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사례환자의 질병 조사 결과 기술
4. 신체검진
5. 기능사정
6.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7. 약물
8. 특수치료 및 처치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2. 병력
3. 질병기술사례환자의 질병 조사 결과 기술
4. 신체검진
5. 기능사정
6.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7. 약물
8. 특수치료 및 처치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며 매일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by_RN,SN
드레싱상태를 확인하여 대상포진의 크기를 사정하고 간호한다.
6. 대상자에게 활동을 격려한다.
- 대상자에게 날씨가 좋으니 밖으로 나가자고 격려하였지만 고래를 저으며 싫다는 표현을 하였다. by_SN
장기간의 부동은 욕창발생의 첫 번째 요인이다.
평가
1. 6/16까지 대상자의 대상포진 사이즈가 6/13의 크기(2cmX2xm)보다 줄어든다.
: 대상자의 대상포진 사이즈가 1.5cmX1.5cm 이하로 줄어들었다. (6/16) ☞ 목표달성
2. 대상자는 6/16까지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 대상자는 6/16까지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 목표달성
날짜
2016. 06. 07 ~ 2016. 06. 16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왼쪽다리를 가리키며) 여기가 아파...“
- “(왼쪽 손 가리키며) 못 움직여...“
- 93년 Rt. MCA(뇌졸중) infarction으로 인한 left side weakness
- 왼쪽 다리통증 호소 (2016. 06. 08)
- Rt. ear 노인성 난청으로 인해 잘 들리지 않음.
- 보청기 없음
- 근력 : 상지 Rt/Lt 50 / 0 %, 하지 Rt/Lt 25 / 0 %
- 근긴장도 : 왼쪽 사지 Rigidity
- 근육크기 : 왼쪽 사지 Atrophy
- 비정상 운동반응 : 왼쪽 사지 Flexion(Decorticate) (제피질경직)
- 기 동 력 : □ 독립 ■ 의존 : 의존정도 □ Ⅰ □ Ⅱ □ Ⅲ ■ Ⅳ
- 일상활동 : □ 독립 ■ 의존 : 의존정도 □ Ⅰ □ Ⅱ □ Ⅲ ■ Ⅳ
- 낙상위험도 _ ooo병원 scale (2016. 06. 13) : 13점
: 고위험군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관찰과 예방이 필요하다.
- 요의와 변의 없음.
- ADL 10점으로 움직임에 전적인 도움이 필요함 (p.8 참조)
: 옷 벗고 입기 상당한 도움
: 세수하기 상당한 도움
: 양치질 상당한 도움
: 목욕 전적인 도움
: 식사하기 상당한 도움
: 체위 변경 전적인 도움
: 일어나 앉기 전적인 도움
: 옮겨 앉기 전적인 도움
: 방 밖으로 나오기 전적인 도움
: 화장실 사용 전적인 도움
- 침대 밖 이동시 두명이상의 보조원이 필요하며 휠체어를 이용함.
16‘
3/10
3/25
5/2
5/20
5/31
정상치
단위
RBC
3.91▼
3.7▼
3.88▼
3.35▼
3.8▼
4.0-5.4
10^6/㎕
- RBC ▼ : 빈혈 위험성
진단
감각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목표
1. 대상자는 6월 16일 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6월 16일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는다.
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감각기능을 사정한다.
- 대상자 근력사정 결과
: 상지 Rt/Lt 50/ 0%, 하지 Rt/Lt 25/0%
- 대상자의 주먹진 왼쪽 손을 펴보려고 했으나 잘 펴지지 않았다.
- 대상자의 왼쪽에서 말을 할 때보다 오른쪽에서 말을 할 때 반응이 더 느리고 잘 듣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ex. “응? 뭐라고?”) by_SN
대상자의 감각기능을 사정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2. 대상자 주변의 손상위험 요인들을 사정하고
제거한다.
