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일신라시대 말기
2. 후삼국시대
1) 여러 호족들
2) 궁예와 견훤
3. 고려시대
1) 망이·망소이의 난
2) 김사미·효심의 난
3) 백제, 신라 부흥운동
4) 조휘·탁청의 난
5) 그 외의 민란
4. 조선시대
1) 조선 전기
2) 조선 후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통일신라시대 말기
2. 후삼국시대
1) 여러 호족들
2) 궁예와 견훤
3. 고려시대
1) 망이·망소이의 난
2) 김사미·효심의 난
3) 백제, 신라 부흥운동
4) 조휘·탁청의 난
5) 그 외의 민란
4. 조선시대
1) 조선 전기
2) 조선 후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패한 관리로 인해 일시적으로 일어난 난에 불과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은 1892년 전라도 고부군의 군수 조병갑에 대항하여 전봉준이 일으킨 민란이다. 다른 민란과 다르게 ‘동학’이라는 종교가 뿌리가 되었기에 순식간에 10만 여명에 달하는 세력을 규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엄청난 숫자와 달리 무기는 형편없었기에 일본군에 의해 우금치에서 대패한 이후, 사실상 소멸되었고 이후 대표인 전봉준까지 잡히면서 종결되고 말았다. 이 운동은 각지에 잘 조직된 동학교도들을 중심으로 일어났기에 상당히 잘 조직화되었지만, 흥선대원군에 의지하려 하는 등, 스스로 정치세력화하지는 못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민란에 대해서 총정리 해보았다. 대부분의 민란이 정치세력화하지 못했으며, 정치세력화했다고 해도 대부분 체제를 갖추지 못했다. 또한, 민란의 주 세력이라 볼 수 있는 농민들에게 미래를 제시해주지 못했기에 성공할 수 없었다고 본다.
물론, 궁예나 견훤처럼 성공하여 나라를 세운 경우도 있지만 궁예는 ‘불교’를 잘 활용하였고, 초기부터 나라의 기틀을 잡으려고 노력하였다. 견훤은 압도적인 무력으로 인해 주변지역을 쉽게 점령하였기에 나라를 만들 수 있었던 것 같다.
기존까지 민란이 무시되 온 경향이 큰데, 이는 대부분 실패로 끝났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민란은 당대 민중들의 생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동학농민운동은 1892년 전라도 고부군의 군수 조병갑에 대항하여 전봉준이 일으킨 민란이다. 다른 민란과 다르게 ‘동학’이라는 종교가 뿌리가 되었기에 순식간에 10만 여명에 달하는 세력을 규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엄청난 숫자와 달리 무기는 형편없었기에 일본군에 의해 우금치에서 대패한 이후, 사실상 소멸되었고 이후 대표인 전봉준까지 잡히면서 종결되고 말았다. 이 운동은 각지에 잘 조직된 동학교도들을 중심으로 일어났기에 상당히 잘 조직화되었지만, 흥선대원군에 의지하려 하는 등, 스스로 정치세력화하지는 못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민란에 대해서 총정리 해보았다. 대부분의 민란이 정치세력화하지 못했으며, 정치세력화했다고 해도 대부분 체제를 갖추지 못했다. 또한, 민란의 주 세력이라 볼 수 있는 농민들에게 미래를 제시해주지 못했기에 성공할 수 없었다고 본다.
물론, 궁예나 견훤처럼 성공하여 나라를 세운 경우도 있지만 궁예는 ‘불교’를 잘 활용하였고, 초기부터 나라의 기틀을 잡으려고 노력하였다. 견훤은 압도적인 무력으로 인해 주변지역을 쉽게 점령하였기에 나라를 만들 수 있었던 것 같다.
기존까지 민란이 무시되 온 경향이 큰데, 이는 대부분 실패로 끝났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민란은 당대 민중들의 생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