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초록
1. 서 론
1.1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
1.1.1 Spectroscopy vs Spectrophotometry
1.1.2 Beer-Lambert law
1.2 착물(Complex)
1.2.1 Cu-IDA complex
1.2.2 Methods for determining the formula of a complex
1.2.3 안정화 상수(Stability Constant)
1.2.4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constant of a complex
2. 실험방법
2.1 사용한 시약 및 기구
2.2. 실험 절차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
1. 서 론
1.1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
1.1.1 Spectroscopy vs Spectrophotometry
1.1.2 Beer-Lambert law
1.2 착물(Complex)
1.2.1 Cu-IDA complex
1.2.2 Methods for determining the formula of a complex
1.2.3 안정화 상수(Stability Constant)
1.2.4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constant of a complex
2. 실험방법
2.1 사용한 시약 및 기구
2.2. 실험 절차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
본문내용
초 록
이번 실험에서는 Cu-IDA complex를 서로 다른 Cu(NO3)2•3H2O(aq, 0.02M): NH(CH2COOH)2(aq, 0.02M) 비율로 혼합하여 spectrophotometry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complex의 formula와 stability constant를 추정해보았다. 서로 다른 volume fraction(IDA: 2,5,7,10,12,13,15,18,20,23mL, total 25mL)의 mixture를 만들고, HNO3(aq, 15%)과 NaOH(aq, 0.5M)으로 모든 sample의 pH를 약 2.00으로 통일하여 UV-VIS spectrophotometry를 실시했다. Fig.10.에 따르면 최대 흡광도는 약 mole fraction이 약 0.5일 때 나타났고, 따라서 n은 χ/(1-χ) ~ 0.5/0.5 = 1이었으며, extrapolation을 이용하여 얻은 Fig.11.과 Fig..12.에서는 최대 흡광도에서의 mole fraction이 각각 0.458319, 0.458207로, n은 각각 0.846106, 0.845722로 역시 약 1이 나왔다. 이로써 predominant Cu-IDA complex는 반응물이 1:1의 비율로 결합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은 proton이 개입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stability constant가 아닌, 총괄 생성상수(overall formation constant, K’)를구해주었는데, pH 2.00 조건에서 K ’ 는 약 0.0048402, 0.005629가 나왔으며(Table.4.), diprotic ionization constant를 이용한 계산에서 pK’는 약 10.0, 9.9로(Table.5.), stability constant K에 대한 pK 문헌값인 10.3과 오차율이 0.0306, 0.0369에 그쳤다.
이번 실험에서는 Cu-IDA complex를 서로 다른 Cu(NO3)2•3H2O(aq, 0.02M): NH(CH2COOH)2(aq, 0.02M) 비율로 혼합하여 spectrophotometry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complex의 formula와 stability constant를 추정해보았다. 서로 다른 volume fraction(IDA: 2,5,7,10,12,13,15,18,20,23mL, total 25mL)의 mixture를 만들고, HNO3(aq, 15%)과 NaOH(aq, 0.5M)으로 모든 sample의 pH를 약 2.00으로 통일하여 UV-VIS spectrophotometry를 실시했다. Fig.10.에 따르면 최대 흡광도는 약 mole fraction이 약 0.5일 때 나타났고, 따라서 n은 χ/(1-χ) ~ 0.5/0.5 = 1이었으며, extrapolation을 이용하여 얻은 Fig.11.과 Fig..12.에서는 최대 흡광도에서의 mole fraction이 각각 0.458319, 0.458207로, n은 각각 0.846106, 0.845722로 역시 약 1이 나왔다. 이로써 predominant Cu-IDA complex는 반응물이 1:1의 비율로 결합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은 proton이 개입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stability constant가 아닌, 총괄 생성상수(overall formation constant, K’)를구해주었는데, pH 2.00 조건에서 K ’ 는 약 0.0048402, 0.005629가 나왔으며(Table.4.), diprotic ionization constant를 이용한 계산에서 pK’는 약 10.0, 9.9로(Table.5.), stability constant K에 대한 pK 문헌값인 10.3과 오차율이 0.0306, 0.0369에 그쳤다.
추천자료
HPLC를 이용한 Urine 및 음료속의 카페인 분석
UV SPECTROSCOPY를 이용한 약물농도 측정(결과)
분석화학 기기분석 Cyclic Voltammetr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분석화학 기기분석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
분석화학 기기분석 Microfluidic Channel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분석화학 기기분석 Constant-Current Coulometr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분석화학 기기분석 Gas Chromatograph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분석화학 기기분석 Fluorescence Spectroscop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분석화학 기기분석 Paper-based microfluidic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