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국채보상운동 관련 유적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구 국채보상운동 관련 유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광문사터와 국채보상운동기념비
2. 서상돈 고택
3. 서문시장
4. 진골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58806 참조.
에 따르면 진골목이란 이름에서 \'진\'은 경상도 말로 \'긴\'이란 뜻이다. 경상도에선 \'ㄱ\' 발음을 \'ㅈ\'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몇몇 있다. 밥에 싸먹는 \'김\'을 이곳에선 \'짐\' 이라고 하며, \'(길이가) 길다\'라는 표현을 \'질다\'라고 하는데 진골목 역시도 좁고 긴 그 골목의 지형을 본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대구 진골목에는 국채보상운동 이야기가 담긴 벽화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 벽화가 세워진 이유는 이 근처에서 여성들의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진골목 일대에 거주하던 수많은 부자들이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했기에, 국채보상과 크게 관련되어 있는 곳이라 할 수 있겠다. https://www.i815.or.kr/upload/kr/magazine/magazine/14/post-145.html 참조.
https://news.joins.com/article/3806339 참조.
Ⅲ. 결론
지금까지 대구 국채보상과 관련된 장소 4곳과 주도한 인물인 서상돈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았다. 사실, 필자는 이 보고서를 쓰기 전만 해도 국채보상운동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보고서를 쓰기 위해 역사기행을 다니면서 국채보상에 대해 너무나 무지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국채보상운동의 중요성에 비해 너무 알려진 것도 없고, 국사교과서의 기술도 상당히 부실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 같다.
물론, 대구시와 시민들의 노력에 의해 대구 국채보상운동과 관련된 유적들이 재조명되고, 복원된 것은 큰 성과라 할 수 있겠다. 다만, 아직까지 다수의 사람이 이오 관련된 것을 잘 모르기 때문에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해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국민이 국가의 빚을 갚겠다고 나선 운동이 어디에 있겠는가?
Ⅳ. 참고문헌
논문
주형일, 2019,「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이진현, 2014,「1907년 2월 대구광문사의 위치에 관한 연구」.
2.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국채보상운동(http://www.gukchae.com).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관광(https://www.jung.daegu.kr).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월간독립기념관(https://www.i815.or.kr).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02
  • 저작시기202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