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1)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2) 영상 기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1)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2) 영상 기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디엄 숏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리포터와 론 그리고 헤르미온느가 처음 기차에서 만났을 때는 미디엄 숏으로 찍었다. 이는 한 사람이나 특정 물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세 명에게 골고루 초점을 두고자 하기 위해서였다. 만약 이 상황에서 롱 숏으로 찍었다면 세 사람이 잘 보이지 않으며 초점이 산만해진다는 문제를 지녔을 것이다. 또한 이 때 찍었던 곳은 기차의 객실이기 때문에 롱숏으로 찍을만큼의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반면 클로즈업으로 찍었다면 세 사람 중 한 사람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원하는 의도대로 표현이 되지 않았을 것임을 추론해볼 수 있다. 이 세 사람의 균형이 맞추어야 하는 상황에서 한 사람만 집중하게 된다면 균형이 깨졌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미디엄 숏으로 찍어야 감독이 원하는 의도대로 찍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롱 숏이다. 해리포터가 처음에 배를 타려는 곳에서 호그와트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해리포터가 처음으로 퀴디치 시합을 나가는 경우 롱 숏으로 퀴디치 경기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두 장면의 공통점은 해리포터가 처음으로 이 두 장소를 접했다는 점이다. 이 두 장면의 배경은 모두 웅장하고 화려함에 따라 이 웅장함을 더 잘 표현해주고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해서 한 화면에 가능한 모든 부분들을 보여주는 롱 숏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에 클로즈업 숏이나 미디엄 숏으로 찍었다면 전반적인 풍경을 보여주지 못함에 따라 감독의 의도와는 전혀 무관한 영상이 나왔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영상이더라도 그 순간에 무엇을 보여주려 하고 어떤 의도를 갖추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찍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장면에서는 적합한 영상 기법이 다 따로 있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할 경우 영상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본 글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었다.
3. 결론
지금까지 디지털카메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촬영 기법과 영상에서의 거리에 따른 기법들을 발견했다. 전자의 경우 디지털카메라를 단독으로 활용할 때 부족했던 부분들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 같은 방식으로 찍더라도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적절한 순간에 필요한 사진, 영상 촬영 기법들이 다양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 살펴본 기법들 외에도 사진, 영상 촬영 기법은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또한 같은 기법이더라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곤 한다. 예를 들자면 같은 영상이더라도 어떻게 클로즈업, 롱 숏을 찍느냐에 따라 다른 의도를 보여주고 다른 결과를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법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기법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 배운 기법들을 단순히 익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하여 더 좋은 결과물을 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디지털 사진의 이해, 이주형, 미진사, 2003
마지막으로 롱 숏이다. 해리포터가 처음에 배를 타려는 곳에서 호그와트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해리포터가 처음으로 퀴디치 시합을 나가는 경우 롱 숏으로 퀴디치 경기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두 장면의 공통점은 해리포터가 처음으로 이 두 장소를 접했다는 점이다. 이 두 장면의 배경은 모두 웅장하고 화려함에 따라 이 웅장함을 더 잘 표현해주고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해서 한 화면에 가능한 모든 부분들을 보여주는 롱 숏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에 클로즈업 숏이나 미디엄 숏으로 찍었다면 전반적인 풍경을 보여주지 못함에 따라 감독의 의도와는 전혀 무관한 영상이 나왔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영상이더라도 그 순간에 무엇을 보여주려 하고 어떤 의도를 갖추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찍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장면에서는 적합한 영상 기법이 다 따로 있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할 경우 영상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본 글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었다.
3. 결론
지금까지 디지털카메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촬영 기법과 영상에서의 거리에 따른 기법들을 발견했다. 전자의 경우 디지털카메라를 단독으로 활용할 때 부족했던 부분들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 같은 방식으로 찍더라도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적절한 순간에 필요한 사진, 영상 촬영 기법들이 다양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 살펴본 기법들 외에도 사진, 영상 촬영 기법은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또한 같은 기법이더라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곤 한다. 예를 들자면 같은 영상이더라도 어떻게 클로즈업, 롱 숏을 찍느냐에 따라 다른 의도를 보여주고 다른 결과를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법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기법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 배운 기법들을 단순히 익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하여 더 좋은 결과물을 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디지털 사진의 이해, 이주형, 미진사, 2003
키워드
추천자료
미디어컴퓨터 = 사진의이해 =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HDR, 파노라마 – 이미지 스티칭, ...
2020년 1학기 사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
사진의 이해 1.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HDR, 파노라마 – 이미지 스티칭, 포커스의 정복...
(A+)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HDR, 파노라마 – 이미지 스티칭, 포커스의 정복 – 헬리콘 ...
(A+) 디지털카메라의 시각의 확장(HDR, 파노라마 – 이미지 스티칭, 포커스의 정복 – 헬리콘 ...
사진의이해 ) 클로즈업 숏, 미디엄 숏, 롱 숏에 관해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