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유아교수학습의 원리
2. 발달이론에 따른 교수·학습원리
3. 교사의 상호작용 (영아/유아)
4. 영유아평가 목적, 단계, 주의할 점
5. 환경구성의 원리 (영아/유아)
6. 영유아 대소집단 활동 두 가지 활동 내용, 지도방법
7. 영유아의 문제행동 한 가지 내용, 지도방법
2. 발달이론에 따른 교수·학습원리
3. 교사의 상호작용 (영아/유아)
4. 영유아평가 목적, 단계, 주의할 점
5. 환경구성의 원리 (영아/유아)
6. 영유아 대소집단 활동 두 가지 활동 내용, 지도방법
7. 영유아의 문제행동 한 가지 내용, 지도방법
본문내용
로 진행한다. 이야기 나누기 지도방법은 ① 유아들 모두를 집중시킬 수 있는 적절한 주의집중 기술을 사용한다. (예: 손유희) ② 이야기 나누기 내용에 필요한 그림이나 자료, 그림책 등을 미리 준비하여 유아가 발표할 때 융판에 그림을 붙이거나 자료를 보여줌으로써 이야기 나누기가 직접적인 경험과 유사하도록 한다. ③ 유아에게 수렴적 질문과 발산적 질문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④ 유아에게 질문을 한 다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⑤모든 유아가 골고루 이야기 나누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⑥ 이야기하는 것을 원하기는 하지만 수줍어하는 유아를 위해서 손가락 인형, 손인형, 막대인형 등을 활용하여 질문하거나 유아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⑦ 표현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는 유아의 경우 좀 더 분명히 파악할 수 있는 보충적인 말을 하도록 안내하는 질문을 한다. ⑧ 이야기 주제와 관련 없는 공상을 하거나 교사에게 집중하지 않는 행동은 때로는 무시한다.
7. 영유아의 문제행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지도방법을 서술하시오.
새로운 장소와 사람에 대한 낯설음으로 스트레스를 쉽게 받는 영유아의 경우 분리불안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분리불안 증세는 학기 초에 많이 나타나고, 특히 0세나 1세 영아의 경우 보육기관에 처음 와서 접하는 가장 낯선 환경은 교사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0~1세 영아가 보호자와 함께 등원하면 영아와의 친밀감 형성을 위해 성급히 다가가지 않고 적절한 거리를 두고 접근한다. 또한 교사와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과 속에서도 여러 가지 일상 활동과 상호작용을 시도하여 영아가 익숙한 목소리와 일관된 반응에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영유아의 관찰, 학부모와의 면담, 영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가정과의 연계하여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방안을 적용한다.
분리불안을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은 총 7단계로 나눠서 천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제1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여 교육활동의 시작을 함께 탐색한다. 이때 영유아의 반응을 보고 1~2주 진행해본다. 제2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되 활동실 구석에 자리 잡고 영유아가 요청할 때 도와준다. 주 양육자가 영유아가 요청할 때만 자연스럽게 도와주고 점차 빈도와 시간을 줄여가는 것이 좋다. 제3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나 활동실 혹은 출입구 쪽에 머물기만 한다. 주 양육자는 자녀에게 직접적인 도움보다는 미소 혹은 존재감으로 격려를 한다. 제4단계 주 양육자는 함께 등원하되 자녀와 약속한 시간만큼 활동실 밖에 머문다. 자녀가 보고 싶을 때 볼 수 있도록 시간을 정해 약속한다. 제5단계 자녀와 미리 협의하여 주 양육자와 함께 등원하되 하원까지 교사와 함께 지낸다. 제6단계 주 양육자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을 점차 단축시킨다. 제7단계 등원과 하원을 다른 영유아들처럼 한다. 제5단계~제7단계에는 자녀와 미리 기간을 협의하고 혼자 지낼 수 있을 만큼 성장하였음을 격려하고 칭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7. 영유아의 문제행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지도방법을 서술하시오.
새로운 장소와 사람에 대한 낯설음으로 스트레스를 쉽게 받는 영유아의 경우 분리불안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분리불안 증세는 학기 초에 많이 나타나고, 특히 0세나 1세 영아의 경우 보육기관에 처음 와서 접하는 가장 낯선 환경은 교사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0~1세 영아가 보호자와 함께 등원하면 영아와의 친밀감 형성을 위해 성급히 다가가지 않고 적절한 거리를 두고 접근한다. 또한 교사와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과 속에서도 여러 가지 일상 활동과 상호작용을 시도하여 영아가 익숙한 목소리와 일관된 반응에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영유아의 관찰, 학부모와의 면담, 영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가정과의 연계하여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방안을 적용한다.
분리불안을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은 총 7단계로 나눠서 천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제1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여 교육활동의 시작을 함께 탐색한다. 이때 영유아의 반응을 보고 1~2주 진행해본다. 제2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되 활동실 구석에 자리 잡고 영유아가 요청할 때 도와준다. 주 양육자가 영유아가 요청할 때만 자연스럽게 도와주고 점차 빈도와 시간을 줄여가는 것이 좋다. 제3단계 주 양육자가 함께 등원하나 활동실 혹은 출입구 쪽에 머물기만 한다. 주 양육자는 자녀에게 직접적인 도움보다는 미소 혹은 존재감으로 격려를 한다. 제4단계 주 양육자는 함께 등원하되 자녀와 약속한 시간만큼 활동실 밖에 머문다. 자녀가 보고 싶을 때 볼 수 있도록 시간을 정해 약속한다. 제5단계 자녀와 미리 협의하여 주 양육자와 함께 등원하되 하원까지 교사와 함께 지낸다. 제6단계 주 양육자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을 점차 단축시킨다. 제7단계 등원과 하원을 다른 영유아들처럼 한다. 제5단계~제7단계에는 자녀와 미리 기간을 협의하고 혼자 지낼 수 있을 만큼 성장하였음을 격려하고 칭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영유아교사론
[2018]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만점> 교육공학 1-4장 중 흥미로운 주제의 핵심내용 요...
영유아교수방법론 유2 목차 다음 1-7번까지 문제에 모두 답하시오(각 문제당 10점씩 총...
(2020학년도 2학기 영유아교수방법론 기말) 다음 1-7번까지 문제에 모두 답하시오. 1. 영유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