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심리사회모델
B. 정신역동모델
I. 개관
II. 주요개념
1. 전이
2. 저항
3. 의사 상호성과 의사 적대성
4. 내사
5. 투사
6. 동일시
7. 투사적 동일시
III.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지지기법
2. 지시기법
3. 정화법
4. 사람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토의
5. 퍼스낼리티의 반성적 토의
6. 유아기의 발생적 고찰
7. 환경치료
* 참고문헌
B. 정신역동모델
I. 개관
II. 주요개념
1. 전이
2. 저항
3. 의사 상호성과 의사 적대성
4. 내사
5. 투사
6. 동일시
7. 투사적 동일시
III.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지지기법
2. 지시기법
3. 정화법
4. 사람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토의
5. 퍼스낼리티의 반성적 토의
6. 유아기의 발생적 고찰
7. 환경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믿음이 사실성에 근거하지 않으면 망상이 된다.
6) 동일시
동일시(identification)는 내면화의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역할의 내면화를 의미한다. 가장 초기의 내사과정에서는 대상과 자아상이 분명히 분화되지 않으나, 동일시 과정에서는 완전히 분화된다. 동일시의 결과는 아이가 부모가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어떤 행동과 역할을 취하는 것이다.
7) 투사적 동일시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는 대상이 마치 주체가 생각하는 인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주체가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이며 대상이 이런 투사된 지각에 일치하도록 행동과 감정을 불러일으킨다(Klein, 1946). 투사적 동일시는 상호작용에 의한 과정이다. 부모는 아동에게 자신의 불안을 일으키는 측면을 투사하고, 그 아동들은 그의 부모의 공포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공모하고 행동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비난을 받거나 또는 비행 행동에서와 같이 공격적 충동에 만족을 느끼며 희생양이 되어간다. 그들은 또한 무서운 공상을 하게하며, 그들 가족으로부터 미묘한 강화를 받는다.
III.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정신역동적 접근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시키도록 체계화한 florence Hollis(1964, PP. 77-78)는 치료기법을 일곱 가지로 유형화시킨다. 이 중 여섯 가지는 직접 클라이언트와 관계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며, 나머지 한 가지는 간접적으로 환경에 관련되는 사람과의 관계를 조정하는 기법이다.
1) 지지기법
: 클라이언트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동기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경청, 수용, 재보증, 신뢰감 표현, 선물주기 등의 방법이 있다.
2) 지시기법
: 사회생활기능의 장애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인데, 조언, 강화, 장려, 대변적인 행동 등이 포함된다.
3) 정화법
: 클라이언트 감정의 표출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초점 잡기, 부분화, 화제의 전환 등이 있다.
4) 사람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토의
: 문제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또는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그릇되게 받아들이고 있는 제반사항들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일반화, 행동의 시범, 정보제공, 명확화, 역할놀이 교육, 대결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5) 퍼스낼리티의 반성적 토의
: 변화의 동기를 촉진시키면서 클라이언트 자신의 퍼스낼리티의 패턴, 특징 및 역동적인 면을 이해하도록 원조한다. 깊은 차원의 명확화, 해석, 통찰의 개발이 사용된다.
6) 유아기의 발생적 고찰
: 변화를 위해 유년기의 문제와 현재 행동 간의 인과관계의 연계를 클라이언트가 자각케 한다.
7) 환경치료
: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인적 물적 환경에 관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6) 동일시
동일시(identification)는 내면화의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역할의 내면화를 의미한다. 가장 초기의 내사과정에서는 대상과 자아상이 분명히 분화되지 않으나, 동일시 과정에서는 완전히 분화된다. 동일시의 결과는 아이가 부모가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어떤 행동과 역할을 취하는 것이다.
7) 투사적 동일시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는 대상이 마치 주체가 생각하는 인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주체가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이며 대상이 이런 투사된 지각에 일치하도록 행동과 감정을 불러일으킨다(Klein, 1946). 투사적 동일시는 상호작용에 의한 과정이다. 부모는 아동에게 자신의 불안을 일으키는 측면을 투사하고, 그 아동들은 그의 부모의 공포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공모하고 행동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비난을 받거나 또는 비행 행동에서와 같이 공격적 충동에 만족을 느끼며 희생양이 되어간다. 그들은 또한 무서운 공상을 하게하며, 그들 가족으로부터 미묘한 강화를 받는다.
III.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정신역동적 접근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시키도록 체계화한 florence Hollis(1964, PP. 77-78)는 치료기법을 일곱 가지로 유형화시킨다. 이 중 여섯 가지는 직접 클라이언트와 관계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며, 나머지 한 가지는 간접적으로 환경에 관련되는 사람과의 관계를 조정하는 기법이다.
1) 지지기법
: 클라이언트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동기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경청, 수용, 재보증, 신뢰감 표현, 선물주기 등의 방법이 있다.
2) 지시기법
: 사회생활기능의 장애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인데, 조언, 강화, 장려, 대변적인 행동 등이 포함된다.
3) 정화법
: 클라이언트 감정의 표출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초점 잡기, 부분화, 화제의 전환 등이 있다.
4) 사람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토의
: 문제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또는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그릇되게 받아들이고 있는 제반사항들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일반화, 행동의 시범, 정보제공, 명확화, 역할놀이 교육, 대결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5) 퍼스낼리티의 반성적 토의
: 변화의 동기를 촉진시키면서 클라이언트 자신의 퍼스낼리티의 패턴, 특징 및 역동적인 면을 이해하도록 원조한다. 깊은 차원의 명확화, 해석, 통찰의 개발이 사용된다.
6) 유아기의 발생적 고찰
: 변화를 위해 유년기의 문제와 현재 행동 간의 인과관계의 연계를 클라이언트가 자각케 한다.
7) 환경치료
: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인적 물적 환경에 관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이상심리] 신체형 장애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안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심리사회적사정(현재의 병과 개인력 사정, 정신장애인 환자의 가족사정, 사회지지망 사정)
[유아발달 B형] 발달의 쟁점 3가지를 각각 설명하고, 각 쟁점을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분석모델과 심리사회모델의 기본 가정과 주요 개념, 그리고 개입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본틀
정신분석모델과 심리사회모델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정신분석모델과 심리사회모델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있어서 정신분석모델과 강점관점 모델의 상호 비교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