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4p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6p
1. 대학생의 수입원과 저축현황
2. 저축이 필요한 이유
Ⅲ. 연구가설과 연구모형․․․․․․․․ 7p
1. 연구가설
2. 연구모형
Ⅳ.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10p
1. 조사대상과 자료수집 방법
2.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및 결과해석․․․․․․․ 12p
Ⅵ. 가설 검증과 결론․․․․․․․․․ 14p
참고문헌
Ⅰ. 서론․․․․․․․․․․․․․․․․4p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6p
1. 대학생의 수입원과 저축현황
2. 저축이 필요한 이유
Ⅲ. 연구가설과 연구모형․․․․․․․․ 7p
1. 연구가설
2. 연구모형
Ⅳ.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10p
1. 조사대상과 자료수집 방법
2.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및 결과해석․․․․․․․ 12p
Ⅵ. 가설 검증과 결론․․․․․․․․․ 14p
참고문헌
본문내용
,ab,b = Duncan test 결과
학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분석해보면 소비계획과 저축의 필요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출내역기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내역기록에서는 2학년 (M=1.83)이 가장 높았고 4학년 (M=1)이 가장 낮았으며, 소비계획은 2학년 (M=1.78)이 가장 높고 4학년 (M=1.7)이 가장 낮았고, 저축필요는 3학년 (M=1.43)이 가장 높았으며 1학년 (M=1.29)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3> 수입원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
용돈
용돈+아르바이트
아르바이트
F
지출내역기록
1.79/0.412
1.64/0.497
1.43/0.535
1.972
소비계획
1.9b/0.31
1.64b/0.497
1a/0
18.294***
저축필요성
1.41a/0.501
1.29ab/0.469
1a/0
2.348
*** : p<.001 a,ab,b = Duncan test 결과
수입원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필요성을 살펴보면 지출내역기록과 저축의 필요성 항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소비계획 항목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내역기록은 용돈 (M=1.79)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43)이 가장 낮았으며, 소비계획은 용돈 (M=1.9)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이 가장 낮았고, 저축 필요성은 용돈 (M=1.41) 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필요성의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표3>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필요 성향
지출내역기록
성별
평균
N
T값
남
1.74(0.445)
31
0.815
여
1.63(0.496)
19
소비계획
평균
N
T값
남
1.68(0.475)
31
-0.437
여
1.74(0.452)
19
저축필요성
평균
N
T값
남
1.35(0.486)
31
0.664
여
1.26(0.452)
19
성별에 따른 내역기록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본 결과 (p값이 .419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소비계획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본 결과 (p값이 .664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에 따른 저축필요성을 T-test로 비교해본 결과 (p값이 .51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 필요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 가설 검증과 결론
1.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1) 가설 1에 대한 검증결과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검증 한 결과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2에 대한 검증결과
“학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 한 결과 계획적인 소비내역과 저축의 필요성 항목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지출내역기록에는 영향을 받은 것 으로 나타났다.
3) 가설 3에 대한 검증결과
“수입원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 한 결과 지출내역기록과 계획적인 소비내역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저축의 필요성은 영향을 받는 것 으로 나타났다.
2.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수입원에 대한 저축 성향에 대한 연구를 했다. 세부적으로는 수입원에 대한 저축의 성향 이외에도 성별, 학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에 대해서 조사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계획적인소비와 저축의 필요성에 대해서 더 높았으며, 지출내역기록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에 따른 차이는 대체적으로 지출내역기록과 계획적인소비는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4학년이 가장 낮았고 저축의 필요성은 3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고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낮았으며, 수입원에 따른 차이는 용돈만을 받는 학생들이 용돈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아르바이트만을 하는 학생들보다 3항목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것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대학생들이 모두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성별과 학년, 그리고 수입원에 차이를 떠나서 우선 현재와 미래에는 저축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나친 과소비와 능력에 맞지 않는 명품들만 무조건적으로 사려고 하는 생각만을 하고 무분별하게 돈을 쓰다보면 자신이 얼마를 쓰는지도 제대로 모르고 그저 돈이 새어 나가는 것만 보고 있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자신의 돈이 왜 부족하게 되었는지도 모르는 때가 생기게 되고,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 저축의 버릇을 들여놓고 최소한 저축에 대한 생각이라도 해놓아야 나중을 대비 할 수 있을 것이고, 미래의 우리 사회는 계속적인 물가의 상승을 견디지 못하고 후회 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고 이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대학생들의 경제관념이 바뀌길 바라고 지금 이러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더 많이 해서 대학생들의 저축의식에 변화가 생기길 바라는 바이다.
