유지한다고 하였음- (목표 미달성)
4. 대상자는 비 약물적인 요법을 통하여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하였음 (목표 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data: “아기 낳으면 체중이 바로 빠지나요?”, “모유수유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산후에 생기는 신체적인 변화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O data:
대상자는 임신 후 체중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체중관리에 대한 걱정을 표했으나 불안의 정도가 높지는 않음.
대상자는 모유수유에 관하여 궁금한 것이 많으며, 모유수유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였음. 대상자는 유방마사지에 대한 정보를 요구함. 대상자는 산욕기가 무엇인지 물었으며, 주의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간호사에게 정보를 요구하였음.
간호진단
(Nursing goals)
산후의 생리적 상태 및 산후관리에 대한 관심 또는 정보요구와 관련된 지식향상을 위한 준비
간호목표
1. 대상자는 간호사의 교육을 통하여 산욕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습득한 지식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간호사의 모유수유 교육을 통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정확한 모유수유를 진행 할 수있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대상자에게 산욕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진행하여, 대상자가 산욕기에 대한 이해를 할 수있도록 하며,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가관리를 이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산욕기는 분만 후 6-8주 까지이며, 임신 후 달라진 생리적인 신체 상태를 임신전으로 되돌리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산모에게 산욕기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제대로된 자가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대상자에게 모유수유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유방마사지 방법과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을 교육하여 적절한 모유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모유수유의 이점을 알고, 정확한 방법으로 모유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후에 잘못된 모유수유로 인한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에게 산욕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산욕기란 출산 후 6-8주이며, 임신 전의 신체상태로 돌아가는 기간이라고 설명하였으며, 체중은 서서히 감소되며, 산욕기에 무리한 다이어트는 지양하였음. 오로는 점차 줄어들어 갈색오로에서 백색오로로 변하고 양도 줄어든다는 것을 설명하였음. 출산 후 약 1주까지는 손으로 복부를 촉지하였을 때 딱딱한 자궁이 만져지며, 2주후에는 복부에서 촉진이 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한다는 것을 설명하였음. 모유 수유를 하게 되면 월경은 하지 않으나, 배란은 진행되어 임신이 가능함을 설명하였음. 또한 병원에 와야 할 이상증상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평소 자신의 월경 2번째 날과 비교하여 2번째 날보다 많은 양의 오로를 한 번에 하혈하거나, 덩어리진 오로가 나왔을 때, 유방이 돌처럼 딱딱하게 굳었을 때, 38도이상의 고열이 지속될 때 병원을 방문하여야 함을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궁금한 것을 질문하도록 하였음.-by.RN
2. 대상자에게 모유수유의 장점(1.모아 애착의 증진, 2.모유에 들어있는 천연 면역글로불린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유방마사지 방법 (자가로 시행할 수 있는 유방마사지의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 마사지의 이름은 유방 기저부 마사지라고 하여, 유선을 자극하여 모유의 양이 늘어나는 마사지이며 두 번째 마사지의 이름은 유두 유륜마사지이며 이 마사지는 유두를 앞으로 빼내어 원활한 모유수유가 진행될수 있도록 하는 마사지이다.)과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아기가 유두의 겉을 무는 것이 아니라 유륜의 2/3이상을 물고 20분이상 충분히 수유하는 것이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이다.)을 교육하였음 -by.RN
평가
(Evaluation)
1. 대상자는 산욕기에 대한 교육을 듣고 궁금점에 대해 묻자 땀이 많이 나는 이유, 발의 부종에 대한 궁금증을 표현하였으며, 땀이 나는 것과 발의 부종은 임신 중 체액 증가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임을 설명하였으며, 산욕기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대답하였음 -(목표 달성)
2.대상자는 모유수유의 방법과 장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유방마사지 방법을 교육하고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대상자는 모유수유 후 남은 모유는 유축 하였고, 수유 후 유방울혈이나 통증은 없다고 하였음 -(목표 달성)
○ 퇴원 개요
1. 미해결된 간호진단
-제왕절개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시
-퇴원 후 실밥제거 후 투명 밴드를 붙이고 샤워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으며, 소독과 흉터연고를 처방받아 적용할 것을 교육하였음.
-퇴원 3주후가 병원 내원일임을 알리고, 진료예약을 시행함.
-퇴원 후 오로의 양이 갑자기 늘거나, 덩어리진 오로가 나왔을 때 에는 바로 병원으로 내원할 것을 교육하였음.
