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흡인(Suction)】
《정의》
《종류》
1. 구강흡인
2. 비강흡인
3. 기관흡인
4. 기관절개관 흡인
《흡인의 대표적 부작용》
《추후간호》
2. 본론
【흡인(Suction)】
《정의》
《종류》
1. 구강흡인
2. 비강흡인
3. 기관흡인
4. 기관절개관 흡인
《흡인의 대표적 부작용》
《추후간호》
본문내용
.
11. 필요하다면 1-2회 정도 반복한다.
반복 흡인은 과도한 분비물을 제거하여 폐 환기를 증진시킨다. 환기와 재산소화를 위 해 흡인 간격은 적어도 1분이 경과해야 한 다.
기타
개방식 흡인
환자로부터 인공호흡기나 T자 연결관을 떼고 흡인하는 방법. 흡인 중 산소 공급이나 환기가 중단되므로 저산소증을 잘 관찰해야 한다.
폐쇄식 흡인
기관내관과 인공호흡기 사이를 연결하는 특별한 아답터가 있어 환자로부터 인공호흡기를 떼지 않고 흡인할 수 있다. 흡인 중에도 산소 공급과 환기가 중단되지 않으므로 흡인으로 인한 저산소증을 줄일 수 있다.
4. 기관절개관 흡인
목적: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을 제거해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대상: -위급한 상부기도 폐색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사용
-장기간의 기관내관 삽입
-기도 내 분비물 흡인
-만성적인 상부기도 폐색
-기도화상
숙지사항: 기관 흡인에 비해 철저한 무균법이 필요하다.
방법: 분비물이 달라붙어 기도폐색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가습을 해준다.
흡인 방법은 기관 내 흡인과 동일하나 기도 내 사강이 줄었기 때문에 삽입되는 튜브의 길이가 짧아진다.
유의사항: - 분비물이 진하고 점액성이 강하면 주삿바늘이 제거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기관
으로 생리식염수 3~5mL를 점적한 후 흡인을 시행한다.
- 총 흡인시간은 3~5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 흡인병, 카테터, 멸균용액을 자주 교환한다.
기타: 기관절개관 환자간호 -튜브관리
-가습 및 흡인
-드레싱 및 세척
《흡인의 대표적 부작용》
종류
예방법
심장부정맥
산소부족 상태 시 미주신경이 자극되었을 때 흡인 전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 예방된다.
출혈
점막이 손상된 경우 카테터를 무리하게 밀어 넣지 말고 삽입 전 카테터를 증류수에 담궈 유연하게 한다.
저산소증, 청색증
흡인 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총 5분이 넘지 않도록 한다.
불안, 안절부절
의식이 있는 대상자일 경우 사전에 충분한 설명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격려.
《추후간호》
종류
내용
호흡사정에서 나빠진 경우
흡인의 시간을 제한한다.
흡인의 빈도를 늘리고 한번 흡인 시 기간을 더 짧게 한다.
추가 산소를 공급한다. (흡인과 흡인 사이에 산소를 공급)
흡인 후 호흡을 위해 도움을 제공한다.
소생술을 시작한다.
전문의에게 보고한다.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흡인 압력을 줄인다.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한다.
흡인 빈도를 평가한다.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응고검사를 한다.
흡인 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
다른 비공에 시도해 본다.
비인공기도를 삽관한다.
비갑개를 피하고 비공 아래쪽으로 넣어본다.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한다.
윤활제를 충분히 바른다.
발작적인 기침이 계속될 때
산소를 공급한다.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 흡인을 한다.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처방된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를 투여한다.
11. 필요하다면 1-2회 정도 반복한다.
반복 흡인은 과도한 분비물을 제거하여 폐 환기를 증진시킨다. 환기와 재산소화를 위 해 흡인 간격은 적어도 1분이 경과해야 한 다.
기타
개방식 흡인
환자로부터 인공호흡기나 T자 연결관을 떼고 흡인하는 방법. 흡인 중 산소 공급이나 환기가 중단되므로 저산소증을 잘 관찰해야 한다.
폐쇄식 흡인
기관내관과 인공호흡기 사이를 연결하는 특별한 아답터가 있어 환자로부터 인공호흡기를 떼지 않고 흡인할 수 있다. 흡인 중에도 산소 공급과 환기가 중단되지 않으므로 흡인으로 인한 저산소증을 줄일 수 있다.
4. 기관절개관 흡인
목적: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을 제거해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대상: -위급한 상부기도 폐색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사용
-장기간의 기관내관 삽입
-기도 내 분비물 흡인
-만성적인 상부기도 폐색
-기도화상
숙지사항: 기관 흡인에 비해 철저한 무균법이 필요하다.
방법: 분비물이 달라붙어 기도폐색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가습을 해준다.
흡인 방법은 기관 내 흡인과 동일하나 기도 내 사강이 줄었기 때문에 삽입되는 튜브의 길이가 짧아진다.
유의사항: - 분비물이 진하고 점액성이 강하면 주삿바늘이 제거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기관
으로 생리식염수 3~5mL를 점적한 후 흡인을 시행한다.
- 총 흡인시간은 3~5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 흡인병, 카테터, 멸균용액을 자주 교환한다.
기타: 기관절개관 환자간호 -튜브관리
-가습 및 흡인
-드레싱 및 세척
《흡인의 대표적 부작용》
종류
예방법
심장부정맥
산소부족 상태 시 미주신경이 자극되었을 때 흡인 전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 예방된다.
출혈
점막이 손상된 경우 카테터를 무리하게 밀어 넣지 말고 삽입 전 카테터를 증류수에 담궈 유연하게 한다.
저산소증, 청색증
흡인 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총 5분이 넘지 않도록 한다.
불안, 안절부절
의식이 있는 대상자일 경우 사전에 충분한 설명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격려.
《추후간호》
종류
내용
호흡사정에서 나빠진 경우
흡인의 시간을 제한한다.
흡인의 빈도를 늘리고 한번 흡인 시 기간을 더 짧게 한다.
추가 산소를 공급한다. (흡인과 흡인 사이에 산소를 공급)
흡인 후 호흡을 위해 도움을 제공한다.
소생술을 시작한다.
전문의에게 보고한다.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흡인 압력을 줄인다.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한다.
흡인 빈도를 평가한다.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응고검사를 한다.
흡인 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
다른 비공에 시도해 본다.
비인공기도를 삽관한다.
비갑개를 피하고 비공 아래쪽으로 넣어본다.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한다.
윤활제를 충분히 바른다.
발작적인 기침이 계속될 때
산소를 공급한다.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 흡인을 한다.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처방된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를 투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