- 침상 난간 상태를 매일 확인하였고 간병인에게 난간을 항상 올려놓도록 교육하였다. by_RN,SN
-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져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by_SN
- 침대 옆 탁상 모서리에 머리를 박아도 다치지 않도록 부드러운 것(테이프 감아놓기)을 덧대 어 놓도록 간병인에게 말하였다. by_SN
대상자 주변의 손상위험 요인들을 제거해주는 것만으로도 대상자의 신체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3. 대상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이 있을 시 보조기구를 적용하도록 한다.
- 간병인에게 대상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시킬 시 두명 이상의 보조원이 옮기도록 설명 하였다. by_RN,SN
- 대상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길 때 dangling을 하고 옮길 수 있도록 간병인을 교육하였다. by_SN
대상자가 혼자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인력과 보조기구의 도움이 필요하다.
4.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상주하도록 한다.
- 보호자가 항상 있을 수 없어 간병인에게
지속적인 관찰과 관심을 주도록 설명하였다. by_RN,SN
- 간병인이 대상자를 잘 관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by_SN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상주함으로서 대상자의 1차적 신체손상을 막고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5. 대상자 근처에 의료인을 부를 신속한 대처 방법이 있는지 확인한다.
- 응급호출기가 주변에 있는지 확인하였고
급한 일이 있을 시 누르면 된다는 것을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고개를 끄덕였다. by_RN,SN
대상자에게 신세손상에 관한 급한 일이 있을 때 의료진에게 바로 연락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것은 대상자의 안전에 매우 중요하다.
6.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다.
- 침대 난간에 기대지 않도록 설명한다.
- 침대 난간을 내려놓지 않도록 설명한다.
-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대상자 가까이 두도록 한다.
- 대상자 침대 주변에 물기가 없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 침대 옆 탁상에 낙상주의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by_RN,SN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가능성을 인식시켜주고 주의하도록 교육시켜 대상자의 신체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1. 대상자는 6월 16일 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6월 16일 오전 11시까지 낙상하지 않았다. ☞ 목표달성
2. 대상자는 6월 16일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는다.
: 대상자는 6월 16일 오전 11시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았다. ☞ 목표달성
3) 감각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10. 참고문헌
문헌고찰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약물 :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
송미순 외 (2014), 노인간호학, JMK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드레싱상태를 확인하여 대상포진의 크기를 사정하고 간호한다.
6. 대상자에게 활동을 격려한다.
- 대상자에게 날씨가 좋으니 밖으로 나가자고 격려하였지만 고래를 저으며 싫다는 표현을 하였다. by_SN
장기간의 부동은 욕창발생의 첫 번째 요인이다.
평가
1. 6/16까지 대상자의 대상포진 사이즈가 6/13의 크기(2cmX2xm)보다 줄어든다.
: 대상자의 대상포진 사이즈가 1.5cmX1.5cm 이하로 줄어들었다. (6/16) ☞ 목표달성
2. 대상자는 6/16까지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 대상자는 6/16까지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 목표달성
날짜
2016. 06. 07 ~ 2016. 06. 16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왼쪽다리를 가리키며) 여기가 아파...“
- “(왼쪽 손 가리키며) 못 움직여...“
- 93년 Rt. MCA(뇌졸중) infarction으로 인한 left side weakness
- 왼쪽 다리통증 호소 (2016. 06. 08)
- Rt. ear 노인성 난청으로 인해 잘 들리지 않음.
- 보청기 없음
- 근력 : 상지 Rt/Lt 50 / 0 %, 하지 Rt/Lt 25 / 0 %
- 근긴장도 : 왼쪽 사지 Rigidity
- 근육크기 : 왼쪽 사지 Atrophy
- 비정상 운동반응 : 왼쪽 사지 Flexion(Decorticate) (제피질경직)
- 기 동 력 : □ 독립 ■ 의존 : 의존정도 □ Ⅰ □ Ⅱ □ Ⅲ ■ Ⅳ
- 일상활동 : □ 독립 ■ 의존 : 의존정도 □ Ⅰ □ Ⅱ □ Ⅲ ■ Ⅳ
- 낙상위험도 _ ooo병원 scale (2016. 06. 13) : 13점
: 고위험군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관찰과 예방이 필요하다.
