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조직 마케팅과 홍보
2.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1) 개인기부의 한계
(2)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부족
(3) 운영사업 위주의 참여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복지조직 마케팅과 홍보
2.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1) 개인기부의 한계
(2)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부족
(3) 운영사업 위주의 참여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해보다 자발성을 이끌어내는 매력이 없다. 직원들이 사회복지조직의 움직임과 예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으면 자신이 조직 안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자발성이 생긴다. 또한 사회복지조직이 사업비용을 투명하게 사용하여 조직이 외부로부터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게 될 것이다.
셋째, 간편한 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 최대의 효과와 효율적인 방법으로 비영리마케팅을 해야 하므로 직원의 업무가 덜 가면서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시스템과 후원자의 마음을 바로 후원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CMS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사회복지조직과 조직 외부환경을 파악한 비영리마케팅 계획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과 주변에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비영리마케팅 방법만 따라한다면 더 이상의 후원금 증가는 없을 것이며, 큰 모금기관의 모금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신이 속한 사회복지조직의 강점과 약점, 위기와 기회를 파악하고 지역주민 성향과 사회적 흐름과 같은 외부환경을 파악하여 조직이 할 수 있고, 외부환경이 원하는 비영리마케팅 계획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조직 마케팅과 홍보,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해 보았다. 사회복지 정책실천을 위한 제언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예산 현실화를 위한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복지관의 경우 법적으로 이행해야 할 80%의 정부보조금을 50%정도 밖에 이행하고 있지 않아 만성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다. 재정난 해소를 위한 모금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금이 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조직의 예산현실화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자산조사에 기타소득으로 책정되어 있는 정기후원금을 일정금액에 있어서는 기타소득으로 책정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결연후원의 경우 자신의 후원금이 클라이언트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어 후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시민들이 후원을 할 수 있도록 모금에 대한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미지 개선 홍보가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여름철과 겨울철에 눈물로 호소하는 모금에서 벗어나 클라이언트의 꿈과 희망을 만들어가는 진솔한 모습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모금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부의 꾸준한 홍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혜영 외(2010). 『사회복지실천론』. 경기 : 공동체.
양용희 (2000). 사회복지 마케팅정기후원자 개발과 관리 결연후원을 중심으로.
강철희주명관(2008). “한국인의 기부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 정기적 참여 비정기적 참여 및 미참여에 대한 비교분석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김기철(2011). “사회복지 기관의 후원 사업을 위한 마케팅 기법 적용방안 연구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셋째, 간편한 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 최대의 효과와 효율적인 방법으로 비영리마케팅을 해야 하므로 직원의 업무가 덜 가면서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시스템과 후원자의 마음을 바로 후원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CMS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사회복지조직과 조직 외부환경을 파악한 비영리마케팅 계획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과 주변에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비영리마케팅 방법만 따라한다면 더 이상의 후원금 증가는 없을 것이며, 큰 모금기관의 모금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신이 속한 사회복지조직의 강점과 약점, 위기와 기회를 파악하고 지역주민 성향과 사회적 흐름과 같은 외부환경을 파악하여 조직이 할 수 있고, 외부환경이 원하는 비영리마케팅 계획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조직 마케팅과 홍보,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해 보았다. 사회복지 정책실천을 위한 제언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예산 현실화를 위한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복지관의 경우 법적으로 이행해야 할 80%의 정부보조금을 50%정도 밖에 이행하고 있지 않아 만성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다. 재정난 해소를 위한 모금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금이 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조직의 예산현실화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자산조사에 기타소득으로 책정되어 있는 정기후원금을 일정금액에 있어서는 기타소득으로 책정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결연후원의 경우 자신의 후원금이 클라이언트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어 후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시민들이 후원을 할 수 있도록 모금에 대한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미지 개선 홍보가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여름철과 겨울철에 눈물로 호소하는 모금에서 벗어나 클라이언트의 꿈과 희망을 만들어가는 진솔한 모습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모금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부의 꾸준한 홍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혜영 외(2010). 『사회복지실천론』. 경기 : 공동체.
양용희 (2000). 사회복지 마케팅정기후원자 개발과 관리 결연후원을 중심으로.
강철희주명관(2008). “한국인의 기부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 정기적 참여 비정기적 참여 및 미참여에 대한 비교분석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김기철(2011). “사회복지 기관의 후원 사업을 위한 마케팅 기법 적용방안 연구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