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본문내용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1.증상관리교육
문제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교육, 스스로 증상 관리하도록 한다.
2.약물관리교육
약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적절한 투약방법을 교육한다.
■ Back의 인지 치료의 핵심과제로서 자기 점검은 5개의 칼럼으로 구성된 사고 기록지를 통해 가능하다. Back과 그의 동료들이 제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고 기록지의 5개 칼럼 내용을 쓰시오.
1) 상황(감정 유발사건)
2) 감정(발생한 감정의 유형 및 강도 서술)
3) 자동적 사고(감정과 관련된 자동적 사고와 확신 정도 서술)
4) 합리적 반응(자동적 사고에 대한 합리적인 반응과 확신 정도)
5) 결과(현재 상황에서 자동적 사고의 확신 정도와 결과적으로 드러난 감정의 정도를 서술)
40대 남성인 A씨는 오염에 대한 생각으로 반복적인 손 씻기 행동을 보이고 있다. A씨도 그 외 같은 생각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잘 통제되지 않은 채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A씨의 주요 증상을 토대로 진단명을 쓰시오.
강박장애
(2) 적절한 치료 기법을 쓰시오.
노출 및 반응방지법
(3) 치료과정을 4단계로 약술하시오
1단계 - 치료프로그램 과정과 목적을 공유, 동기부여를 함
2단계 - 노출 및 반응방지법을 진행, 반복 연습
3단계 - 왜곡된 인지가 일어나는 경우 확인, 스스로 평가, 수정하는 방법을 익힘
4단계 - 재발방지 및 대처방법에 대해 논의하여 효과를 평가
■ 다음 보기는 웩슬러지능검사의 대략적인 검사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이는 환자의 유형을 쓰시오.
상식(Information), 어휘(Vocabulary), 토막짜기(Block Design)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반면 공통성(Similarities), 모양 맞추기(Object Assembly) 점수는 낮은 수준을 보인다. 언어성 지능(VIQ)이 동적성 지능(PIQ) 보다 높은 양상을 보인다.
뇌손상장애
잠재력에 비해 일상에 적용하는 능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결과를 보임.
■ MMPI 검사결과 L척도와 K척도는 30이하이고, F 척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를 기술하시오.
(1) 피검자가 자기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곤란을 인정하고 스스로 해결할 자신이 없어 문제해결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고 있는 상태.
(2) 자신의 증상을 더욱 크게 부각시켜 과대보고(빠른 도움을 받고 싶어서)했을 가능성 있으며 혹은 정신장애가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MMPI의 6번 척도(Pa)에서 T 점수가 72점인 경우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쓰시오.
--편집증
1) 주위 환경에 경계심과 의심이 많다.
2) 분노를 쉽게 느끼고 특정인에게 집중되어 있다.
3) 방어적이고 불신감이 많으며 대인 접촉이 어렵다.
4) 망상적 피해의식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비난과 분노, 공격성을 보인다.
4)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기보다 타인의 탓으로 돌린다. (방어기제 투사)
5)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등의 사고장애가 있을 수 있다.
6) 대인관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7) 적대감을 표현하고 논쟁을 벌이는 경향이 있다.
■ MMPI 2개 척도에 대한 분석에서 4-9 / 9-4 척도의 임상 양상을 기술하시오.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극성 장애 진단
1. 충동적 반항적 성격과 함께 과격하고 공격적 행동 특징
2. 자기중심적 성향과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으로 대인관계 피상적
3. 자신의 행동에 대해 무책임하며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
4.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도 한다.
5. 사회적 가치 무시, 반사회적 범죄행위를 저지르기도 한다.
6. 합리화 방어기제를 사용, 자신의 문제를 외면,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도 함
■ 로샤검사 결과를 엑스너(Exner) 방식으로 채점하고자 한다. 엑스너(Exneer) 종합체계방식의 주요 채점 항목을 5가지만 기술하시오.