- 요의와 변의 없음.
- ADL 10점으로 움직임에 전적인 도움이 필요함 (p.8 참조)
: 옷 벗고 입기 상당한 도움
: 세수하기 상당한 도움
: 양치질 상당한 도움
: 목욕 전적인 도움
: 식사하기 상당한 도움
: 체위 변경 전적인 도움
: 일어나 앉기 전적인 도움
: 옮겨 앉기 전적인 도움
: 방 밖으로 나오기 전적인 도움
: 화장실 사용 전적인 도움
- 침대 밖 이동시 두명이상의 보조원이 필요하며 휠체어를 이용함.
16‘
3/10
3/25
5/2
5/20
5/31
정상치
단위
RBC
3.91▼
3.7▼
3.88▼
3.35▼
3.8▼
4.0-5.4
10^6/㎕
- RBC ▼ : 빈혈 위험성
진단
감각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목표
1. 대상자는 6월 16일 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6월 16일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는다.
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감각기능을 사정한다.
- 대상자 근력사정 결과
: 상지 Rt/Lt 50/ 0%, 하지 Rt/Lt 25/0%
- 대상자의 주먹진 왼쪽 손을 펴보려고 했으나 잘 펴지지 않았다.
- 대상자의 왼쪽에서 말을 할 때보다 오른쪽에서 말을 할 때 반응이 더 느리고 잘 듣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ex. “응? 뭐라고?”) by_SN
대상자의 감각기능을 사정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2. 대상자 주변의 손상위험 요인들을 사정하고
제거한다.
- 침상 난간 상태를 매일 확인하였고 간병인에게 난간을 항상 올려놓도록 교육하였다. by_RN,SN
-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져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by_SN
- 침대 옆 탁상 모서리에 머리를 박아도 다치지 않도록 부드러운 것(테이프 감아놓기)을 덧대 어 놓도록 간병인에게 말하였다. by_SN
대상자 주변의 손상위험 요인들을 제거해주는 것만으로도 대상자의 신체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3. 대상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이 있을 시 보조기구를 적용하도록 한다.
- 간병인에게 대상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시킬 시 두명 이상의 보조원이 옮기도록 설명 하였다. by_RN,SN
- 대상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길 때 dangling을 하고 옮길 수 있도록 간병인을 교육하였다. by_SN
대상자가 혼자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인력과 보조기구의 도움이 필요하다.
4.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상주하도록 한다.
- 보호자가 항상 있을 수 없어 간병인에게
지속적인 관찰과 관심을 주도록 설명하였다. by_RN,SN
- 간병인이 대상자를 잘 관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by_SN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상주함으로서 대상자의 1차적 신체손상을 막고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5. 대상자 근처에 의료인을 부를 신속한 대처 방법이 있는지 확인한다.
- 응급호출기가 주변에 있는지 확인하였고
급한 일이 있을 시 누르면 된다는 것을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고개를 끄덕였다. by_RN,SN
대상자에게 신세손상에 관한 급한 일이 있을 때 의료진에게 바로 연락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것은 대상자의 안전에 매우 중요하다.
6.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다.
- 침대 난간에 기대지 않도록 설명한다.
- 침대 난간을 내려놓지 않도록 설명한다.
-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대상자 가까이 두도록 한다.
- 대상자 침대 주변에 물기가 없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 침대 옆 탁상에 낙상주의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by_RN,SN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가능성을 인식시켜주고 주의하도록 교육시켜 대상자의 신체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1. 대상자는 6월 16일 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6월 16일 오전 11시까지 낙상하지 않았다. ☞ 목표달성
2. 대상자는 6월 16일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는다.
: 대상자는 6월 16일 오전 11시까지 감각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았다. ☞ 목표달성
3) 감각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10. 참고문헌
문헌고찰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약물 :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
송미순 외 (2014), 노인간호학, JMK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추천자료
뇌경색에대한 사례연구
정신분열병 케이스스터디
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간호학]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간호학] 당뇨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한방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두개내출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