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연구의 유형을 조사목적에 따라 구분하면 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설명적 조사로 나누어진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사연구의 유형을 조사목적에 따라 구분하면 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설명적 조사로 나누어진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탐색적 조사

2. 기술적 조사

3. 설명적 조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높여서 요인들이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겠으나 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네 가지를 소개한다. 이 논리들은 실험조사뿐만 아니라 모든 인과관계를 설명하려는 조사에 적용된다.
첫째, 일치법(一致法)이다. 이는 주어진 현상에 관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사례들이 공통된 하나의 조건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조건을 그 현상의 원인 또는 결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그림] 일치법
위의 <그림>에서 보면 조건 C가 발견되는 모든 사례들에서 Z라는 현상이 관찰된다면 C와 Z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공변법이다. 이는 어떠한 현상이 특정한 방식으로 변화할 때마다 다른 현상도 일정한 방식으로 변화하면 이들 두 현상은 인과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이를 도식화하면 다음 식과 같다.
셋째, 발생시간상의 순서이다. 만일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이 발생한 후에 일어났다면 그 사건은 다른 사건의 원인이라 할 수 없다는 논리이다. 원인적 요인의 발생은 결과의 발생에 앞서거나 거의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 것이다.
만일 두 현상이 공변적 관계를 가지면서 시간적 차이를 보인다면 이것은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원인과 결과를 구분함에 명백한 근거가 된다.
넷째, 다른 요인의 배제이다. 이는 두 변수에 대한 원인적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조건들을 통제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원인적 요인임을 입증하는 방식이다. 즉, 두 변수의 관계가 제 3의 변수로 설명되는 관계(가식적 관계, spurious relationship)가 될 수 있는 요인을 배제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개념,   특징,   특성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27
  • 저작시기202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3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