1) 반응 위치: 내담자가 반응한 반점이 어느 부위인가?
2) 발달 질: 그 위치 선택의 발달 질이 어떠한가?
3) 반응 결정인: 반응하게 하는데 기여한 반점의 특징은 무엇인가?
4) 형태 질: 피험자가 기술한 대상이 반점에 적절한가?
5) 반응 내용: 반응이 어떤 내용 범주에 속하는가?
6) 평범 반응: 반응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하는 반응인가?
7) 조직화 활동 점수: 반점을 의미 있게 통합했는가?
8) 특수 점수: 반응에서 이상한 언어화가 있는가? 병리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가?
9) 쌍 반응: 사물을 대칭적으로 지각하고 있는가?
■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를 쓰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1)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
1. 기능성 기억장애
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사건에 대한 기억을 상실
2. 기질성 기억장애
예)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뇌 손상과 함께 기억을 상실
(2) 차이점
기능성 기억장애는 심리적 요인에 의한 기억장애
기질성 기억장애는 뇌 병변이나 감각기관 장애 등으로 인한 기억장애
■ 아동 평가에서 특정 문제영역이 아닌 전반적인 광범위한 문제영역에 대해 보호자의 보고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는 평정척도가 있다. 그에 해당하는 평정척도 2가지를 쓰시오.
(1) K-CBCL(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아동,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 및 정서, 행동 문제를 부모가 평가하는 것. 아동, 청소년의 심리장애 진단에 유용.
(2) KPRC(한국아동 인성평가척도)
KPRC는 만 3~17세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 불안정하거나 침체된 정신과적 문제 등을 측정, 빠른 시기에 일찍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 심리평가의 최종보고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쓰시오.
1. 제목 및 내담자에 관한 개인정보
2. 의뢰사유 (주호소문제)
3. 평가도구 및 절차
4. 행동 관찰
5. 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
6. 생활사적 정보와 평가 결과의 통합
7. 요약 및 권고
1.증상관리교육
문제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교육, 스스로 증상 관리하도록 한다.
2.약물관리교육
약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적절한 투약방법을 교육한다.
■ Back의 인지 치료의 핵심과제로서 자기 점검은 5개의 칼럼으로 구성된 사고 기록지를 통해 가능하다. Back과 그의 동료들이 제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고 기록지의 5개 칼럼 내용을 쓰시오.
1) 상황(감정 유발사건)
2) 감정(발생한 감정의 유형 및 강도 서술)
3) 자동적 사고(감정과 관련된 자동적 사고와 확신 정도 서술)
4) 합리적 반응(자동적 사고에 대한 합리적인 반응과 확신 정도)
5) 결과(현재 상황에서 자동적 사고의 확신 정도와 결과적으로 드러난 감정의 정도를 서술)
40대 남성인 A씨는 오염에 대한 생각으로 반복적인 손 씻기 행동을 보이고 있다. A씨도 그 외 같은 생각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잘 통제되지 않은 채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A씨의 주요 증상을 토대로 진단명을 쓰시오.
강박장애
(2) 적절한 치료 기법을 쓰시오.
노출 및 반응방지법
(3) 치료과정을 4단계로 약술하시오
1단계 - 치료프로그램 과정과 목적을 공유, 동기부여를 함
2단계 - 노출 및 반응방지법을 진행, 반복 연습
3단계 - 왜곡된 인지가 일어나는 경우 확인, 스스로 평가, 수정하는 방법을 익힘
4단계 - 재발방지 및 대처방법에 대해 논의하여 효과를 평가
■ 다음 보기는 웩슬러지능검사의 대략적인 검사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이는 환자의 유형을 쓰시오.
상식(Information), 어휘(Vocabulary), 토막짜기(Block Design)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반면 공통성(Similarities), 모양 맞추기(Object Assembly) 점수는 낮은 수준을 보인다. 언어성 지능(VIQ)이 동적성 지능(PIQ) 보다 높은 양상을 보인다.