4)참고문헌
- 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외 공저 p107-117/ p183-189
-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아두골반불균형
- 약학정보원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통증 부위를 사정하였으며(제왕절개 수술부위), NRS척도로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사정시 3점이라고 대답하였으며, 콕콕 쑤시는 양상이며 30분 가량 지속된다고 대답하였음. -by.RN, SN
2. 대상자에게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통증을 지지해주고 공감해 주었음. -by.RN, SN
3. 대상자에게 PCA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필요시 사용하도록 하였음. -by.RN
4. 대상자에게 하루 3번 진통제를 구강으로 투여함 (이부프로펜) -by.RN
5. 대상자에게 복대를 착용하도록 교육하고 실행하도록 격려 하였음. -by.RN, SN
6. 대상자에게 통증이 심할 때 심호흡을 하고 체위를 변경하도록 격려하였음. -by.RN, SN
평가
(Evaluation)
1. 대상자는 자신의 통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필요시 진통제를 투약받았음 -(목표 달성)
2. 대상자는 PCA사용법을 알고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제거하여 구강으로 이부프로펜을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하고 있음-(목표 달성)
3. 대상자는 통증이 NRS척도상 0-3점 사이를 유지한다고 하였음- (목표 미달성)
4. 대상자는 비 약물적인 요법을 통하여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하였음 (목표 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data: “아기 낳으면 체중이 바로 빠지나요?”, “모유수유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산후에 생기는 신체적인 변화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O data:
대상자는 임신 후 체중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체중관리에 대한 걱정을 표했으나 불안의 정도가 높지는 않음.
대상자는 모유수유에 관하여 궁금한 것이 많으며, 모유수유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였음. 대상자는 유방마사지에 대한 정보를 요구함. 대상자는 산욕기가 무엇인지 물었으며, 주의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간호사에게 정보를 요구하였음.
간호진단
(Nursing goals)
산후의 생리적 상태 및 산후관리에 대한 관심 또는 정보요구와 관련된 지식향상을 위한 준비
간호목표
1. 대상자는 간호사의 교육을 통하여 산욕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습득한 지식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간호사의 모유수유 교육을 통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정확한 모유수유를 진행 할 수있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대상자에게 산욕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진행하여, 대상자가 산욕기에 대한 이해를 할 수있도록 하며,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가관리를 이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산욕기는 분만 후 6-8주 까지이며, 임신 후 달라진 생리적인 신체 상태를 임신전으로 되돌리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산모에게 산욕기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제대로된 자가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대상자에게 모유수유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유방마사지 방법과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을 교육하여 적절한 모유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모유수유의 이점을 알고, 정확한 방법으로 모유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후에 잘못된 모유수유로 인한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에게 산욕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산욕기란 출산 후 6-8주이며, 임신 전의 신체상태로 돌아가는 기간이라고 설명하였으며, 체중은 서서히 감소되며, 산욕기에 무리한 다이어트는 지양하였음. 오로는 점차 줄어들어 갈색오로에서 백색오로로 변하고 양도 줄어든다는 것을 설명하였음. 출산 후 약 1주까지는 손으로 복부를 촉지하였을 때 딱딱한 자궁이 만져지며, 2주후에는 복부에서 촉진이 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한다는 것을 설명하였음. 모유 수유를 하게 되면 월경은 하지 않으나, 배란은 진행되어 임신이 가능함을 설명하였음. 또한 병원에 와야 할 이상증상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평소 자신의 월경 2번째 날과 비교하여 2번째 날보다 많은 양의 오로를 한 번에 하혈하거나, 덩어리진 오로가 나왔을 때, 유방이 돌처럼 딱딱하게 굳었을 때, 38도이상의 고열이 지속될 때 병원을 방문하여야 함을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궁금한 것을 질문하도록 하였음.-by.RN
2. 대상자에게 모유수유의 장점(1.모아 애착의 증진, 2.모유에 들어있는 천연 면역글로불린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유방마사지 방법 (자가로 시행할 수 있는 유방마사지의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 마사지의 이름은 유방 기저부 마사지라고 하여, 유선을 자극하여 모유의 양이 늘어나는 마사지이며 두 번째 마사지의 이름은 유두 유륜마사지이며 이 마사지는 유두를 앞으로 빼내어 원활한 모유수유가 진행될수 있도록 하는 마사지이다.)과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아기가 유두의 겉을 무는 것이 아니라 유륜의 2/3이상을 물고 20분이상 충분히 수유하는 것이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이다.)을 교육하였음 -by.RN
평가
(Evaluation)
1. 대상자는 산욕기에 대한 교육을 듣고 궁금점에 대해 묻자 땀이 많이 나는 이유, 발의 부종에 대한 궁금증을 표현하였으며, 땀이 나는 것과 발의 부종은 임신 중 체액 증가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임을 설명하였으며, 산욕기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대답하였음 -(목표 달성)
2.대상자는 모유수유의 방법과 장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유방마사지 방법을 교육하고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대상자는 모유수유 후 남은 모유는 유축 하였고, 수유 후 유방울혈이나 통증은 없다고 하였음 -(목표 달성)
○ 퇴원 개요
1. 미해결된 간호진단
-제왕절개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시
-퇴원 후 실밥제거 후 투명 밴드를 붙이고 샤워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으며, 소독과 흉터연고를 처방받아 적용할 것을 교육하였음.
-퇴원 3주후가 병원 내원일임을 알리고, 진료예약을 시행함.
-퇴원 후 오로의 양이 갑자기 늘거나, 덩어리진 오로가 나왔을 때 에는 바로 병원으로 내원할 것을 교육하였음.
4)참고문헌
- 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외 공저 p107-117/ p183-189
-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아두골반불균형
- 약학정보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