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실험목적
②실험이론
③실험과정
④실험결과
⑤문제 및 고찰
②실험이론
③실험과정
④실험결과
⑤문제 및 고찰
본문내용
통해 얻은 결과 값이다. 이 표1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린 것이 [그림4]와 [그림5]이다. 이론 값은 [그림3]을 이용하여 파장의 길이를 구하였다.
[그림3]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관계
[그림4] 좁은 슬릿 스페이서
[그림4] 넓은 슬릿 스페이서
[그림4] 좁은 슬릿 스페이서에서 최대점이 생기는 각도는 0, 20, 45이고, 최소점이 생기는 각도는 10, 35, 60이었다. 또한 [그림5] 넓은 슬릿 스페이서에서 최대점이 생기는 각도는 0,15, 32.5, 50이었다. 32.5는 30와 35에서 같은 최대 눈금이 나왔기 때문에 그 평균값 32.5를 사용하였다. 비교하면 넓은 슬릿의 최대점이 좁은 슬릿보다 한 차례 더 나왔다. 최소점은 10, 25, 40, 60이 나왔다. dsinθ = nλ식에서 넓은 스페이서의 d가 좁은 슬릿보다 더 커서 한 차례 더 나왔다. 그리하여 넓은 슬릿은 총 4차례의 최대점이, 좁은 슬릿은 총 3차례의 최대점이 생겼다. 이 결과 값과 dsinθ = nλ(n=0,1,2,...)를 이용한 이론값을 계산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 [표2]와 [표3]이다.
n
실험값(최대)
이론값(최대)
오차
실험값(최소)
이론값(최소)
오차
0
0
[그림3]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관계
[그림4] 좁은 슬릿 스페이서
[그림4] 넓은 슬릿 스페이서
[그림4] 좁은 슬릿 스페이서에서 최대점이 생기는 각도는 0, 20, 45이고, 최소점이 생기는 각도는 10, 35, 60이었다. 또한 [그림5] 넓은 슬릿 스페이서에서 최대점이 생기는 각도는 0,15, 32.5, 50이었다. 32.5는 30와 35에서 같은 최대 눈금이 나왔기 때문에 그 평균값 32.5를 사용하였다. 비교하면 넓은 슬릿의 최대점이 좁은 슬릿보다 한 차례 더 나왔다. 최소점은 10, 25, 40, 60이 나왔다. dsinθ = nλ식에서 넓은 스페이서의 d가 좁은 슬릿보다 더 커서 한 차례 더 나왔다. 그리하여 넓은 슬릿은 총 4차례의 최대점이, 좁은 슬릿은 총 3차례의 최대점이 생겼다. 이 결과 값과 dsinθ = nλ(n=0,1,2,...)를 이용한 이론값을 계산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 [표2]와 [표3]이다.
n
실험값(최대)
이론값(최대)
오차
실험값(최소)
이론값(최소)
오차
0
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