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담관염(Cholangitis)
2. 담즙의 역할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PTBD 적응증
8. PTBD 간호
9. PTBD 합병증
10. 간호
11. 예방
12. 출처
2. 담즙의 역할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PTBD 적응증
8. PTBD 간호
9. PTBD 합병증
10. 간호
11. 예방
12. 출처
본문내용
RCP 적응증
ERCP 합병증
① 담도 혹은 담낭관 담석
①췌장염
② 급성 담관염 혹은 담석성 급성 췌장염
② 금성 담관염 및 담낭염
③ 담도 및 담낭암 혹은 췌장암으로 인한 악성 담도 폐쇄
③장 출혈 및 장 천공
④ 만성 췌장염
④ 약물 알레르기
⑤ 바터팽대부 선종 및 암
⑤ 폐렴
⑥ 오디괄약근 기능 이상
⑥패혈증
5) 경피적 담즙배액술(PTBD) : 몸 밖에서 간 부위 피부를 뚫고 간을 통해서 간 내의 담관에 배액관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PTBD 적응증
① 담도와 담석증
② 담즙의 배출 이상으로 황달 및 담도염 의심할 때
③ 수술 전 일시적 감압
④ 악성 진행형 협착
PTBD 간호
① 배액관이 꼬이지 않게 유지한다.
② 배액관은 항상 아래로 위치하며,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③ 배액 백과의 연결부위가 빠지지 않게 주의한다.
④ Dressing한다.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한다)
⑤ Duty마다 irrigation 시행한다.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한다)
PTBD 합병증
① 시술 부위 출혈 위험성
② 감염 위험성
③ 통증
④ 배액관 이탈로 담즙 누출 및 감염 또는 패혈증
6) 체외충격파 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담낭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에 적용함.
간호
1) 통증이 더 심해지기 전에 환자의 요구에 따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제공한다.
2) 깨끗한 침상, 편안한 자세, 구강 간호 등의 안위대책 제공한다.
3) 심한 오심과 구토가 있는 대상자 위해 위장 감압 제공, 진토제 제공한다.
4)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및 흡인 유지한다.
5) 황달과 함께 소양증이 발생 시 소양증 완화 간호를 제공한다.
예방
1) 지방이 많은 음식 섭취 자제
2) 섬유질이 많은 채식 위주의 식단 구성
3) 충분한 수분 섭취
4) 적정한 운동습관
출처
양성 및 악성 담관폐쇄로 인한 급성 담관염의 담즙과 혈액에서의 세균 동정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허재형·이재현·이만용·신기철·장효식·송승호·남승우·노임환
국민건강포털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 (상)
담석증에서 약물과 식이 차상우(2014)
대한췌담도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내시경적 총담관담석제거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장기간 추적결과를 통한 진료 적정성평가
서정훈 박병규 박해용
을지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하) 제 9판 현문사
인천사랑병원
ERCP 합병증
① 담도 혹은 담낭관 담석
①췌장염
② 급성 담관염 혹은 담석성 급성 췌장염
② 금성 담관염 및 담낭염
③ 담도 및 담낭암 혹은 췌장암으로 인한 악성 담도 폐쇄
③장 출혈 및 장 천공
④ 만성 췌장염
④ 약물 알레르기
⑤ 바터팽대부 선종 및 암
⑤ 폐렴
⑥ 오디괄약근 기능 이상
⑥패혈증
5) 경피적 담즙배액술(PTBD) : 몸 밖에서 간 부위 피부를 뚫고 간을 통해서 간 내의 담관에 배액관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PTBD 적응증
① 담도와 담석증
② 담즙의 배출 이상으로 황달 및 담도염 의심할 때
③ 수술 전 일시적 감압
④ 악성 진행형 협착
PTBD 간호
① 배액관이 꼬이지 않게 유지한다.
② 배액관은 항상 아래로 위치하며,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③ 배액 백과의 연결부위가 빠지지 않게 주의한다.
④ Dressing한다.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한다)
⑤ Duty마다 irrigation 시행한다.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한다)
PTBD 합병증
① 시술 부위 출혈 위험성
② 감염 위험성
③ 통증
④ 배액관 이탈로 담즙 누출 및 감염 또는 패혈증
6) 체외충격파 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담낭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에 적용함.
간호
1) 통증이 더 심해지기 전에 환자의 요구에 따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제공한다.
2) 깨끗한 침상, 편안한 자세, 구강 간호 등의 안위대책 제공한다.
3) 심한 오심과 구토가 있는 대상자 위해 위장 감압 제공, 진토제 제공한다.
4)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및 흡인 유지한다.
5) 황달과 함께 소양증이 발생 시 소양증 완화 간호를 제공한다.
예방
1) 지방이 많은 음식 섭취 자제
2) 섬유질이 많은 채식 위주의 식단 구성
3) 충분한 수분 섭취
4) 적정한 운동습관
출처
양성 및 악성 담관폐쇄로 인한 급성 담관염의 담즙과 혈액에서의 세균 동정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허재형·이재현·이만용·신기철·장효식·송승호·남승우·노임환
국민건강포털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 (상)
담석증에서 약물과 식이 차상우(2014)
대한췌담도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내시경적 총담관담석제거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장기간 추적결과를 통한 진료 적정성평가
서정훈 박병규 박해용
을지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하) 제 9판 현문사
인천사랑병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