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
1. Minuchin
2. 이론의 기초
3. 세 가지 기본 전제
4. 주요개념과 원리들
1) 가족구조
2) 하위체계
3) 경계선
4) 위계구조
5) 제휴
6) 가족규범
7) 가족항상성
8) 가족순환성
Ⅱ.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의 치료목표
1. 치료목표
2. 가족의 재구조화 목적달성의 지침
▶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의 치료과정
1. 치료과정
2. 치료자의 역할
3. 가족에 대한 치료자의 자세와 역할
▶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
1. 가족구조의 확인
2. 구조형태 파악하기
3. 구조적 지도
4. 가족 재구조화 기법
Ⅲ. 참고: 도형으로 보는 가족구도
1. Minuchin
2. 이론의 기초
3. 세 가지 기본 전제
4. 주요개념과 원리들
1) 가족구조
2) 하위체계
3) 경계선
4) 위계구조
5) 제휴
6) 가족규범
7) 가족항상성
8) 가족순환성
Ⅱ.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의 치료목표
1. 치료목표
2. 가족의 재구조화 목적달성의 지침
▶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의 치료과정
1. 치료과정
2. 치료자의 역할
3. 가족에 대한 치료자의 자세와 역할
▶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
1. 가족구조의 확인
2. 구조형태 파악하기
3. 구조적 지도
4. 가족 재구조화 기법
Ⅲ. 참고: 도형으로 보는 가족구도
본문내용
▶ Minuchin
- 구조적 가족치료의 선구자.
- 아르헨티나 태생.
- 2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 아동정신과 의사 훈련.
- 1952년 버려진 아이들의 치료를 위해 이스라엘에 갔다가 가족의 중요성 깨달음.
- 1954년 미국에서 정신분석훈련.
- 뉴욕 근교 윌트윅 비행청소년 기숙학교에서 근무하며 빈곤가족에 관심.
- ⌜빈민가의 가족들(Families of the Slums)⌟ 저술.
- 1965년 필라델피아 아동지도클리닉 소장 임명.
- ⌜가족들과 가족치료(Families & Family Therapy), 1974⌟저술.
- 1981년 가족학연구소(현 미누친 가족연구소) 설립.
▶ 이론의 기초
- 개인을 사회적인 존재로 보고, 개인을 둘러싼 구조에 초점을 맞춤.
- 문제나 증상에 대해 반 결정론적 시각.
-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 상호작용의 형태에 초점.
-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는 구성원 가운데 누군가 한 명에게 증상이 있을 경우 치료 장면에 찾아 옴.
- 증상을 가진 사람을 ‘환자’라고 할 때, 환자의 증상은 체계를 유지시키는 장치라고 봄.
- 증상은 가족의 역기능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특별한 생활환경 때문에 발생한 증상을 가족체계가 강화시켰을 수도 있음.
-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 사회적 체계로서 가족에 대한 견해를 기초로 함.
▶ 세 가지 기본 전제
첫째: 가족구조는 변화하고 있는 개방된 사회이고 문화적 체계이다.
둘째: 가족은 재구조화를 필요로 하는 성공적인 단계를 거쳐 발달 함.
셋째: 가족은 가족 구성원들의 사회심리적 성장과정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환경에 적응하고자 함.
<중 략>
▶ 주요개념과 원리들
1) 가족구조
- 가족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
- 가족원의 행동양식을 규정하는데 생기는 제한요인.
① 일반적인 규범체계
예) 남편이 지나치게 간섭하면 아내는 뒤로 물러서는 경향.
② 특정한 가족이 특정한 상호교류 패턴을 발전시킴으로써 가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것.
- 구조적 가족치료의 선구자.
- 아르헨티나 태생.
- 2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 아동정신과 의사 훈련.
- 1952년 버려진 아이들의 치료를 위해 이스라엘에 갔다가 가족의 중요성 깨달음.
- 1954년 미국에서 정신분석훈련.
- 뉴욕 근교 윌트윅 비행청소년 기숙학교에서 근무하며 빈곤가족에 관심.
- ⌜빈민가의 가족들(Families of the Slums)⌟ 저술.
- 1965년 필라델피아 아동지도클리닉 소장 임명.
- ⌜가족들과 가족치료(Families & Family Therapy), 1974⌟저술.
- 1981년 가족학연구소(현 미누친 가족연구소) 설립.
▶ 이론의 기초
- 개인을 사회적인 존재로 보고, 개인을 둘러싼 구조에 초점을 맞춤.
- 문제나 증상에 대해 반 결정론적 시각.
-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 상호작용의 형태에 초점.
-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는 구성원 가운데 누군가 한 명에게 증상이 있을 경우 치료 장면에 찾아 옴.
- 증상을 가진 사람을 ‘환자’라고 할 때, 환자의 증상은 체계를 유지시키는 장치라고 봄.
- 증상은 가족의 역기능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특별한 생활환경 때문에 발생한 증상을 가족체계가 강화시켰을 수도 있음.
-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 사회적 체계로서 가족에 대한 견해를 기초로 함.
▶ 세 가지 기본 전제
첫째: 가족구조는 변화하고 있는 개방된 사회이고 문화적 체계이다.
둘째: 가족은 재구조화를 필요로 하는 성공적인 단계를 거쳐 발달 함.
셋째: 가족은 가족 구성원들의 사회심리적 성장과정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환경에 적응하고자 함.
<중 략>
▶ 주요개념과 원리들
1) 가족구조
- 가족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
- 가족원의 행동양식을 규정하는데 생기는 제한요인.
① 일반적인 규범체계
예) 남편이 지나치게 간섭하면 아내는 뒤로 물러서는 경향.
② 특정한 가족이 특정한 상호교류 패턴을 발전시킴으로써 가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것.
추천자료
가족치료(이론)모델 정리
사회복지상담 가족치료이론-정신분석적, 보웬의 다세대, 미누친의 구조적, 사티어의 의사소통...
[가족치료] 구조주의 가족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Minuchin(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 살바...
[가족복지론]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과 보웬의 가족치료모델(다세대모델) : 구조적가족...
[가족복지론] 가족치료의 이론 중에서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와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구조적 가족치료에 대해 자료를 조사하여 정리하고 구조적 가족치료의 강점과 약점을 탐색하...
구조적 가족치료에 대해 기술하시오
미누친의 가족상담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