뇌손상장애
잠재력에 비해 일상에 적용하는 능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결과를 보임.
■ MMPI 검사결과 L척도와 K척도는 30이하이고, F 척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를 기술하시오.
(1) 피검자가 자기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곤란을 인정하고 스스로 해결할 자신이 없어 문제해결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고 있는 상태.
(2) 자신의 증상을 더욱 크게 부각시켜 과대보고(빠른 도움을 받고 싶어서)했을 가능성 있으며 혹은 정신장애가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MMPI의 6번 척도(Pa)에서 T 점수가 72점인 경우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쓰시오.
--편집증
1) 주위 환경에 경계심과 의심이 많다.
2) 분노를 쉽게 느끼고 특정인에게 집중되어 있다.
3) 방어적이고 불신감이 많으며 대인 접촉이 어렵다.
4) 망상적 피해의식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비난과 분노, 공격성을 보인다.
4)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기보다 타인의 탓으로 돌린다. (방어기제 투사)
5)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등의 사고장애가 있을 수 있다.
6) 대인관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7) 적대감을 표현하고 논쟁을 벌이는 경향이 있다.
■ MMPI 2개 척도에 대한 분석에서 4-9 / 9-4 척도의 임상 양상을 기술하시오.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극성 장애 진단
1. 충동적 반항적 성격과 함께 과격하고 공격적 행동 특징
2. 자기중심적 성향과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으로 대인관계 피상적
3. 자신의 행동에 대해 무책임하며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
4.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도 한다.
5. 사회적 가치 무시, 반사회적 범죄행위를 저지르기도 한다.
6. 합리화 방어기제를 사용, 자신의 문제를 외면,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도 함
■ 로샤검사 결과를 엑스너(Exner) 방식으로 채점하고자 한다. 엑스너(Exneer) 종합체계방식의 주요 채점 항목을 5가지만 기술하시오.
1) 반응 위치: 내담자가 반응한 반점이 어느 부위인가?
2) 발달 질: 그 위치 선택의 발달 질이 어떠한가?
3) 반응 결정인: 반응하게 하는데 기여한 반점의 특징은 무엇인가?
4) 형태 질: 피험자가 기술한 대상이 반점에 적절한가?
5) 반응 내용: 반응이 어떤 내용 범주에 속하는가?
6) 평범 반응: 반응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하는 반응인가?
7) 조직화 활동 점수: 반점을 의미 있게 통합했는가?
8) 특수 점수: 반응에서 이상한 언어화가 있는가? 병리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가?
9) 쌍 반응: 사물을 대칭적으로 지각하고 있는가?
■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를 쓰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1)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
1. 기능성 기억장애
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사건에 대한 기억을 상실
2. 기질성 기억장애
예)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뇌 손상과 함께 기억을 상실
(2) 차이점
기능성 기억장애는 심리적 요인에 의한 기억장애
기질성 기억장애는 뇌 병변이나 감각기관 장애 등으로 인한 기억장애
■ 아동 평가에서 특정 문제영역이 아닌 전반적인 광범위한 문제영역에 대해 보호자의 보고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는 평정척도가 있다. 그에 해당하는 평정척도 2가지를 쓰시오.
(1) K-CBCL(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아동,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 및 정서, 행동 문제를 부모가 평가하는 것. 아동, 청소년의 심리장애 진단에 유용.
(2) KPRC(한국아동 인성평가척도)
KPRC는 만 3~17세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 불안정하거나 침체된 정신과적 문제 등을 측정, 빠른 시기에 일찍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 심리평가의 최종보고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쓰시오.
1. 제목 및 내담자에 관한 개인정보
2. 의뢰사유 (주호소문제)
3. 평가도구 및 절차
4. 행동 관찰
5. 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
6. 생활사적 정보와 평가 결과의 통합
7. 요약 및 권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