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방법
4. 분석 및 고찰
2. 실험이론
3. 실험방법
4. 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test2
두 번째실험(U1=1.54V, U3=8.95V)
전압(V)
35.88
56.16
전압차(V)
20.28
[그림6] test3
세 번째실험(U1=1.54V, U3=9.49V)
전압(V)
36.448
55.558
78.393
전압차(V)
19.11
22.835
-전압차 평균=20.334V
[그림4], [그림5], [그림6]은 각각의 실험값을 가지고 그린 그래프이다. [그림4]와 [그림5]는 [그림6]과 다르게 피크가 2개 밖에 나오지 못했다. 아마도 U3를 세 번째 실험에 비해서 적게 설정했기 때문인 것 같다. 실험들의 전압 차들을 더해 평균을 내보면 20.334V가 나온다. 앞서 말한 실험 이론에서 우리가 얻어야할 값을 얻어 네온의 여기 에너지를 구해보았다. 네온 원자의 여기 에너지 18eV와 비교해보면 오차가 12.96%로 약 13%의 오차가 생겼다. 수은 원자의 여기 에너지는 4.9eV이므로 의 간격이 더 짧아지므로 더 많은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수은의 여기 에너지는 4.9eV이고, 네온의 여기 에너지는 약20eV (오차13%) 이므로 각 원자마다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차가 난 이유는 앞서 말한 대로 U3를 적게 설정했기 때문이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U1과 U3가 실험에 적절한 값을 갖도록 잘 설정해야한다. 그리고 보고서에는 다 실리지 않았지만 우리 조는 총 5번의 실험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 2개의 데이터는 값이 잘 나오지않아 3개의 데이터만 쓸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더 많은 실험 반복을 거쳐 오차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실험(U1=1.54V, U3=8.95V)
전압(V)
35.88
56.16
전압차(V)
20.28
[그림6] test3
세 번째실험(U1=1.54V, U3=9.49V)
전압(V)
36.448
55.558
78.393
전압차(V)
19.11
22.835
-전압차 평균=20.334V
[그림4], [그림5], [그림6]은 각각의 실험값을 가지고 그린 그래프이다. [그림4]와 [그림5]는 [그림6]과 다르게 피크가 2개 밖에 나오지 못했다. 아마도 U3를 세 번째 실험에 비해서 적게 설정했기 때문인 것 같다. 실험들의 전압 차들을 더해 평균을 내보면 20.334V가 나온다. 앞서 말한 실험 이론에서 우리가 얻어야할 값을 얻어 네온의 여기 에너지를 구해보았다. 네온 원자의 여기 에너지 18eV와 비교해보면 오차가 12.96%로 약 13%의 오차가 생겼다. 수은 원자의 여기 에너지는 4.9eV이므로 의 간격이 더 짧아지므로 더 많은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수은의 여기 에너지는 4.9eV이고, 네온의 여기 에너지는 약20eV (오차13%) 이므로 각 원자마다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차가 난 이유는 앞서 말한 대로 U3를 적게 설정했기 때문이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U1과 U3가 실험에 적절한 값을 갖도록 잘 설정해야한다. 그리고 보고서에는 다 실리지 않았지만 우리 조는 총 5번의 실험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 2개의 데이터는 값이 잘 나오지않아 3개의 데이터만 쓸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더 많은 실험 반복을 거쳐 오차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