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A+ 1등 레포트] 실험 22. 화학평형 실험 예비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 A+ 1등 레포트] 실험 22. 화학평형 실험 예비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목표
이론
실험 전 예비보고서
기구 및 시약
실험 방법

본문내용

덜어 내고자 하는 용액 속에 넣어 고무 부분을 서서히 놓으면서 필요한 양만큼 용액을 빨아들인다.
고무 부분을 천천히 눌러 필요한 양의 용액을 떨어트린다.
실험이 끝난 후, 스포이드를 깨끗하게 세척한다.
피펫 사용 전 세척 후 남아 있는 물을 모두 닦고, 증발시킨다.
피펫에 피펫 필러를 끼우고 A를 누른 상태로 구를 눌러 공기를 뺀다.
측정 전, 측정을 원하는 액체를 소량 빨아 올려 피펫 내벽에 남아있는 물을 씻는 과정을 2~3회 반복한다.
S를 눌러 용액을 표선보다 조금 위까지 빨아올린다. 이후 표선과 눈의 높이를 수평으로 하고 S와 E를 적당히 조절하여 원하는 양을 피펫에 채운다.
피펫의 끝을 벽으로 하여 액체가 벽을 타고 내려가도록 한다.
피펫에 슬라이드 필러를 꼽는다.
액체를 채우기 위해 상단의 톱니바퀴를 아래쪽으로 굴린다.
반대로 용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액체를 빼기 위해서는 톱니바퀴를 위쪽으로 굴린다.
이후, plunger을 눌러 용액을 내보낸다.
필요한 양에 맞는 피펫을 선택한 다음에 피펫의 ‘Volume adjustment knob’를 돌리면서 원하는 양으로 조정한다.
피펫의 끝에 멸균된 피펫 팁을 꽂는다.
1st stop까지 피펫의 푸시버튼을 천천히 누른 상태로 채취한 시료 용액에 피펫 팁을 담근 후, 원 위치까지 버튼을 천천히 올린다.
용액을 옮길 용기에 1st stop까지 피펫의 푸시버튼을 눌러 용액을 분배한다.
팁에 남아있는 용액을 2nd stop까지 푸시 버튼을 눌러 남아 있는 시료를 빼낸 다음 피펫의 위쪽에 있는 Tip ejection 버튼을 눌러 피펫 팁을 분리한다.
비커
물질 반응이나 혼합시킬 때 주로 사용한다. 가열, 냉각, 중탕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액체의 양이 눈금을 넘지 않도록 한다.
차갑거나 뜨거운 액체를 다룰 시에는 장갑을 끼고 비커를 사용한다.
폭발성 물질을 옮기는 경우에는 유리 막대를 따라 흐르도록 한다.
가열 시에는 불꽃이 직접적으로 비커에 닿지 않도록 한다.
실험 후 세척제로 세척한 후 완전히 말린 후 재사용 한다.
(2) 시약 설명
명칭
분자식
구조
분자량
(g/mol)
밀도
()
끓는점
(℃)
녹는점
(℃)
특징
(색,
상태,
냄새)
위험성 및 주의사항
sodium thiocyanate
NaSCN
81.07
1.74
368
300
흰색, 흡습성고체, 무취
삼킬 경우에 유해하며 피부에 알레르기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함 현기증이나 졸음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iron(III) nitrate
241.86
1.68
125
47.2
자주색, 회색, 고체, 희미한(약한) 질산 냄새
산화제에 해당하기 때문에 강렬한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함
가연성 물질이나 의복 등으로부터 격리하여 보관해야 함
질산
63.01
1.51
212
-41.6
무색, 노란색, 붉은색, 액체, 자극적인 냄새
산화제에 해당하기 때문에 강렬한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함 금속을 부식 및 심한 피부 화상, 눈 손상 유발 가능성이 존재함 흡입할 경우에 인체에 매우 유독함
실험 방법
━━━━━━━━━━━━━━━━━━━━━━━━━━━━━━━━━━━━━━━━
Part Ⅰ : λmax의 측정
1. 분광광도계와 컴퓨터를 USB 케이블로 연결한다. 분광광도계의 광원을 키고 ~15분 이상
안정화한다.
2. 50 mL 비커에 의 NaSCN 용액을 5.0 mL 넣고, 여기에 0.20 M의
용액을 5.0 mL 가하고 잘 섞어준다. (이 용액이 착이온의 표준 용액이다.)
3. 두 개의 큐벳을 준비하여 하나에는 0.20 M 용액을 담고, 다른 하나에는 절차
2에서 준비한 착이온 용액을 담는다. 큐벳에 용액을 담을 때는 가득 채우지 말고
약 2/3 정도만 채운다.
4. SV2100 사용법의 ‘흡수 스펙트럼 측정’ 절차에 의하여 용액을 ‘Reference’로 하여
착이온 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다 (파장 범위는 400 ~ 600 nm).
흡광도(absorbance)가 최대인 파장, λmax는 얼마인가? λmax에서 흡광도는 얼마인가?
Part Ⅱ : FeSCN2+ 용액의 흡광도 측정
1. 계열희석(serial dilution) 방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묽힌 용액들을 제조한다:
(용액 1) 0.20 M의 Fe(NO3)3 용액을 4.0 mL 취하여 2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까지
0.3 M 질산 용액으로 채우고 잘 섞어준다.
(용액 2) 용액 1을 10.0 mL 취하여 2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까지 0.3 M 질산 용액으로 채우고 잘 섞어준다.
(용액 3) 용액 2를 10.0 mL 취하여 2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까지 0.3 M 질산 용액으로 채우고 잘 섞어준다.
(용액 4) 용액 3을 10.0 mL 취하여 2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까지 0.3 M 질산 용액으로 채우고 잘 섞어준다.
각 용액을 취하기 전에 피펫은 증류수로 깨끗이 씻고 마른 휴지로 잘 닦은 후 사용한다.
2. 50 mL 비커에 4.0 × 10-4 M 의 NaSCN 용액을 5.0 mL 넣고, 여기에 묽힌
용액(용액 1)을 5.0 mL 가하고 잘 섞어준다. <-- 시료 1
3. Part I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착이온 용액(시료 1)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다.
그리고 Part Ⅰ에서 결정한 λmax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Reference 용액으로는
착이온 시료 용액을 준비할 때 사용한 것과 같은 농도의 용액을 사용한다.
4. 절차 2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묽힌 용액 2, 3, 4를 가지고 착이온 시료
용액들을 준비한다. <-- 각 각 시료 2, 3, 4
5. 차례로 착이온 시료 용액들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λmax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Reference 용액으로는 각 착이온 시료 용액을 준비할 때 사용한 것과
같은 농도의 용액을 사용한다. (큐벳을 반복하여 사용한다면, 새로운 용액을 넣기
전, 사용할 농도의 용액 약간으로 큐벳을 2~ 3 회 씻어준 후 사용한다.)
※ 주의: 시료 1 ~ 4 ( 착이온 용액)와 용액 1 ~ 4 [ 용액]를 혼동
하지 마라.
6. 각 시료에 대하여 용액을 2 회 제조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평균을 구한다.
  • 가격1,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1.08.30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4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