참 고 문 헌
다음 지식인 : www.daum.net
구글 : www.google.co.kr
네이버 : www.naver.com
한국 교육학술 정보원(RISS) : 대학생 소비자의 가지관에 따른 구매유형과
소비지출 행동 (김나영, 이정림, 현명희)
성별에 따른 대학생 소비자의 재무관리 태도 및
실 태에 관한 연구 (김효정)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의
식간의 관계 (구효진, 최진선,)
학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분석해보면 소비계획과 저축의 필요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출내역기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내역기록에서는 2학년 (M=1.83)이 가장 높았고 4학년 (M=1)이 가장 낮았으며, 소비계획은 2학년 (M=1.78)이 가장 높고 4학년 (M=1.7)이 가장 낮았고, 저축필요는 3학년 (M=1.43)이 가장 높았으며 1학년 (M=1.29)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3> 수입원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
용돈
용돈+아르바이트
아르바이트
F
지출내역기록
1.79/0.412
1.64/0.497
1.43/0.535
1.972
소비계획
1.9b/0.31
1.64b/0.497
1a/0
18.294***
저축필요성
1.41a/0.501
1.29ab/0.469
1a/0
2.348
*** : p<.001 a,ab,b = Duncan test 결과
수입원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필요성을 살펴보면 지출내역기록과 저축의 필요성 항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소비계획 항목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내역기록은 용돈 (M=1.79)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43)이 가장 낮았으며, 소비계획은 용돈 (M=1.9)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이 가장 낮았고, 저축 필요성은 용돈 (M=1.41) 이 가장 높았고, 아르바이트 (M=1)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의필요성의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표3>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필요 성향
지출내역기록
성별
평균
N
T값
남
1.74(0.445)
31
0.815
여
1.63(0.496)
19
소비계획
평균
N
T값
남
1.68(0.475)
31
-0.437
여
1.74(0.452)
19
저축필요성
평균
N
T값
남
1.35(0.486)
31
0.664
여
1.26(0.452)
19
성별에 따른 내역기록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본 결과 (p값이 .419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소비계획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본 결과 (p값이 .664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에 따른 저축필요성을 T-test로 비교해본 결과 (p값이 .51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소비계획, 저축 필요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 가설 검증과 결론
1.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1) 가설 1에 대한 검증결과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검증 한 결과 성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2에 대한 검증결과
“학년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 한 결과 계획적인 소비내역과 저축의 필요성 항목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지출내역기록에는 영향을 받은 것 으로 나타났다.
3) 가설 3에 대한 검증결과
“수입원의 차이는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 한 결과 지출내역기록과 계획적인 소비내역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저축의 필요성은 영향을 받는 것 으로 나타났다.
2.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수입원에 대한 저축 성향에 대한 연구를 했다. 세부적으로는 수입원에 대한 저축의 성향 이외에도 성별, 학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의 차이에 대해서 조사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지출내역기록 계획적인소비, 저축의 필요성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계획적인소비와 저축의 필요성에 대해서 더 높았으며, 지출내역기록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에 따른 차이는 대체적으로 지출내역기록과 계획적인소비는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4학년이 가장 낮았고 저축의 필요성은 3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고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낮았으며, 수입원에 따른 차이는 용돈만을 받는 학생들이 용돈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아르바이트만을 하는 학생들보다 3항목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것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대학생들이 모두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성별과 학년, 그리고 수입원에 차이를 떠나서 우선 현재와 미래에는 저축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나친 과소비와 능력에 맞지 않는 명품들만 무조건적으로 사려고 하는 생각만을 하고 무분별하게 돈을 쓰다보면 자신이 얼마를 쓰는지도 제대로 모르고 그저 돈이 새어 나가는 것만 보고 있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자신의 돈이 왜 부족하게 되었는지도 모르는 때가 생기게 되고,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 저축의 버릇을 들여놓고 최소한 저축에 대한 생각이라도 해놓아야 나중을 대비 할 수 있을 것이고, 미래의 우리 사회는 계속적인 물가의 상승을 견디지 못하고 후회 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고 이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대학생들의 경제관념이 바뀌길 바라고 지금 이러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더 많이 해서 대학생들의 저축의식에 변화가 생기길 바라는 바이다.
참 고 문 헌
다음 지식인 : www.daum.net
구글 : www.google.co.kr
네이버 : www.naver.com
한국 교육학술 정보원(RISS) : 대학생 소비자의 가지관에 따른 구매유형과
소비지출 행동 (김나영, 이정림, 현명희)
성별에 따른 대학생 소비자의 재무관리 태도 및
실 태에 관한 연구 (김효정)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의
식간의 관계 (구효진, 최진선,)
추천자료
대학생의 소비성향의 문제점 및 그 대안 - CMA통장
[소비문화][짐멜][유행][소비주의][과소비][과소비성향]소비문화의 전제조건, 짐멜의 유행, ...
대학생들의 용돈 소비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케인즈의 이론][포스트케인지언][포스트케인지언 이론][2계급경제]케인즈의 이론과 포스트케...
[저축률]저축률(저축성향) 산출방식과 저축률(저축성향) 결정요인, 저축률(저축성향)과 저축...
대학생 소비문화의 형성배경,대학생 소비문화의 실태,결론(A+자료)
[소비자행동A+] 대리운전업체의 안전실태 및 소비자 정보탐색 전략
[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화폐신용이론][가격이론][분배모형]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의 특징, 포...
[저축][저축률][저축의 날][저축률 하락원인][저축률 관련 연구 사례][저축률 평가]저축 필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