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 척수손상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 척수손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손상기전
Ⅱ. 손상의 범위
Ⅲ. 증상
Ⅳ. 진단검사
Ⅴ. 치료와 간호
Ⅵ. 일반적 간호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경의 손상과 늑간근과 복근의 마비로 인해 특히 호흡기계 합병증과 폐색전의 위험이 크다. 호흡과 환기상태가 적절한지 사정하고 호흡 속도, 깊이, 리듬을 관찰하며 1회 호흡용적과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호흡을 위해 산소를 공급하고 손상 정도에 따라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시행하며, 필요하다면 인공호흡기를 적용한다.
- 합병증 예방과 자가간호증진
- 폐색전이나 심부정맥혈전증, 욕창, 관절구축 등을 예방하기 위해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매일 2회 정도 피부 압박부위를 관찰하고 발적부위는 변화상태를 모니터링한다.
- 배뇨증진
① 도뇨관 십입 : 요정체는 급성 척수손상과 척수 쇼크 시에 나타난다. 도뇨관 삽입으로 인해 비뇨기 감염은 매우 흔하게 발생한다.
② 간헐적 도뇨 : 의학적 상태가 안정되면 유치도뇨관을 즉시 제거하고 처방에 따라 4시간마다 간헐적인 도뇨를 해준다.
- 배변훈련
① 규칙적인 배변 습관 ② 매일 적어도 2000CC 이상의 수분섭취 ③ 고섬유 식이섭취 ④좌약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직장자극법 사용
- 자율신경 기능회복
고혈압, 뇌압 상승, 두통, 서맥, 홍조, 발한 등이 나타나면 혈압을 낮추기 위해 대상자의 머리를 높이고, catheter가 막혔는지, 분변매복이 있는지 사정한다. 방광훈련을 하거나 배뇨를 삽입한 대상자가 갑자기 두통을 호소하면 신속하게 catheter를 교환하고, 필요하면 혈압하강제인 hydralazine을 투여한다.
- 상처감염 예방
머리에 고정된 핀 부위는 근무교대 시마다 관찰하고, 삼출물은 과산화수소와 생리식염수로 깨끗이 닦아준다.
- 위장관 운동 기능회복
T6 이상 손상의 경우 위장관 운동 감소로 마비성장폐색과 위팽만이 발생할 수 있다. 장음이 회복될 때 까지 금식하고, 비위관으로 흡인, 직장관을 사용하여 복부팽만을 완화한다.
- 적정체온 유지
척수손상대상자의 경우 시상하부에서 말초의 온도감각을 인식하는 교감신경의 손상으로 손상부휘 이하의 발한 또는 오한 능력이 감소되어 체온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회 심리적 적응증진
대상자의 지지체계를 사정하고 수면장애를 예방하며, 과잉 감각자극을 피하고, 대상자의 이야기를 들어주거나 곁에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대상자가 폭발적으로 화를 내는 등의 행동은 일종의 대응 방법으로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는 것임을 가족에게 설명하여 이해하게 한다.
Ⅶ 참고문헌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6년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