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연 구 목 적
2. 선 행 연 구
1) RPG와 현대사회
2) 인식심리학에서 바라본 게임의 득과 실
3. 가 설 설 정
4. 심 리 학 적 게 임 중 독 분 석
1) 슐러(Suler)의 욕구실현이론
2) 프로이드의 이드-자아-초자아이론
5. 결론
1. 연 구 목 적
2. 선 행 연 구
1) RPG와 현대사회
2) 인식심리학에서 바라본 게임의 득과 실
3. 가 설 설 정
4. 심 리 학 적 게 임 중 독 분 석
1) 슐러(Suler)의 욕구실현이론
2) 프로이드의 이드-자아-초자아이론
5. 결론
본문내용
족시켜주는데 실패하고 있고 이러한 실제 현실에서의 좌절이 인터넷을 통한 허위-자기실현(pseudo-self-actualization)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였다. 슐러는 자기실현의 좌절을 겪는 사람들이 곧 인터넷 게임중독에 잘 빠지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2) 프로이드의 이드-자아-초자아이론
프로이드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이드(본능),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였다.
이드(본능)는 항상 즉각적인 만족과 쾌락을 추구하는 쾌락원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한다. 이러한 인간의 본능 속에는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들이 있는데 예 컨데 식욕, 갈증, 안전한 장소를 찾는 것, 성적인 욕구 그리고 자신의 의식과 기분을 새롭게 변화시키려 하는 욕구 등이 있다. 항상 바쁘고 변화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대부분 무료함을 잘 견디지 못한다. 뭔가 신선하고 약간은 충격적인 일들, 기분의 변화나 즐거움을 주는 특별한 일거리들을 찾아 나서게 된다.
다양한 음식점을 찾아다니며 음식 맛을 즐긴다거나, 음악 감상이나 영화 보는 것, 스포츠에 열광하는 것, 섹스에 심취하는 것, 채팅이나, 컴퓨터 게임에 몰두하는 것, 술이나 약물, 도박에 빠지는 것 등, 이 모두는 쾌락(Pleasure)을 추구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쾌락만을 추구하게 되면 자아, 초자아의 기능이 망가져 사람이 너무 쾌락원칙에 지배되는 삶만을 살게 되면 합리적이며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으면서 다양한 자극 속에서 현실감각을 잃지 않게 하는 자아(ego)기능이 손상된다.
또한 양심과 윤리의식, 자아이상과 자기실현 기능을 담당하는 초자아의 기능도 망가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무엇인가에 중독되어 버린 사람은 정신병처럼 현실감이 떨어져서 비현실 세계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점차 중독이 진행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잃어버리고, 양심과 도덕 그리고 윤리의식이 약해져 무책임해지고 무절제한 삶만을 반복하게 된다.
4. 결론
사이버 공간은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사이버상의 여가활동이 주는 심리적인 특징을 요약하면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자신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둘째, 또 다른 나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쉽게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일상에서 탈출 할 수 있다.
다섯째, 행동에 따른 피드백이 매우 빠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사이버 공간에 빠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들이 여가활동을 하게 되는 심리적인 특징을, 특히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몰입하게 되는 이유를 제시한 Suler에 따르면 청소년기에는‘나는 누구인가?’하는 정체감을 형성하는 시기이므로 자신에 대한 정체감을 사이버 공간에서 실험하고 탐색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현실에서 만나는 사람들보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한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므로 심리적인 부담감을 갖지 않고도 친밀감과 소속감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즉 자신의 실제 이름을 밝히고 모습을 보여주지 않더라도 부담 없이 많은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 나누고 공감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독립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므로 가족으로부터 특히 부모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성인과 같은 대접을 받기를 원하지만,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인 이유로 완전한 독립은 불가능하지만, 사이버 세상에서는 모험심과 개척정신을 발휘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자극이 있기 때문에 더욱 청소년들을 매료시키게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즉, 집을 떠나지 않고서도 자신의 독립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이버 상에서 게임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고수가 되어보는 경험은 즐거운 일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2) 프로이드의 이드-자아-초자아이론
프로이드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이드(본능),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였다.
