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사항
2) 과거 건강력
3) 과거 임신관련 정보
4) 현 임신관련 정보
5) 신체검진
6) 산모의 정서적 사회적 욕구
7) 분만 1기의 진행과정
8) 분만 2기의 진행과정
9) 분만 3기의 진행과정
10) 분만 4기의 진행과정
11) 신생아 간호
12) 산모의 정서 심리적 반응과 요구
참고문헌
2) 과거 건강력
3) 과거 임신관련 정보
4) 현 임신관련 정보
5) 신체검진
6) 산모의 정서적 사회적 욕구
7) 분만 1기의 진행과정
8) 분만 2기의 진행과정
9) 분만 3기의 진행과정
10) 분만 4기의 진행과정
11) 신생아 간호
12) 산모의 정서 심리적 반응과 요구
참고문헌
본문내용
ix하여 IV로 투약할 것이다.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q1hr마다 자궁저부마사지를 5분동안 시행하였다.
1. 자궁저부 마사지는 자궁근육섬유를 수축시키고 응고된 혈액을 배출시키기 위함
2. 산후 2시간동안 자궁저부에 sand bag을 고정하였다.
2. 자궁을 수축시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함
3. v/s을 q1hr로 측정 및 기록하였다.
시간
BP-P-R-T
16:20
110/60mmHg-67회/min-20회/min-37.4℃
17:30
120/76mmHg-65회/min-20회/min-37.4℃
18:30
114/70mmHg-80회/min-20회/min-37.5℃
3. 활력징후는 신체 기능상의 변화들을 반영함. 출혈의 징후를 확인하기 위함
4. 패드를 q1hr로 교환해주었으며 매번 패드 교환 시마다 외음부를 깨끗이 닦아주었다. 만지기 전 손씻기와 외음부는 앞에서 뒤쪽으로 닦아내고 패드 착용 후 다시 손을 씻도록 산모를 교육하였다.
4. 오로의 양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산모의 청결함과 편안함을 도모하기 위함
5. 산후출혈로 인한 증상(빈맥, 혼돈, 어지러움, 비정상적인 질출혈, 발한)을 교육시켰고 증상발현 시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5. 출혈이 되고 있는지 가장 빠르고 직접 느낄 수 있는 사람은 환자 자신이기 때문. 신속한 치료를 하기 위함
6. q1hr 배뇨하도록 격려하였다.
6. 팽만된 방광은 자궁을 우상방으로 밀어내어 자궁근육의 수축을 어렵게 하고 산후 출혈을 초래함. 자궁이완뿐 아니라 방광벽의 이완도 초래 할 수 있음. 소변정체를 가져오고 감염의 좋은 조건이 됨. 37)
7. q1hr로 자궁수축을 관찰하였다.
7. 자궁 이완은 출혈의 첫 번재 소인임. 출혈이 있는지 계속해서 관찰해야 하며 또한 출혈의 원인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아야 함. 38)
8. 의사 처방에 따라 하트만덱스액1L에 옥시토신주를 mix하여 IV로 투약하였다.
8. 자궁수축제를 사용함으로 자궁을 수축시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함
간호평가
10/15일 목표 달성 분만2시간 후 관찰 시 오로의 양이 패드 반장으로 줄었다.
10/17일(퇴원) 목표 달성 미파악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11(g/dl)이상이 되었는지 검사결과를 확인했어야 함)
참고문헌
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1
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3
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1
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62
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6
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1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9
1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5
1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6
1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1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1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2
1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7
17) [그림1] 약학정보원 “세트라졸2g”
18) [그림2] 약학정보원 “하트만덱스액1L”
19) [그림3] 약학정보원 “제일리도카인주사액”
20) [그림4] 약학정보원 “푸카인 0.5%”
21) [그림5] 약학정보원 “옥시토신주”
2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135
2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2~p.383
2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3
2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8) [그림6] 약학정보원 “하이랙스주“
2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2
3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3
3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3
3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1~392
3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138
3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401
3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400~401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q1hr마다 자궁저부마사지를 5분동안 시행하였다.
1. 자궁저부 마사지는 자궁근육섬유를 수축시키고 응고된 혈액을 배출시키기 위함
2. 산후 2시간동안 자궁저부에 sand bag을 고정하였다.
2. 자궁을 수축시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함
3. v/s을 q1hr로 측정 및 기록하였다.
시간
BP-P-R-T
16:20
110/60mmHg-67회/min-20회/min-37.4℃
17:30
120/76mmHg-65회/min-20회/min-37.4℃
18:30
114/70mmHg-80회/min-20회/min-37.5℃
3. 활력징후는 신체 기능상의 변화들을 반영함. 출혈의 징후를 확인하기 위함
4. 패드를 q1hr로 교환해주었으며 매번 패드 교환 시마다 외음부를 깨끗이 닦아주었다. 만지기 전 손씻기와 외음부는 앞에서 뒤쪽으로 닦아내고 패드 착용 후 다시 손을 씻도록 산모를 교육하였다.
4. 오로의 양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산모의 청결함과 편안함을 도모하기 위함
5. 산후출혈로 인한 증상(빈맥, 혼돈, 어지러움, 비정상적인 질출혈, 발한)을 교육시켰고 증상발현 시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5. 출혈이 되고 있는지 가장 빠르고 직접 느낄 수 있는 사람은 환자 자신이기 때문. 신속한 치료를 하기 위함
6. q1hr 배뇨하도록 격려하였다.
6. 팽만된 방광은 자궁을 우상방으로 밀어내어 자궁근육의 수축을 어렵게 하고 산후 출혈을 초래함. 자궁이완뿐 아니라 방광벽의 이완도 초래 할 수 있음. 소변정체를 가져오고 감염의 좋은 조건이 됨. 37)
7. q1hr로 자궁수축을 관찰하였다.
7. 자궁 이완은 출혈의 첫 번재 소인임. 출혈이 있는지 계속해서 관찰해야 하며 또한 출혈의 원인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아야 함. 38)
8. 의사 처방에 따라 하트만덱스액1L에 옥시토신주를 mix하여 IV로 투약하였다.
8. 자궁수축제를 사용함으로 자궁을 수축시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함
간호평가
10/15일 목표 달성 분만2시간 후 관찰 시 오로의 양이 패드 반장으로 줄었다.
10/17일(퇴원) 목표 달성 미파악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11(g/dl)이상이 되었는지 검사결과를 확인했어야 함)
참고문헌
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1
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3
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1
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62
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6
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0
1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9
1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5
1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6
1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1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9
1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72
1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7
17) [그림1] 약학정보원 “세트라졸2g”
18) [그림2] 약학정보원 “하트만덱스액1L”
19) [그림3] 약학정보원 “제일리도카인주사액”
20) [그림4] 약학정보원 “푸카인 0.5%”
21) [그림5] 약학정보원 “옥시토신주”
2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135
2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2~p.383
2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3
2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0
28) [그림6] 약학정보원 “하이랙스주“
2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82
3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3
3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3
3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1~392
3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5)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94
3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138
3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401
3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18),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400~4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