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서술하고 나의 발달단계를 찾아 나의 생활과 관련지어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서술하고 나의 발달단계를 찾아 나의 생활과 관련지어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 희망
2) 자율성 대 의심 및 수치심: 의지
3) 주도성 대 죄의식: 목적
4) 근면성 대 열등감: 유능성
5) 자아 정체감 대 역할 혼란: 충실성
6) 친밀감 대 고립감: 사랑
7) 생산성 대 침체감: 배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지혜

2. 나의 발달단계 및 나의 생활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보니, 무의미한 시간을 흘려보낸 것 같은 생각에 다시 한번 ‘사회복지사’라는 의미 있는 일에 도전을 하게 되었다.
학창시절 절친했던 친구들과 공부했던 과거의 행복한 기억들도 떠오르고, 새로운 일에 도전한다는 설렘이 삶에 이렇게 큰 활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무료하게 반복되는 일상 가운데, 강의를 듣고, 필기하며, 시험과 과제를 준비하는 바쁜 시간을 보내는 순간들이 나에게 긍정적인 활기를 준다.
활기찬 생활을 하다 보니, 예전에는 대수롭지 않게 보이던 사물과 주변 사람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지니게 되고, 배우자에게도 더욱 친절 해 지는 내가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인생을 살아 보니, 에릭슨이 연구한 발달 단계의 과업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체감된다. 자아통합 대 절망의 시기에 다다른 나에게 있어 ‘사회복지사’ 학업 과정을 통한 학업의 열정과 보람이 나의 ‘자아통합’에 큰 도움이 된다. 내 인생 전반을 돌이켜 보며, 우울과 절망감에 빠질 만한 순간들도 있었지만, 현재의 이 학업을 통해 인생의 전환점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퇴직 후에 느껴졌던 허무하고 안정되지 못했던 마음 등이 조금씩 안정을 되찾아 간다. 체력과 건강이 약해지고 사회에 기여했던 아련한 기억과 성취감 등이 아름다웠던 추억으로 되감기면서 조금은 주위가 냉냉한 듯하다. 동료들, 친구들 그리고 같이 했던 동지들이 조금씩 멀어져 감을 느낀다. 이젠 더 이상 노년 시기의 신체적 사회적인 약함에 적극 대응하여 활력 넘치는 삶으로 활력을 되찾아 가리라.
에릭슨에 의하면, 자아통합을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자신의 생애를,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 그리고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도 대치될 수 없는 것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렇다. 나는 실수를 했다. 그러나 그 당시 그 상황에서 그 실수는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나는 그것을 내 생애의 행복했던 일들과 함께 받아들이겠다.”는 생각으로 최선을 다해 인생과 세상 그 자체에 대한 초연하고 철학적인 지혜로 삶을 살아가고자 한다.
[참고문헌]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곽금주,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6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성장발달과 건강』, 교문사, 2014
엄태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20
이명랑, 『심리학 개론』, 더배움, 2017
이인정, 최해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20
최옥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2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6.22
  • 저작시기202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