이드(본능)는 항상 즉각적인 만족과 쾌락을 추구하는 쾌락원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한다. 이러한 인간의 본능 속에는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들이 있는데 예 컨데 식욕, 갈증, 안전한 장소를 찾는 것, 성적인 욕구 그리고 자신의 의식과 기분을 새롭게 변화시키려 하는 욕구 등이 있다. 항상 바쁘고 변화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대부분 무료함을 잘 견디지 못한다. 뭔가 신선하고 약간은 충격적인 일들, 기분의 변화나 즐거움을 주는 특별한 일거리들을 찾아 나서게 된다.
다양한 음식점을 찾아다니며 음식 맛을 즐긴다거나, 음악 감상이나 영화 보는 것, 스포츠에 열광하는 것, 섹스에 심취하는 것, 채팅이나, 컴퓨터 게임에 몰두하는 것, 술이나 약물, 도박에 빠지는 것 등, 이 모두는 쾌락(Pleasure)을 추구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쾌락만을 추구하게 되면 자아, 초자아의 기능이 망가져 사람이 너무 쾌락원칙에 지배되는 삶만을 살게 되면 합리적이며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으면서 다양한 자극 속에서 현실감각을 잃지 않게 하는 자아(ego)기능이 손상된다.
또한 양심과 윤리의식, 자아이상과 자기실현 기능을 담당하는 초자아의 기능도 망가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무엇인가에 중독되어 버린 사람은 정신병처럼 현실감이 떨어져서 비현실 세계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점차 중독이 진행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잃어버리고, 양심과 도덕 그리고 윤리의식이 약해져 무책임해지고 무절제한 삶만을 반복하게 된다.
4. 결론
사이버 공간은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사이버상의 여가활동이 주는 심리적인 특징을 요약하면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자신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둘째, 또 다른 나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쉽게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일상에서 탈출 할 수 있다.
다섯째, 행동에 따른 피드백이 매우 빠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사이버 공간에 빠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들이 여가활동을 하게 되는 심리적인 특징을, 특히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몰입하게 되는 이유를 제시한 Suler에 따르면 청소년기에는‘나는 누구인가?’하는 정체감을 형성하는 시기이므로 자신에 대한 정체감을 사이버 공간에서 실험하고 탐색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현실에서 만나는 사람들보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한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므로 심리적인 부담감을 갖지 않고도 친밀감과 소속감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즉 자신의 실제 이름을 밝히고 모습을 보여주지 않더라도 부담 없이 많은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 나누고 공감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독립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므로 가족으로부터 특히 부모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성인과 같은 대접을 받기를 원하지만,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인 이유로 완전한 독립은 불가능하지만, 사이버 세상에서는 모험심과 개척정신을 발휘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자극이 있기 때문에 더욱 청소년들을 매료시키게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즉, 집을 떠나지 않고서도 자신의 독립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이버 상에서 게임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고수가 되어보는 경험은 즐거운 일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추천자료
사이버공간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영어펜팔]영어펜팔(penpal)의 등장배경, 영어펜팔(penpal)의 준비와 영어펜팔(penpal)의 효...
소시오드라마(사회극, 사회극놀이)의 정의와 기원, 소시오드라마(사회극, 사회극놀이)의 필요...
[커뮤니케이션][설득][이미지][가족][변화][정치][기업][인터넷]설득커뮤니케이션, 이미지커...
유아 미술교육의 목적, 유아 미술교육의 필요성, 유아 미술교육의 효과, 유아 미술교육의 지...
SNS와 국제커뮤니케이션 : SOCIAL NETWORKING SERVIC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NS유형...
가족문제 유형별 상담지침(비행청소년가족 가족상담) 보고서
가족문제유형별 상담지침(비행청소년 가족상담)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와 심리학> 소셜 미디어의 정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본 심리(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